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강원지역 제철 유적의 특징- 10년 간의 조사 성과를 중심으로 - = Characteristics of Metallurgical remains in Gangwon region
저자
심재연 (한림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3-80(38쪽)
제공처
The number of ironworking sites in the Gangwon region has increased in quantity over the past decade, as compared to Metallurgical remains of the Korean Peninsula(한반도의 제철유적) published in 2012 and Metallurgical remains of the Korean PeninsulaⅡ published in 2023.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are various limitations in identifying the aspects of ironmaking technology in each period instrumentally.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ironworking remains in Gangwon Province.
The number of iron production sites from the Iron Age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continues to increase, but the transportation routes of iron materials used for iron production remain unclear. Regions where the practice changed are mentioned, but the patter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Three Kingdoms is unclear.
After the unification of Silla, the number of ironworking sites increases, but there are few examples of sites that can be assigned to each period. Most of the sites have favorable dating, archaeometallurgical analysis, and organic explanations with companion artifacts that can identify the period of the seasonal remains.
However, the production of iron Buddhas in the late Silla and Goryeo periods and the workshops found in temples of the Goryeo period indicate that iron production, advanced casting processes, and ironware production were active, although the remains of iron production have not been clearly identified. In particular,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a forging process and a casting process (iron horse) at Gyesungsaji Temple has been confirmed, indicating the need for future research on the function and role of temple workshops.
The number of iron production and ironware production sites in the Joseon Dynasty has increased in the last decade, but formal investigations have not been conducted except at Samcheokpojinseong. Therefore,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ironmaking technology in the Joseon Dynasty. On the other hand, the distribution of iron production sites confirms that they are located along transportation routes. Therefore, the conventional view of Jamchae(潛採) and Saju(私鑄) needs to be enhanced.
While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ironworking sites in the Gangwon region is encouraging, the lack of detailed reporting of artifacts and derivatives and the absence of archaeometallurgical analysis hinder the identification of ironworking technologies.
In sum, while the number of ironworking sites in the Gangwon region has increased, the identification of the ironworking technologies practiced at each site has remained elusive. Therefore, the identification of iron and steel technology in Gangwon region requires active archaeometallurgical analysis of related artifacts and by-products recovered from various salvage excavations, mid- to long-term academic research by national institutions, and active cooperation with research institutions that have a complete archaeometallurgical analysis system.
강원지역 제철유적은 2012년에 발간된 한반도의 제철유적과 2023년에발간된 한반도의 제철유적Ⅱ을 비교하면 10여년 동안 양적으로는 증가하였지만 각 시대별 제철 기술의 양상을 계기적으로 규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강원지역 제철유적 조사 현황과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철기~삼국시대 철기 생산 유적은 증가하지만 철 소재의 반입 경로는 아직도불분명하다. 관행적으로 변진 지역이 언급되지만 삼국의 정립 이후의 양상은파악되지 않는다.
신라 통일 이후, 제철유적은 연대측정, 고고금석학적 분석 결과, 제철 유구의 시기를 파악할 수 있는 동반 유물과의 유기적인 설명이 유리된 경우가많아 시기를 특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다만, 신라 하대와 고려 전기에 보이는 철불의 제작과 고려시대 사원에서 확인되는 공방은 철 생산유적이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았지만 철 생산과 고도화된 주조 공정과 철기 제작이 활발하였음을 보여준다조선시대는 철 생산 유적은 증가하였지만 정식 조사는 삼척포진성이 유일하다. 한편, 철 생산 유적의 분포가 대부분 교통로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에서관행적으로 잠채(潛採)와 사주(私鑄)로 보는 견해는 재고가 필요하다.
강원지역 제철 유적의 증가는 고무적이지만 자세한 유구와 파생물에 대한보고가 미흡하고 고고금속공학적 분석의 부재는 제철 기술의 규명을 어렵게하고 있다.
종합하면, 강원지역 제철유적은 증가하였지만 제철 기술의 규명은 답보 상태에 있다. 때문에 강원지역 제철 기술의 규명은 각종 구제 발굴에서 수습되는관련 유물과 부산물의 고고금속학적 분석, 국가기관의 중장기 학술 조사와고고금속공학 분석 시스템 체계가 완비된 국가기관의 적극적인 연구와 지원이필요하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