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간도의 조선인 축구 - 마을과 학교에서 민족으로 - = Soccer Games among Koreans in Gando: From Villages and Schools to Ethnicity
저자
이동진 (경북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13-353(41쪽)
KCI 피인용횟수
6
제공처
소장기관
The soccer games in Gando’s Korean society developed into a village event, a school event, and then a district event, and eventually became a national event. This indicates that the soccer game strengthened the national identity of these Koreans. Such development of the soccer events in Gando’s Korean society from the mid-1920s to the mid-1930s implies both the political situation the Koreans in Manchuria faced and the reaction they showed against it. The foothold of the development was the school sports events that began in 1910. The school athletic event was for villagers as well as for students, and gave birth to games like soccer matches. With the heat of the sports event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sports matches, those games solidified the identity of groups which were comprised of players and cheering squads. Reflecting the politics in Manzhouguo, the soccer matches in a school and a village took on a political movement, and this in turn raised the temperature of the games. As the students graduated, they formed groups such as youth associations, and these associations organized sports events, and then a group specializing in athletic games was born: an athletic association. This association then organized sports events on a larger scale, resulting in forming the identity of a district beyond schools and villages. The identity of the district was none other than the ethnic identity in Gando where most of the citizens were Koreans. Through soccer matches, Koreans in Gando could imagine ethnicity beyond their region. This is also why Korean players came to the front in Manchuria’s world of soccer.
더보기간도 조선인 사회에서 축구는 마을과 학교의 행사에서 지역의 행사로, 나아가 민족의 행사를 발전하였다. 이것은 축구가 민족 정체성을 강화하였음을 뜻한다. 간도의 조선인 사회에서 축구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1910년대 중반, 1920년대 중반, 1930년대 중반이 각각 획기를 이루었다. 간도의 조선인 축구는 1910년대에 시작된 학교 운동회-학생들을 위한 행사였을 뿐만 아니라 마을 주민을 위한 행사이기도 하였던-에서 인기 종목으로 시작되어 마을의 축제(체육대회)와 지역 축제에서 인기 종목으로 발전하였다. 체육대회가 인기가 있었던 것은 선수와 관중(응원단)으로 구성되는 공동체의 결속이 소문과 미디어의 보도를 통해서 운동장 바깥으로까지 확장이 되면 그 과정에서 정체성이 강화되기 때문이다. 축구 종목은 가장 인기있는 종목의 하나로서 곧 공동체의 정체성을 강화시켰을 뿐 아니라 공동체의 정체성으로 인해서 더욱 발전할 수 있었다.
초등학교가 마을을 대표하는 반면에 도시에 소재하는 중등학교는 더 이상 마을을 대표하지 않지만 주로 용정에 소재하는 조선인 사립 중학교들은 설립 주체와 이에 따른 정치적 색채가 달랐던 탓에 자주 정치적 정체성을 대표하기도 하였다. 초등학교나 중학교를 졸업한 사람들은 다시 마을에서 여러 종류의 ‘청년회’를 만들었고 이 청년회가 축구 대회를 개최하였는데, 이 경우 청년회도 정치적 색채를 띠는 경우가 많았다. 체육대회 자체도 발전해서 1920년대 중반에는 ‘간도체육회’가 설립되어 간도체육대회를 주최했다. 이렇게 해서 축구의 경쟁의 범위가 확장되고, 정체성의 경쟁도 마찬가지로 확장되었다.
만주국 수립 이후에는 특히 1930년대 중반에는 간도체육회 대신에 전국적인 규모의 체육단체가 설립되어 전국 규모의 체육대회를 개최했다. 이 시기에 간도의 조선인 축구를 위시한 만주국의 조선인 축구-목단강성과 길림성 등-가 비약적인 발전을 거두었다. 이러한 조선인 축구의 약진은 조선 내지에서도 나타났는데, 양자의 배경에는 모두 축구로 표상되는 민족이라는 공동체와 민족주의라는 정체성이 있었다. 축구를 통해서 간도의 조선인들은 지역 범위를 넘어서 민족을 상상할 수 있었다. 이것이 조선인 축구 선수들이 만주의 축구계에서 활약할 수 있었던 이유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8 | 1.18 | 1.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6 | 0.98 | 2.155 | 0.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