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OPUS
어린이들의 음료를 통한 카페인 섭취량 실태조사 및 영양교육에 따른 효과 평가
저자
김성단(Sung-Dan Kim) ; 윤은선(Eun-Sun Yun) ; 장민수(Min-Su Chang) ; 박영애(Young-Ae Park) ; 정선옥(Sun-ok Jung) ; 김동규(Dong-Gyu Kim) ; 김연천(Youn-cheon Kim) ; 채영주(Young-Zoo Chae) ; 김민영(Min-young Kim)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SCOPUS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09-720(12쪽)
KCI 피인용횟수
19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서울시내에 유통 중인 음료 140건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로 음료의 유형별 카페인 함량을 파악하였으며, 서울시내 강남ㆍ북에 위치한 3개 학교 9학급 267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음료의 선호도 및 섭취량을 설문조사하여 어린이들의 카페인 섭취량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어린이들의 음료를 통한 카페인 섭취의 위해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기 위하여 “카페인 섭취를 줄이자”라는 제목으로 여름방학 전에 강의, 프레젠테이션 및 동영상을 활용한 영양교육을 실시하였다. 영양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여름방학 후에 음료의 선호도와 섭취횟수를 다시 설문조사하여 교육 전ㆍ후의 실생활에서 카페인에 대한 인식과 섭취량의 변화를 토대로 결과를 비교하였다. 교육대상의 연령은 6~7세(2학년)가 88명(33.0%), 8~9세(4학년)가 95명(35.6%) 및 10~11세(6학년)가 84명(31.4%)이었으며, 아동의 성별은 남아 142명(53.2%), 여야 125명(46.8%)으로 연령별 및 성별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어린이들의 음료에 대한 선호도는 탄산음료(27%) 및 과실ㆍ채소음료(27%)>이온음료(26%)>초콜릿음료(7%)>유제품(6%)>비타민 및 기능성음료(3%)>녹차음료(2%)>홍차음료(1%)>커피(1%)의 순서였다. 유통 중인 음료의 유형별 카페인 함량은 커피(33.8±2.4~49.1±5.6 ㎎/100 mL)>커피우유(10.6±3.3 ㎎/100 mL)>콜라(6.0±2.4 ㎎/100 mL)>녹차, 홍차, 및 우롱차함유 액상차(2.3±1.9~4.1±0.6 ㎎/100 mL)>초콜릿우유 및 음료(1.6±0.7~1.7 ㎎/100 mL)>홍차함유 고형추출차(1.3±1.7 ㎎/100 mL) 순서로 높았다. 유통음료의 카페인 함량과 어린이들의 음료 섭취빈도를 설문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전체 어린이들의 음료를 통한 평균 카페인 섭취량은 5.9±11.2 ㎎/person/day이었다. 음료를 통한 카페인 섭취량이 8~9세는 0.0~22.0 ㎎/person/day(평균 4.2±5.6 ㎎/person/day) 그리고 10~11세는 0.0~80.5 ㎎/person/day(평균 7.9±13.1 ㎎/person/day)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섭취량이 늘어났으며, 성별에 따른 섭취량은 남자가 0.0~80.5 ㎎/person/day(평균 6.9±12.8 ㎎/person/day), 여자가 0.0~67.5 ㎎/person/day(평균 4.8±9.0 ㎎/person/day)로 남자 어린이들의 카페인 섭취량이 여자 어린이들에 비해 높았다. 또한 어린이들이 카페인을 섭취하게 되는 음료의 유형은 커피 57%(평균 3.4 ㎎/person/day)>커피우유 20%(평균 1.2 ㎎/person/day)>탄산음료 15%(평균 0.9㎎ ㎎/person/day)>초콜릿우유 6%(평균 0.4 ㎎/person/day)>비타민 및 기능성음료 2%(평균 0.1 ㎎/person/day)의 비율이었다. 교육전ㆍ후 카페인함유음료의 선호도 및 섭취량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음료의 선호도 변화는 카페인함유음료 모두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선호도가 감소하였다. 특히 탄산음료, 커피, 비타민 및 기능성음료의 선호도 평균값이 각각 교육 전 3.25, 2.50 및 3.30에서 교육 후 3.07(t=2.084), 2.29(t=2.174) 및 3.04(t=3.002)로 감소하였다. 즉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탄산음료, 커피, 비타민 및 기능성 음료의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여(p<0.05, p<0.05, p<0.01) 카페인 섭취를 줄이고자 하는 영양교육의 효과가 나타났다. 연령별 교육 후의 선호도변화는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던 청량음료, 커피, 비타민 및 기능성음료의 경우 연령이 높아질수록 감소폭이 낮아졌다. 교육전ㆍ후 카페인함유음료를 통한 카페인 섭취량 변화는 커피를 제외한 카페인함유음료 모두 교육 후에 카페인 섭취량이 감소하였다. 특히 탄산음료, 초콜릿함유음료, 비타민 및 기능성음료를 통한 카페인 섭취량 평균값이 각각 교육 전 0.88 ㎎/person/day, 0.36 ㎎/person/day 및 0.13 ㎎/person/day에서 교육 후 0.65 ㎎/person/day(t=2.736), 0.27 ㎎/person/day(t=2.217) 및 0.08 ㎎/person/day(t=3.171)로 카페인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p<0.01, p<0.05, p<0.01) 영양교육 후의 카페인 섭취에 대한 식습관이 개선되는 영양교육의 효과가 나타났다. 연령별 교육 후의 카페인 섭취량 변화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던 초콜릿함유음료, 비타민 및 기능성 음료의 경우 6~7세의 어린이들만 교육 전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여(p<0.05, p<0.05, p<0.001), 선호도와 같이 영양교육에 대한 효과가 연령이 높아질수록 낮았다. 성별 변화는 남자아이들의 카페인 섭취량이 영양교육 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고(p<0.001, p<0.05, p<0.001), 여자아이들의 경우에는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영양교육으로 일부음료에서 카페인 선호도 및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어린이들이 카페인 섭취를 줄이려는 의식 및 행동변화를 보임으로써 식습관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한편 식습관의 변화를 확장하기 위해서는 교육기간의 확대, 교육방법의 변화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daily caffeine intakes in beverage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 caffeine contents of 140 commercial beverages were analys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ltraviolet detector (HPLC-UV) and information about their consumption were obtained by surveying 267 children. Researchers gave nutrition education to the children, who were 6 to 11 years old and attended 9 classes of 3 elementary schools, by lecture, Powerpoint file and moving picture. Their preference and intake amount on beverages were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 order on caffeine contents was coffee (33.8±2.4~49.1±5.6 ㎎/100 mL)> coffee milk (10.6±3.3 ㎎/100 mL)>cola (6.0±2.4 ㎎/100 mL)>greenㆍblackㆍoolong tea drink (6.0±2.4 ㎎/100 mL)>chocolate milk and chocolate drink (1.6±0.7~1.7 ㎎/100 mL)>black ice tea mix (1.3±1.7 ㎎/100 mL). The order on children's preference was carbonated drink and fruit and vegetable drink (27%)>sports drink (26%)>processed cocoa mix (7%)>milk (6%)>vitamin & functional drink (3%)>green tea drink (2%)>black tea drink and coffee (1%). The average daily caffeine intakes except tea drink was 5.9±11.2 ㎎/person/day (0.17±0.32 ㎎/㎏ bw/day), ranged from 0.0~80.5 ㎎/person/day for children. The sources of caffeine were coffee 57% (3.4 ㎎/person/day), coffee milk 20% (1.2 ㎎/person/day), carbonated drink 15% (0.9 ㎎/person/ day), chocolate milk and chocolate drink 6% (0.4 ㎎/person/day), and vitamin & functional drink 2% (0.1 ㎎/ person/day).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 preference of carbonated drink, coffee, vitamin drinks & functional drink wa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p<0.05, p<0.01) and the intakes of carbonated drink, chocolate milk & chocolate drink, and vitamin & functional drink were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p<0.01, p<0.05, p<0.01). This study has shown that nutrition education influences the preference and the intake behavior of caffeinated beverage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KCI등재 |
2014-06-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KCI등재 |
2014-04-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2 | 1.993 | 0.2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