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제주4‧3생존자들의 정신적 외상 연구 = A Study of the Trauma of Jeju 4‧3 Survivor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43-359(17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With March 1st, 1947 being a starting point, the Jeju 4‧3 occurred on April 3rd, 1948, the same period during which the cold war system was going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Soviet Union, following the Second World War. At that time, from 20,000 to as many as 30,000 local residents became victims of the power exercised mostly by the central government. Despite the great number of casualtie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qualitative research covering the trauma of 4‧3 survivors so far.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survivors is declining with age, there is an urgent need of more studies on their psychological trauma. As such,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btained from the field research notes of in-depth interviews with 16 4‧3 survivors, adopting thematic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reveal that the survivors have been experiencing frequent flashbacks and invasions in their daily life. Not only does the aftereffect of witnessing the massacre still have an impact on their lives, but they also re-experience it in their dreams. Moreover, rooted deeply in the minds of the survivors is the sense of regret for the victims who were killed without ever getting a chance to enjoy the material affluence of the present day. Even so, the survivors have been struggling to cope with psychological distress on their own, rather than share it with others. This study aims to vividly convey the trauma suffered by Jeju 4‧3 survivors through their voices, and further, to provide basic data in order to understand and sympathize the psychological wounds of 4‧3 survivors.
더보기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발발한 제주4‧3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과소련의 냉전 체제가 성립되는 과정에서 발생, 당시 2만 명에서 3만 명에 이르는 많은 주민들이 대부분 국가공권력에 의해 희생되었다. 많은 인명피해에도 불구하고 현재 4‧3생존자들에 대한 정신적 외상 관련 질적 연구가 미미하고, 생존자들이 고령에 접어들고 있어 이들에대한 정신적 외상 연구가 시급한 시점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심주제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4‧3생존자 16명과 심층면담한 현장 연구 노트를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4‧3생존자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종종 플래시백, 침습 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학살 목격으로 인한 후유증이 생활 속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꿈을 통해 재경험 하고 있었다. 또한물질적으로 풍족해진 현시대를 누리지 못하고 떠난, 희생자에 대한 미안함이 강하게 자리잡고 있었다. 그럼에도 생존자들은 4‧3로 인한 심리적 고통을 나누려 하기보다 스스로 이겨내고자 애써 노력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4‧3생존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정신적 외상을 생생하게 전달하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4‧3생존자들의 정신적 외상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심리적 상처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6-2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 KCI등재 |
2015-06-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Welfare For The Aged ->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4 | 1.64 | 2.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34 | 2.61 | 2.658 | 0.3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