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정부조직내 Balanced Scorecard의 정착을 위한 연구 - 미국의 각 정부조직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 = Establishing Balanced Scorecard within Government Organizations in Korea: Focused on the practices of the federal and local government of the U.S.
저자
강황선 (건국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5
작성언어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38(36쪽)
KCI 피인용횟수
39
제공처
Korean governments(both central and local) have a plan to adopt balanced scorecard as their primary strategic performance management tool. Adopting the cutting-edge tool, it seems that they have a positive belief that the well-known system will bring fascinating effect as it has done in other organizations and countries.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how the rationale and technique of balanced scorecard are adapted (not just adopt) to realties of Korean governments. There are two perspectives on performance measurement in the public sector: technical and political (social) perspective. The technical perspective considers performance measurement of public sector as a value-free gimmick so that it works regardless organizational, political and human factors. In contrast, political(social) perspective deals with performance measurement of public sector as the channel through which stakeholders of government inputs their interests into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governments. The utilization of BSC can be maximized for performance improvement in the public sector when not only BSC but also other performance measurement efforts are considered based on the political (social) perspectives.
Based on the political perspective, this study discusses how the federal and local government of the U.S. have adopted BSC and adapted themselves to the innovation system. Several crucial factors for implementing BSC are discussed: leadership, flexibl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jurisdiction, communication, feedback system, and education system. The peculiarities of Korean governments related to structure, leader's managerial authority, evaluation system are widely discussed based on those factors.
이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정부조직의 성과관리도구로 주목받고 있는 균형성과표(BSC)가 우리나라의 정부조직 내에 안정적으로 정착되기 위해 필요한 법적, 제도적 요건들을 제시하고 있다. 미국의 연방정부조직과 지방정부조직들 중에서 BSC를 그대로 채택하거나, 원형으로 삼아 변형된 형태의 BSC를 활용하고 있는 조직들로 보고된 조직들의 BSC운영실태를 분석하고, 이러한 운영실태가 우리나라의 정부조직 내 적용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필요조건들이 갖춰져야 하는지를 고민한 후에 결론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정부조직의 성과측정에 접근하는 두 가지 접근방법을 제시하여 이론적인 논거로 상정하였다. 정부조직의 성과측정체제를 정부성과관리를 위한 가치중립적인 기술적 도구로 볼 것인가? 아니면 가치 함축적인 조직통합의 전략의 하나로 볼 것인가? 하는 것이 이론적인 논거의 중심적인 내용이다. BSC가 제대로 조직 내 정착하지 못하고 실패하는 원인은 BSC를 하나의 기술적인 관리도구의 하나로 간주하고 BSC의 운영원리와 철학을 충분히 “우리 조직화”하지 못하는 성급함에서 기인한다는 것이 학자들과 BSC 관련 전문가들의 일관된 조언이다. 이 연구는 미국사회에서, 그것도 기업조직의 성과관리전략의 하나로 개발된 BSC가 우리나라의 정부조직에 도입되기 위해서는 가장 우선적으로 조직구조와 업무배분의 유연성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리더십, 환류시스템, 교육 및 홍보 전략 등 우리나라의 정부조직들이 BSC를 서둘러 도입하는 것 이외에 신중히 고민하고 사전에 준비해야 하는 요소들에 대해서 미국의 각 단위정부들의 경험을 근거로 제시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유력한 성과관리도구로 주목받고 있는 BSC를 좀 더 신중하고 주체적으로 도입할 것을 결론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3-1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 ->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4-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5-30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행정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5 | 1.75 | 1.5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8 | 1.39 | 1.761 | 0.4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