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세종시 마을, 도로 등 명칭 제정의 성과와 의미 = The Results and Significances of Designation for the names of Villages and Streets in Se - jong Ci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40(36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Sejong’ has the significance of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located at center of Korea. It is new city which has constructed with high expectation and interest of people. The developments and arrangements for constituents of city have to be creative and appropriate to fulfill functions. The name is so important to be a foundation of life among constituents because they have the feelings of residents. Thus designation of name should be carefully decided up.
A public awareness of subordinate place name has not been high for superordinate place name. Service of designation in Sejong city could be estimated as a meaningful attempt in that way. It is a reflection of a government-related organization to designate names. A service of designating names in sejong city is an unusual and pioneering project in a history of place name.
It takes seven months from May to November to designate names of place names in Sejong city. The project is to suggest designating 1,100 names such as village names, school names, street names, infrastructure names. It was performed by scholars of Toponymy and Korean linguistics who are experts understanding place name as a language.
A cooperating with government-related organization makes the project easy in this process, which is a communication with the working groups of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 LH of Sejong city and Yeongi-gun.
Based on the data, the two suggestion for one object was presented pure korean words to be associated in the King Sejong's name and historical heritag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n existing named King Sejong's achievements and basic direction of the Sejong city's ideas. In addition, to resolve the dispute with the locals, the presentation had held about directions and methods for designating the names. The researches of preference and inviting public participation had been two times for forming the national consensus and participation about name of Sejong city. The result was reflected in the designation of name.
Then, the designation of specific name was proposed to specializes in Sejong city. For example, village name was reflected the functions of living zone and street name was reflected the information of location using the first consonants of Hangeul in name. And they were specialized to use specific vocabularies according to objects and parts.
The process and proposal about designation of Sejong city is a important precedent. The designation of subordinate place names except Sejong make the city function as a role. In that way, it is not only important but also give data to study Toponymy in the future. Also we are under destruction of data of individuals or groups or government. So this project is meaningful to leave the process of designating names. These results can remined us of the value and meaning about pure Korean names specialized for infrastructure such as the village of Sejong city.
‘세종(世宗)’은 나라 중심에 위치한 행정중심 도시를 상징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 세종시는 전 국민의 관심과 기대 속에 조성된 신도시이다. 그런 만큼 도시를 이룰 구성 요소들의 개발과 배치는 그 기능을 다 할 수 있도록 창의적이고 적절해야 한다. 그 중에서 입주민들의 삶의 터전이 될 공간에 대한 명칭은 중요하다. 언어의 형태로 존재할 명칭들에는 입주민들의 생활 감정을 고스란히 담아 낼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차적으로 명칭 부여의 언어 선택에 있어 신중을 기해야 한다.
명칭으로서의 지명 중 하위 지명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은 광역 지명에 비해 그리 높지 않다. 그런 점에서 하위 지명이 될 세종시의 명칭 부여 용역은 의미 있는 시도로 평가할 수 있다. 명칭 제정 관계 기관의 의지의 반영이라 할 수 있다. 세종시의 마을 등에 대한 명칭 제정 연구 용역은 명칭사(지명사)에 있어 드문 일이요, 선구적인 과제였기 때문이다.
세종시의 하위 지명에 대한 명칭 부여는 2011년 5월부터 11월까지 7개월에 걸친 작업이다. 법정동명, 마을명, 학교명, 도로명과 기반시설명(공원명, 광장명, 교량명) 등 1,100여 개에 명칭을 부여하여 제안하는 과제이다. 이 과정에는 관련 기관과의 협조가 명칭 부여, 제안에 수월성을 제고하였다.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세종시 LH, 연기군 등의 실무진과의 소통이다. 신도시의 명칭 부여에 관련 기관의 의지를 반영한 것이기 때문이다. 의미 있는 부분이다.
이를 토대로 세종에서 연상될 순우리말 명칭, 기존의 전래지명을 통한 전통성과 역사성, 세종대왕의 업적과 세종시의 이념 등을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고, 하나의 대상에 대하여 2개의 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이 과정에는 지역민들과의 분쟁을 해소하기 위해 수차례의 명칭 부여 방향 및 방법 등에 대한 설명회를 가졌다. 또한 세종시의 명칭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국민들의 참여를 도모하기 위해 국민선호도 조사 및 공모를 두 차례에 걸쳐 시행하였다. 그 결과를 명칭 부여에 반영하였음은 물론이다.
그리하여 구체적인 명칭 부여는 세종시를 특화하는 방향에서 제안토록 하였다. 이를테면, 법정동명에서 세종시의 6개 생활권별 기능을 반영하여 제안했으며, 도로명에서는 한글 자모를 명칭의 초성에 사용하여 위치 정보를 주는 방법도 제안하였다. 그리고 분야별, 대상별 특정 어휘를 사용하여 특화하기도 하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9 | 0.19 | 0.2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3 | 0.27 | 0.603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