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OPUS
불소화 C/TiO2 나노섬유가 코팅된 리튬이차전지용 분리막의 향상된 물리적 및 전기화학적 성능 = Enhanced Physic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Fluorinated C/TiO2 Nanofiber-Coated Separators for Lithium-Ion Batteries
리튬이차전지에 사용되는 PP 및 PE 분리막은 낮은 전해질 친화력과 열안정성 등의 요인에 의하여 분리막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방사를 통해 탄소와 TiO2로 구성된 나노섬유를 제조하고 NF3 가스를 이용하여 불소를 도입한 후 이를 분리막에 코팅해 분리막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제조된 분리막은 TiO2와 불소 도입의효과로 150 °C에서의 열수축률이 Celgard 2320에 비해 약 67% 감소하였다. 또한 전해질 친화력이 향상되어 전해질흡수율이 약 2 배로 증가하였다. NF3 불소화 온도가 가장 낮은 200 °C에서 형성된 샘플을 코팅한 분리막은 2 C 율속에서 100 사이클 충방전 시 76.4%로 가장 높은 용량 유지율을 나타내었다. 이는 낮은 불소화 온도로 TiO2 표면에 흡착된F- 이온의 함량이 67.9%로 가장 높아 안정적인 SEI 층을 형성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불소화 탄소/이산화티탄 나노섬유가 코팅된 분리막은 기존 분리막의 단점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SEI 형성을 유도하여 장수명 성능을가진 리튬이차전지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Commercial separators like PP and PE have limitations, including low electrolyte affinity and poor thermal stability. In this study, we aimed to enhance separator performance by fabricating nanofibers composed of carbon and TiO2 through electrospinning, followed by fluorination using NF3 gas, and subsequently coating these fluorinated nanofibers onto the separator.
The fabricated separator demonstrat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rmal shrinkage rate at 150 °C, decreasing by approximately 67% compared to Celgard 2320, due to the introduction of TiO2 and fluorine. Furthermore, the enhanced electrolyte affinity resulted in a twofold increase in electrolyte absorption rate. Among the samples, the separator coated with nanofibers fluorinated at the lowest NF3 temperature of 200 °C exhibited the highest capacity retention of 76.4% at a 2 C rate (100 cycles).
This improvement is attributed to the high fluorine ion content (67.9%) adsorbed onto the TiO2 surface under low-temperature fluorination, which facilitated the formation of a stable SEI layer. Therefore, the separator coated with fluorinated carbon/ titanium dioxide nanofibers not only improves the shortcomings of conventional separators but also induces SEI formation and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lithium-ion batteries with long-life performanc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