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난소암 생존자의 삶에 대한 예술기반 내러티브 탐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3.89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2(32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난소암 생존자의 삶에 대한 풍부한 이해와 의미를 예술기반 내러티브 탐구를 통 해 발견하고, 난소암 생존자가 그림을 통해 어떻게 삶을 이야기하고 수용해 가는지 탐구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난소암 판정을 받고 수술과 항암치료를 마친 30대 여성이다. 2020 년 10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2회의 사전면담과 12회의 미술치료를 진행하며 참여자의 미술 작품, 연구자의 반응작업, 저널, 연구 일지 등을 통해 현장 텍스트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 의 삶의 경험에 관한 이야기는 <동굴에서 힘차게 나오지만>, <어두운 터널로 들어가다>, <막 터널에서 빠져나와>, <고개를 들어 빛을 바라보다>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미술치료 경험에 관 한 이야기는 <나를 만나러 가는 길>로 기술하였다. 경험 이야기를 통해 이해한 연구 참여자의 삶의 의미는 <어둠이 나를 집어삼켜도>, <사랑의 투쟁으로 피어나다>, <서로를 구원하다>이 며 <자아의 신화를 찾아가는 길>은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 구가 난소암 생존자의 삶의 경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암 생존자 특히 여성 암 생존자 를 위한 미술치료 개입에 대한 경험적 정보를 제공하여 난소암 생존자의 심리적 개입 방안에 기틀이 될 수 있음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The objectives of study were to have deep understanding and discover meanings of the life of ovarian cancer survivor by the art-based narrative approaches by investigating the progress of story-telling and embracing the life through paintings. The participant was a woman in her 30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the ovarian cancer and undergone surgery and chemotherapy.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from October to December, 2020 through two pre-intervention interviews and 12 sessions of art therapy consisting artworks by the participant and the responsive art, journals, and daily research logs of the researcher. The life experience stories of the participant is found in 'Even though I came out of a cave boldly,' 'Going into a dark tunnel', 'Just getting out of the tunnel', and 'Raising my head to look at the light.' The experience of art-based therapy is stated in ‘The path towards finding the myth of the self.’ The interpretation of the life of the participant derived from the art therapy experience is identified in 'Even though darkness devoured me', 'Blossoming through a struggle of love', and 'Becoming each other's savior.' The meaning of the art therapy experience is stated in 'The path towards finding the myth of the self.’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an increased understanding of the life experiences of ovarian cancer survivors and providing the empirical data for the intervention of art therapy, thereby helped to lay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methods for psychological interventions, especially for female cancer survivors.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