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Membrane Film Resistances in a Microencapsulated Urease System = 마이크로캡슐 우레아제 시스템에서의 멤브레인 막 저항의 영향
저자
LEE, KEUN-BOK (Faculty of Life Science Engineering/Fine Chemical Engineering Major, Youngdong University) ; LEE, MYUNG-SUP (Faculty of Life Science Engineering/Fine Chemical Engineering Major, Youngdong University)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70.000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9-67(19쪽)
제공처
TR과 FBR에서의 우레아 반응속도에 대한 마이크로캡슐 막두께의 영향을 막두께 0.02~0.2 μm 범위 내에서 모사 연구하였다. CSTR에서 dp = 5 μm에 대하여, 막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속도가 대체적으로 감소하였다. 5 μm 마이크로캡슐은 반응속도의 변화가 약간만 있었다. 직경이 작은 마이크로캡슐에 있어서는 액경막 저항보다 막저항이 더 큰 영향을 주었다. 500 μm 마이크로캡슐에 있어서는 반응속도가 크게 감소 하였는데, 막두께가 0.02 μm 이상인 경우에 더욱 그러하였다. 막두께가 증가할수록 막 내부에 상당한 구배가 있었다. 또한, FBR에 대해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FBR에서의 여러 지점에서 여러 가지 막두께에 대하여 캡슐 내의 profile을 계산하였다. 마이크로캡슐 층의 하층 3% 지점에서 profile은 포물선을 나타냈고, 구배는 막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The effect of different membrane thicknesses on urea conversion in CSTR and FBR was studied by varying the membrane thickness between 0.02 and 0.2 μm in simulation studies. For dP = 5 μm in a CSTR, there was a general decrease in the conversion with increasing membrane thickness. Only minor variations in conversion were obtained for the 5 μm microcapsule. Membrane wall resistances were of greater significance than liquid film resistances for small diameter microcapsules. These effects were magnified for the 500 μm diameter microcapsule, where the conversion could drop dramatically, especially at thickness greater than 0.02 μm. As membrane thickness increases, a considerable gradient was present within the membrane.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for the FBR. Intraparticle profiles for various membrane thicknesses at various positions in a FBR were calculated. At the bottom 3% of the bed, the profiles were parabolic and the gradient decreased with the thickness of the membrane wall.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