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문화와 세계화: 국제적 비디오와 지역적 미술관 = Cultural Globalization: Global Video and Local Museum-Nam June Paik and Musealization
저자
김은지 (백남준아트센터)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11-122(12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어디서나 동일하게 이해되고 수용되어지는 예술 작품이 있을까? 이때 지역사회의 고유한 전통과 역사 및 관습 및 종교는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일까? 1980년대 이후세계화가 진행되면서 무수한 부정적 결과들에 대한 논쟁이 이어져 왔다. ‘획일화' 그리고 ‘단일화’ 현상이 그 일례중 하나일 것이다. 하지만 ‘문화정체성(cultural identity)'의 능력이나 그 잠재된 힘에 대해서는 세계화와 결부해 그 의미를 정립해 내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에선 유럽과 아시아-서북유럽과 일본의 경우를 배경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백남준과 같은 예술가와 그의 비디오 예술 작품을 예로 들어 '문화의 세계화'가 어떻게 전개 되어 가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동시성과 끝없는 확산과정 그리고 시공간을 초월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는 “세계화”의 정의에 입각해 1975년부터 시작된 백남준의 비디오 예술의 세계화에 대해 분석한다. 이때 세계 어디서나 사회공공문화예술기관으로서 동일한 위상을 지닌 미술관에 의한 수집과 이 수집을 통한 확산과정을 토대로 (백남준 비디오예술)세계화의 과정을 분석하며, 동시에 그의 작품 세계화 과정이 지역적 수용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유럽과 아시아에서의 백남준 비디오작품에 대한 분석과 해석을 토대로 증명해 낸다. 더불어 지역화 된 백남준의 예술세계는 지역의 고유성만큼 다양한 해석이 이루어지며 이것은 곧 문화정체성에 의거한 것이라는 분석을 해낸다. 이는 곧 동일한 해석, 유사한 수용은 이루어 질 수 없다는 것으로 획일화된 (문화의)세계화란 탁상공론에 불과하다는 증거를 제시한다.
If there could be an art work which is understood global similar, in face of different local tradition, history and religion? What kind of roll had have these local element for globalization? Since 1980´s, many discussions were given one for the globalization which might have various negative aspects, above all cultural unity or "one world". But infrequently was spoken about abilities of cultural identity and its potential power. In following text will be shown in the case of Europe and East Asia, especially Western Europe and Japan how spreads and develops art work of worldwide well-known artist like Nam June Paik who is regarded as pioneer of video art and symbol figure for media art in der world. Also it will be trying therewith to follow trace of cultural globalization.
Globalization is defined as simultaneousness, endless distribution and distance without time and space. On the definition, one can see the beginning of globalization of video art Paik's since 1975. For the case of Paik will be analysed by collections of museums which are existing everywhere worldwide with same representative roll and function as public social cultural art institution. Through spread of collections will be shown how is localized video art Paik's by local analyse and interpretation in local context. At the same time will be verified power of cultural identity and also cleared "one world" by globalization as armchair argument.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2-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4 | 0.34 | 0.512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