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武珍, 馬突·馬珍·馬等良, 難珍阿·月良, 難等良, 月奈에 대하여 - 光州, 馬靈, 鎭安, 高山, 靈巖의 옛 지명 - = A Study on origin of place - name such as Mujin(武珍), Madol(馬突)・Majin(馬珍)・Madeungryang(馬等良), Nanjina(難珍阿), Nandeungryang(難等良), Wolnae(月奈) - Old name of Gwangju, Maryeong, Jinan, Gosan, Yeongam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1-97(27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1. The ancient name of Gwangju(光州) can be traced back to ‘武珍’(Mujin), the old name of Mt. Mudeung(無等山). Mt. Mudeung was called ‘Mooldol’(무돌) which meant a file of columnar stones of Mt. Mudeung. ‘Mooldol’ was transliterated into 武珍’(Mujin) in Chinese letters.
2. ‘Maryeong’(馬靈), the place name in Silla(新羅) Dynasty, was changed from Madol(馬突), the placename in the time of Baekje(百濟). Madol(馬突) is Majin(馬珍) and Madeungryang(馬等良) in another name. I think ‘dol:jin:deung:ryeong’(突:珍:等:靈) has the same meaning. Baekje(百濟) name of Jinaksan(珍惡山) was changed as stone-mountain(石山). Therefore ‘dol:jin:deung: ryeong’(突:珍:等:靈) means stone(돌・ᄃᆞᆯ). Especially Madol(馬突), Majin(馬珍), Madeungryang(馬等良), Maryeong(馬靈) are the old name of Maryeong-myeon(馬靈面), Jeonbuk-province(全北). Mt. Mai(馬耳山) is at Maryeong-myeon(馬靈面). On the peak is Mai- mountaintop(馬耳峯) which is soaring above high like ears of horses. In conclusion, I think Madol(馬突), Majin(馬珍), Madeungryang (馬等良), Maryeong(馬靈) were named from configuration of the ground.
3. The name of Jinan-county(鎭安郡), located in Jeonbuk(全北), was Nanjina(難珍阿) in the time of Baekje(百濟) dynasty. Jinan-county(鎭安郡) is very close to Mai-mountaintop(馬耳峯) on the Mai-mountain(馬耳山). I think Nanjina(難珍阿) is named from two high and grat stones like horse-ears. Therefore Nan(難) is indicated as letter to ‘Na-’(出) sound, and Jin(珍) is the letter of ‘dol'(돌) sound. On the ground of former explanation, NanJin(難珍) is place-name meaning ’projected stone’ from earth surface. Jinan(鎭安) is the name that Jin(珍) and A(阿) are replaced with Jin(鎭) and An(安) respectively.
4. The place-name, ‘Gosanheon’(高山縣) can be traced back to ‘Nandeungryang’(難等良), a place-name in the time of Baekche(百濟) dynasty. By the reason that Ansu-mountain(安峀山) was at Gosanhyeon(高山縣), this county(縣) was named from the Ansu-mountain(安峀山) meaning comparatively high. In the ancient place name, ‘dal(達)’ was ‘mountain(山)’ and ‘high(高)’. ‘dal(達)’ is pronounced as ’달(dal)‘. Vowel is different from ’dol(石), but in ancient Korean letters, ‘아(a), 오(o) and 우(u) sounds were not factors that made different meaning by their occurring environment. So ‘dol:jin:deung:ryeong’(突:珍:等:靈) was used as ‘돌・ᄃᆞᆯ’(石=stone) and also ‘ᄃᆞᆯ’(月=moon). I think ‘等(deung) of Nandeungryang(難等良) is meant ‘ᄃᆞᆯ’(stone), ‘難(nan)’ is ‘난'(nan), a modifier form of ‘나다(nada)(出)’ and ‘良’ of ‘等良’(deungryang) is a suffix form of ‘아・라’ in ‘ᄃᆞᆯ+아>ᄃᆞ라’. In conclusion, Nandeungryang(難等良) is the sound of ‘난ᄃᆞ라’ is used as the place name.
5. The place-name ‘Yeongam’(靈巖) can be traced back to ‘Wolnea’(月奈), a place-name in the time of Baekje(百濟) dynasty.
Yeongam(靈巖) was called Wolnea(月奈) in Baekje(百濟) dynasty. Wolseang(月生) and Wolchul(月出) was called in Korea(高麗) and Josun(朝鮮) Dynasty successively. Mt. Wolchul(月出山) is the most beautiful one with fantastuc rocks and stones second to Mt. Geumgang(金剛山). So it was called small Mt. Geumgang(金剛山). ‘月(wol)’ is ‘달(dal)’ by the present meaning. But, in old times, because the sounds of ‘달’ and ‘돌’ was heard same, even if ‘돌’ was pronounced as ‘달’ they understood as ‘돌’. For that reason, ‘돌(dol)’ was written as ‘달(dal)’ meaning ‘月(wol)’. Accordingly I think Wolnea(月奈) is the name originated from fantastic rocks soaring high in Mt. Wolchul(月出山).
1. 光州와 無等山의 옛 지명 ‘武珍’은 무등산의 속지명 ‘무돌’의 차자표기라 생각한다. 즉 ‘무돌’은 무등산에 무수히 많은 柱狀節理의 돌기둥에서 유래한 것으로 돌이 많다는 의미에서 ‘물’(무리,衆)과 ‘돌’(石)이 합성한 ‘물돌>무돌’일 것인데, ‘물’은 ‘ㄷ’ 앞에서 ‘ㄹ’이 탈락한 ‘무’를 ‘武’로 음차하고, ‘돌’은 ‘珍’으로 훈차하여 ‘武珍’으로 표기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2. ‘馬突:馬珍:馬等良>馬靈’은 ‘突:珍:等:靈’의 대응과, ‘珍惡山’이 ‘石山’으로 개정된 점에 근거하여 ‘突’은 *tol~*tʌr의 음차표기로 밝혀졌고, 이 지명이 암수馬耳峯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馬突, 馬珍’은 ‘ᄆᆞᆯᄃᆞᆯ>ᄆᆞᄃᆞᆯ’(馬石)의 借字表記로, ‘馬等良’은 ‘ᄆᆞᆯᄃᆞᆯ+아>ᄆᆞᄃᆞ라’의 차자표기라 생각한다.
3. 鎭安의 ‘難珍阿’도 馬耳峯에서 유래한 지명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難’은 ‘나다’(出)의 관형사형 ‘난’의 음차 표기, ‘珍阿’는 ‘ᄃᆞᆯ+아>ᄃᆞ라’의 차자(훈음차+음차) 표기로 볼 수 있다. 아울러 ‘月良’는 難珍阿에서 ‘難’을 뺀 ‘珍阿’의 同音異表記라 생각하며, 鎭安은 경덕왕의 한화정책에 따른 ‘珍阿’의 ‘珍’이 ‘鎭’으로, ‘阿’가 ‘安’으로 개칭된 중국식 2자 지명일 가능성을 제기한다.
4. 高山縣의 이칭 難等良은 高山縣의 진산 안수산의 뾰족하게 나온 달걀봉(절벽암봉)에서 유래한 지명일 가능성으로 보아 ‘難’은 ‘나-’(出)의 관형사형 ‘난’의 음차자로, ‘等’은 ‘’의 음차자로 보아 ‘난ᄃᆞ라’를 표기일 가능성을 제기한다.
5. ‘月奈, 月生, 月出, 靈巖’의 ‘月奈’는 月出山이 기묘하게 솟아난 돌산이기에 이런 形狀을 소재로 ‘돌이 나온 산’이란 의미에서 불린 지명으로 보아, 月奈의 ‘月’은 ‘ᄃᆞᆯ’(石)의 훈음차로, ‘奈’는 ‘나-’(出․生)의 음차자라 생각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9 | 0.19 | 0.2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3 | 0.27 | 0.603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