KCI우수등재
한국 성소수자 연구 동향과 과제 - 체계적 문헌고찰 및 텍스트 분석 = Trends and Implications of Sexual and Gender Minority Research in South Korea - Systematic Review and Text Analysis
이 연구는 한국 성소수자 연구의 동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비규범적 성에 관한 지식과 지식 생산의 구조가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해 왔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성소수자 연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학문분야와 무관하게 학술논문과 학위논문의 형태로 출간된 성소수자 연구를 망라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한국 성소수자 연구를 최대한 광범위하게 수집한 결과, 총 1322편의 학술논문과 총 657편의 학위논문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포함했다.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기법을 활용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했으며, 논문 제목에 대한 텍스트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2000년대 이후로 성소수자 인구집단 혹은 관련 주제를 다룬 학술논문 및 학위논문의 수가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뿐만 아니라, 성소수자를 병리적 존재나 현상으로만 바라보던 관점에서 벗어나 지식과 권리의 주체로서 성소수자를 바라보는 관점의 전환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양적·질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한국 성소수자 연구는 대표성 있는 자료 확보의 어려움과 학계 내 자원 부족 등 여러 도전에 직면해 있다. 특히 한국 성소수자 연구 중 반성소수자 관점을 지닌 논문이 적지 않으며, 이러한 논문들이 학계 내에서 생산·전달하는 성소수자에 대한 왜곡된 정보와 혐오는 해결해야 할 과제 중 하나다. 이와 관련해 이 연구는 한국 성소수자 연구의 다양한 쟁점과 향후 과제를 분석하고, 성소수자 관련 학술적 지식이 독자적 학문으로 정립되기 위해 필요한 노력을 제시했다.
더보기This study examines research trends on sexual and gender minority (SGM) populations in South Korea to identify future directions for developing SGM research. A comprehensive database of SGM literature published through December 31, 2021, was compiled, including research articles from peer reviewed journals, master’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from Korean universities across various disciplines. The final analysis included 1,322 peer reviewed articles and 657 theses and dissertations. Using the PRISMA technique for systematic review and text analysis of literature titles, the study reveals a significant increase in SGM research post-2000, characterized by a paradigm shift from pathologizing SGM individuals to recognizing them as subjects of knowledge and rights. Despite thi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Korean SGM research still faces several challenges, including difficulties in obtaining representative data and resource constraints within academia. Of particular concern is anti-SGM perspectives in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research, producing and disseminating biased information motivated by hatred towards SGM populations within academia. This study delineated various issues and future directions in Korean SGM research, suggesting efforts necessary for establishing SGM-related academic knowledge as an independent academic discipline in South Korea.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