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수치심과 죄의식의 차이성과 동일성에 관한 연구 -피어스(S.Piers)의 정신분석학과 정신병리학 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fference and Sameness of Shame and Guilt
저자
권영화 (전북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29-249(21쪽)
제공처
일반적으로 도덕 감정의 기원으로서 수치심은 열악한 대인 관계 기술, 공감 능력 장애, 분노 및 적대감, 분노 관리에 대한 심리적 부적응과 일관되게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그러나 또 다른 도덕 감정으로서 죄책감도 수치심과 마찬가지로 심리적부적응을 갖게 될까? 일반적인 예상과는 다르게 죄책감은 심리적 부적응과 연관되지않는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었다. 지금까지 유대-기독교 전통에서는 죄의식이 많이 강조되었다. 또한 수많은 자기계발서들에서도 죄책감이란 반드시 피해야할 감정이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다수의 연구 결과들에서는 죄책감에 대한 일반적인 가정이 잘못되었음을 보여준다. 죄책감은 무능력이 아닌 사회적 능력, 타인 지향적 공감 능력의 강화, 분노 관리를 위한 건설적인 전략과 일관되게 연결되어진다. 실제로 죄책감은 개인의 심리적 안녕을 상당히 희생하면서 대인관계 및 사회 수준에서 적절한 기능들을 수행하고 있다. 왜 이런 연구결과들이 제시될까?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제시하는 것이이 연구의 목적이다. 도덕 감정으로서 수치심과 죄책감의 동일성과 차이에 관한 많은 문헌들은 다양한 형태의 물음들을 우리에게 제시한다. 그 이유는 수치심과 죄책감 개념이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본 연구에서 정신분석학과 정신병리학 이론에서 수치심과 죄책감의 핵심적 개념 정의가 자아 개념과 관련해서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다양한 이론적 관점에서 활동하는 정신분석학자들은 수치심과 죄책감이 심리적 부적응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해왔다. 밝혀진 바에 따르면, 적절한 답변은 부분적으로 수치심과 죄책감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달려 있다. 경험적 문헌을 주의 깊게 검토해보면, 루이스(H. B. Lewis)의 자기 대 행동 구별(self vs. behavior distinction)에 따라서, 죄책감은 결국 그렇게 나쁜 감정으로 평가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부적응적인” 죄책감(maladaptive guilty)이 존재할 가능성은 배재할 수 없다.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첫번째로 수치심과 죄의식 개념의 발생과 분리와 관련된 정신분석학 이론들을 역사적으로 고찰해보고자 한다. 그 다음으로 죄책감이 실증적으로 정신병리적인 현상을 유발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더보기In general, shame as a source of moral emotions has been found to be consistently linked to poor interpersonal skills, impaired empathy, anger, hostility,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o anger management. But would guilt as another source of moral emotion be as psychologically maladaptive as shame? Contrary to general expectations, research results have reported that guilt is not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maladjustment. Until now, much emphasis has been placed on guilt in the Judeo-Christian tradition. Also, in many self-help books, guilt has been an emotion that must be avoided. However, numerous research results show that common assumptions about guilt are incorrect. Guilt is consistently linked to social competence rather than incompetence, strengthening other-oriented empathy, and constructive strategies for anger management. In fact, guilt performs appropriate functions at interpersonal and social levels, at considerable expense to the individual's psychological well-being. Why do these research results present themsel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answer to this question.
Much literature on the identity and difference between shame and guilt as moral emotions present us with various types of questions. This is because the concepts of shame and guilt are not clearly defined. Therefore,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examine how the definitions of the core concepts of shame and guilt in psychoanalysis and psychopathology theory were historically formed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self. Psychoanalysts working from various theoretical perspectives have discussed the impact of shame and guilt on the formation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s it turns out, the answer depends in part on how you define shame and guilt. A careful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reveals that, following H. B.
Lewis's self vs. behavior distinction, guilt is not rated as such a negative emotion after all. Nevertheless, the possibility that "maladaptive" guilt exists cannot be ruled out. In this paper, I first intend to historically examine psychoanalytic theories related to the emergence and separation of the concepts of shame and guilt. Next, I would like to examine whether guilt can empirically cause psychopathological phenomena.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