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OpenAccess구로노동자문학회의 형성과 전개 =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Guro Workers’ Literature Society’
저자
장성규 (건국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81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41-504(6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글은 1980~90년대 노동자 글쓰기의 한 전범인 ‘구로노동자문학회’의 형성과 전개 과정을 실증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시주, 조기조, 송경동, 김사이, 이영신 등 주요 구성원들의 구술 자료와, 『생활과문학』, 『삶글』 등을 비롯한 문집, 소식지, 회보, 각종 자료집 등의 기초 자료를 활용하였다. ‘구로노동자문학회’는 1988년 문을 연 ‘노동자문화학교’에서 시작되어, 1989년 기존의 학출—간사체제에서 노동자회원체제로 재편을 거쳐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고, 2006년 2월 해소할 때까지 만 18년 동안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초창기 구로노동자문학회의 형성 과정에서는 87년 노동자대투쟁을 계기로 확산된 노동문학의 문제의식이 배경으로 작동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유시주, 김윤태 등 이른바 ‘학출’들이 ‘문학’과 ‘노동’을 매개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후 80년대 후반부터 90년대 초반까지는 기존의 엘리티즘적 문학 개념을 비판하며, 문학의 새로운 주체로서의 노동자 계급을 호명하기 위한 다양한 미학적 모색이 두드러진다. 90년대 중후반 이후 전반적인 노동운동의 퇴조 속에서 구로노동자문학회 역시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 시기 구로노동자문학회는 80년대 문학과 단절된 것으로 간주되어온 90년대 주류적인 문학적 흐름을 비판하며, 대안적인 문학 생산~유통의 메커니즘을 고민한다. 이후 조기조, 황규관, 송경동, 김사이를 비롯한 구성원들은 개별 창작자로서 활동하며 노동문학의 자기 갱신을 지속적으로 모색한다. 구로노동자문학회는 노동과 문학을 분리시켜 사유하는 관습과 특정 계층에게 독점된 문학 개념을 극복한 구체적인 사례라는 점에서 그 문학사적 위상이 높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This article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Guro Workers’ Literature Society’, a typical example of workers’ writing in the 1980s and 1990s. To this end, interview data from major members such as Yoo Siju, Jo Gijo, Song Kyungdong, Kim Sai, and Lee Young-shin, as well as basic data such as anthologies, newsletters and various data collections, were used. ‘The Guro Workers’ Literature Society’ began at the ‘Workers’ Culture School’, which opened in 1988, was reorganized in 1989, and was renamed the current name, and was active for 18 years until it was disbanded in February 2006.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Guro Workers’ Literature Society’ in the early days,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of labor literature, which spread in the wake of the ‘Workers’ Great Struggle in 1987’, worked against the background. In particular, so-called “Hakchool” such as Yoo Sijoo and Kim Yoonta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ediating “literature” and “labor” in this process. Since then, from the late 80s to the early 90s, the existing concept of elitist literature has been criticized, and various aesthetic searches are prominent to position the working class as a new subject of literature. Since the mid-to-late 1990s, the ‘Guro Workers’ Literature Society’ has also experienced difficulties amid the overall decline of the labor movement. During this period, the ‘Guro Workers’ Literature Society’ criticizes the mainstream literary trend in the 1990s, which has been regarded as disconnected from literature in the 80s, and considers alternative literary production~distribution mechanisms. Since then, the members, including Jo Gijo, Hwang Gyugwan, Song Kyungdong, and Kim Sai, work as individual authors and continue to seek self-renewal of labor literature. The ‘Guro Workers’ Literature Society’ can be evaluated as having a high literary history status in that it is a specific example of overcoming the custom of thinking separately between labor and literature and the concept of literature monopolized by a specific class.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