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서구미술에서 변형 캔버스(Shaped Canvas)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Shaped Canvas in Western Ar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5-122(28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The ‘subject’ of this thesis: Shaped Canvas, can be interpreted as an extension of acts of self-defiance in humanity, as it represents a process which distinguishes the picture plane’s integrity as an object, through its establishment of self autonomy and liberation from traditional formality of rectangular canvases.
This thesis focused on ‘shaped canvas, or ‘shaped picture planes’, which diverged from traditional canvas and became an object by maximizing its physical property, examined the progression of shaped canvas work in art historic point of view, and established three mainpoints that define the concept of shaped canvas: objecthood, objet quality, and change of spacial concept.
Consequently speaking, shaped canvas work reveals its identity by creating an alternative space within the exhibited space by subdividing the wall space into free-formed spaces, which signifies a change or expansion in the role of the wall space via installation. In other words, shaped canvas work, with its free-formed nature, leaves the negative space free-formed as well; transforming the wall space from a ‘background’ into an ‘expressive space’. Above being the primary focus of the thesis, it is the researcher’s intention to further explore the roles and utilization of the negative space in future installations of formally structured and unstructured art work.
본 논문의 ‘주제어’인 ‘변형 캔버스’는 전통적으로 쓰이던 사각의 캔버스를 벗어나 화면의 자율성을 추구하면서 오브제로서의 특성을 드러내는 과정을 통해 인간이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행위의하나로 이해 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현대미술에 있어서 정형적인 캔버스의 형태를 벗어나 물성을극대화하여 하나의 오브제(object)로 존재하게 된 ‘비정형화면(shaped picture planes)’ 즉, ‘변형 캔버스’에 주목하고, 미술사적 측면에서 변형 캔버스의 출현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이의 핵심개념으로‘사물성’과 ‘오브제의 속성’, 그리고 ‘공간개념의 변화’라는 세 가지 특이사항으로 ‘변형 캔버스의개념’을 이해하였다.
변형 캔버스 작업은 오브제로서의 특성과 더불어 벽면공간의 활용을 통해 벽면을 비정형적인 공간으로 분할함으로써, 전시공간에서 새로운 공간을 생성해 내면서 작품의 정체성을 드러낸다고 할수 있다. 이는 평면 회화의 설치에 있어서 벽면공간의 역할의 변환 혹은 확장을 의미한다. 즉 벽면공간이 변형 캔버스의 비정형성으로 인하여 잔여 공간 역시 비정형적인 형태를 드러내게 되면서 전시를 위한 벽면이 ‘단순배경’으로부터 ‘표현적 공간’으로 변환되는 것이다. 연구자는 이 부분에 주목하였으며, 차후 정형 및 비정형의 작업을 전시함에 있어서 잔여공간의 역할과 활용에 관하여 연구 할기회를 갖고자 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0-03-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유럽문화예술학회 -> 유럽문화예술학논집외국어명 : Europe Culture A RTS Association -> The Journal of Europe Culture Arts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