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확률형 아이템의 사행성과 규제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Speculative Feature and Regulation of Loot Box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71-197(27쪽)
제공처
소장기관
Lootboxes, also called 'Gacha', are currently a popular payment model for mobile games. On the other side of profit maximization is excessive spending by users due to excessively low set probabilities. Criticisms have been raised that this is similar to gambling or speculative games in that it hinders healthy work consciousness and invests a huge amount of money in chance.
In order for a loot box to be a gambling or speculative game product, it must meet the three speculative criteria: whether or not property value was invested, the contingency of the method, and whether or not the invested value generated profit or loss. Applying this criterion, the characteristics of loot box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ecause it is acquired through game money, property value is invested. However, such an act of input is evaluated as similar to the act of purchasing a product. Second,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generation of profit or loss for the result.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exchange acquired game items into legal currency. As such, loot boxe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speculative game product.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ny the contingency of the loot box and the speculative element of the psychology of a fluke, so it is necessary to properly control it. Rather than active regulation, it is preferable to prohibit deception of users and to ensure users' free choice by disclosing probability information. It should be required that the game industry's voluntary efforts to urge it. Not only should be strengthening the self-regulatory code to match the regulatory level of developed countries, but also gaining competitiveness in the high quality of game contents, not loot boxes.
가챠로 잘 알려진 확률형 아이템은 다수의 온라인, 모바일 게임에서 채택된 과금 모델이다. 아이템 취득에 우연성을 가미하여 요행을 노리는 심리를 자극하는 방식으로, 이용자의 과다한 지출을 유도한다. 이는 건전한 근로의식을 저해하는 것은 물론이고, 많은 금액을 투입하여 낮은 확률의 대가를 노린다는 점에서 도박이나 사행성게임물과 행태적 근친성을 가진다.
확률형 아이템이 도박이나 사행성게임물에 해당하려면 재산적 가치의 투입 여부, 방법의 우연성, 투입한 가치의 손익 발생 여부라는 세 가지의 사행성 판단기준에 부합하여야 한다. 이 기준을 적용하면 확률형 아이템의 성격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게임머니를 통한 취득이라는 점에서 재산적 가치를 투입한 것이다. 다만, 이러한 투입행위는 상품의 구매행위와 유사한 성격을 가진다. 둘째, 결과의 손익 발생을 특정하기 어렵다. 획득한 게임 아이템을 이용자간 교환하기 어렵고 환전하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이처럼 확률형 아이템은 사행성게임물과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확률형 아이템이 지닌 본질적인 우연성과 요행을 노리는 심리를 자극하는 사행적 요소를 부정하기 어려우므로 이를 적절하게 통제할 필요가 있다. 적극적인 규제보다 이용자의 기만 금지 및 확률정보의 투명한 공개로 이용자의 자유로운 선택을 보장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게임산업의 자정적 노력이 촉구된다. 자율규제 강령을 선진국의 규제수준에 버금가도록 강화하는 한편, 확률형 아이템이 아닌 게임 콘텐츠의 높은 질에서 경쟁력을 가지는 것이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