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修道庵 <熾盛光如來降臨圖> 硏究
저자
이동은 (동국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7-135(29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옛부터 사람들은 하늘에 떠있는 무수히 많은 별들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아왔 다. 이들에 대한 신앙이 불격․형상화 된 불교회화 작품이 치성광여래도이다. 치 성광여래도는 본존인 치성광여래가 중심이 되는 작품으로 지금까지 다양한 이명 으로 불리고 있으나 필자는 본 논고에서 치성광여래를 본존으로 하는 불교회화 작품에 대해 ‘치성광여래도’ 라 하였다. 치성광여래도는 크게 강림도 형식과 설법도 형식으로 나눠진다. 강림도 형식 은 수레를 끄는 소를 화면에 등장시키면서 치성광여래와 여러 성수들이 이동하려 는 의지를 갖고 있는 도상으로 본 논고의 주제인 수도암 <치성광여래강림도>는 강림도 형식으로 구분된다. 현존하는 치성광여래강림도는 중국의 사례인 897년 대영박물관 소장 작품이 가장 선구의 작품이다. 이 작품은 치성광여래가 소가 끄는 수레를 타고 오성과 함 께 움직이는 화면구성으로 오성은 「범천화라구요」, 「칠요양재법」에 근거하고 있 다. 고려시대 보스톤박물관 소장 작품은 현재까지 알려진 우리나라 작품 가운데 가장 이른 작품이다. 이 작품은 운미가 말린 구름 위에 소가 끄는 수레를 탄 치성 광여래가 오성을 비롯한 여러 성수들과 강림하고 있는 화면구성을 하고 있어 중 국의 영향을 받아 제작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보스톤박물관 소장 작품 은 협시보살과 칠성 등의 권속을 도해하면서 중국과는 구분되는 독자적인 도상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도상은 이후 1569년 고려미술관 소장 작품․1644년 혹은 1704년 수도암 작품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조선후기 작품의 경우에는 1855년 불 암사 작품을 시작으로 오성이 생략되고 칠성이 여래화되며 칠원성군․자미대제 등의 권속이 새롭게 등장하는 등 도상구성 요소가 변한다. 화면구성 또한 일반적 인 설법도에 소 또는 수레만 표현하고 있어 차이를 보이지만 조선후기 작품 역시 소 또는 수레가 표현된 것으로 보아 이전시기와 마찬가지로 이동하려는 의지는 충분하여 강림도 형식이다. 이처럼 조선후기 강림도 형식의 작품 대부분이 이전 시기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던 현 시점에서 고려시대․조선전기의 도상을 같이 하는 수도암 <치성광여래강림도>가 새롭게 발견되었다. 수도암 작품은 전란이후 조선후기 첫 작례이자 단일주제의 선묘불화 가운데 가장 이른 시 기의 작품이다. 이 작품은 화기에 의해 지리산 수도암에 봉안되었으 며 당시의 한 무인가에서 발원한 그림으로 시주자들의 생몰년을 통해 1592년부 터 1740년 사이에 해당하는 갑신년인 1644년 혹은 1704년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작품은 조선후기에 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도상의 면에서는 앞 시 기의 도상을 잇고 있는데, 협시보살의 도상이 고려시대 작품 이후 수도암 작품에 서 유일하게 확인되어 주목된다. 그러나 세부적인 몇몇 도상을 비롯하여 공간구 성 등에서 적지 않은 차이도 있었다. 수도암 작품이 선행 작품의 도상을 수용하면 서 변용시키기도 하였던 듯 이십팔수․삼태육성․남두육성 등을 재배치하고 십 이궁의 표현도 다소 차이를 보였다. 이처럼 수도암 작품은 고려시대․조선전기의 도상을 잇고 있어 조선후기와 이전시기의 도상을 이어주는 가교적인 역할을 함은 물론중국의 영향을 받은 고려 시대의 도상이 조선후기까지 이어져 왔음을 알 수 있게 해 주는 매우 중요한 자료 의 가운데 하나로 이 작품이 갖는 의미는 상당하다.
더보기From old days, people have offered a devout prayer to the heavens targeting star. A work, which was drawn by allowing faith in star to be Bulgyeokhwa(佛 格化: making any subject what has Buddhist qualification) in this way, is Chiseonggwangyeoraedo(熾星光如來圖: meaning the painting of flaming light Buddha). As Chiseonggwangyeoraedo is a work in which Chiseonggwangyeorae (熾星光如來) is pivotal as svadeva, it has been named diversely so far. However, a writer in this study called 'Chiseonggwangyeoraedo(熾星光如來圖)' on a work of Buddhist painting of having Chiseonggwangyeorae(熾星光如來: meaning the flaming light Buddha) as svadeva. Chiseonggwangyeoraedo is divided into a form of Gangrimdo(降臨圖: a painting of having drawn the image that God descends to the world from the heavens) and a form of Seolbeopdo(說法圖: a painting of having drawn the image that describes dogma of Buddhism). The form of Gangrimdo(降臨圖) is iconography that Chiseonggwangyeorae(熾星光如來) and several dependents have a will to move while being presented a cow of pulling a wagon on the canvas. And the form of Seolbeopdo(說法圖) is iconography that there is svadeva in the center of canvas and that dependents around it are standing, like other general Buddhist paintings. Out of this Chiseonggwangyeoraedo(熾 星光如來圖), a work of Sudoam(修道庵), which is pivotal in this study, belongs to the form of Gangrimdo(降臨圖). Thus, Chiseonggwangyeoraegangrimdo(熾 盛光如來降臨圖) will be examined intensively. Chiseonggwangyeoraegangrimdo (熾盛光如來降臨圖) in our country is introduced about 20 pieces. The works of Goryeo period and the early Joseon period are remained 1 piece, respectively. All of the others are works of the late Joseon period. The works in Goryeo period and the early Joseon period have the canvas construction that Chiseonggwangyeorae(熾星光如來), who rides a wagon pulled by a cow over the clouds in the center of canvas, is descending with Oseong(五星: five planetary stars close to the earth such as Venus, Jupiter, Mercury, Mars, and Saturn) while pointing to somewhere with a finger. As Oseong is element of iconography composition in China, it is based on 「Beomcheonhwaraguyo(梵天 火羅九曜)」and 「Chilyoyangjaebeop(七曜攘災法)」and is found even in a work of Goryeo period. And there is difference in constructing canvas and expressing dependents. However, it can be found even in a work of being possessed by Goryeo art museum in 1569 or in a work of Sudoam(修道庵) in 1704. However, a work of the late Joseon period is being presented only cow or wagon mostly with iconography of Seolbeopdo(說法圖) and is omitted even Oseong, thereby showing difference even in element of iconography composition as well as canvas construction. A work of the late Joseon period has been recognized so far to have been made quite differently from the work and the iconography of Goryeo period and the early Joseon period. However, a work of Sudoam(修道庵), which followed the iconography of prior works, was newly introduced to be noted. As a work of Sudoam is a picture that was enshrined in Sudoam(修道庵) of Mt. Jiri by heat of fire as Hwangseonmyo Buddhist painting and that was originated from a deserted house in those days, it could be known to have been made in 1644 or 1704 when is Gapshinnyeon(甲申年: the 21st year of the sexagenary cycle(六十甲子)) of corresponding to the days from 1592 to 1740 as Saengmolnyeon(生沒年: the year that a person was born and the year that a person was dead) of Sijuja(施主者: person of offering)s. This work is a single work that followed the iconography of Goryeo period in the face of having been made in the late Joseon period, but had considerable difference as well in the detailed part. However, the element of canvas construction and iconography composition is same, thereby being able to be said to be same in the essence. In other words, the work of Sudoam(修道庵), which has been examined so far, is one of very important materials that allows the iconography of Goryeo period, which was influenced by China, to have been continued up to the late Joseon period. Thus, the significance that this work has is great.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5 | 0.95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78 | 1.654 | 0.3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