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OPUS
유방 절제술 환자의 척추 측만 변화: 다중채널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분석 = Scoliotic Change in Patients Having Undergone a Mastectomy: Analysis Using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Purpose: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scoliotic curvature and postoperative change of the chest wall among patients who underwent a unilateral mastectomy.
Materials and Methods: Subjects were comprised of 56 women who underwent chest CT and a whole spine standing anteroposterior view (WSSAP). Cobb’s angle and each side of the chest wall volume, including the breast, were measured with the WSSAP and a 3-D reconstructed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image. A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the scoliotic curvature and chest wall volume asymmetry. Directional correspondence between development of scoliosis and undergoing a mastectomy was analyzed. Furthermore, a survey on patient shoulder function was performed using a questionnaire and a correlation was performed between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the scoliotic curvature and chest wall volume asymmetry.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Cobb’s angles were 4.4° ± 2.7 (Mean ± SD, range from 0.6 to 11.4). Differences in chest wall volume were 474.64 ± 276.36 cm^3 (Mean ± SD, range from 78 to 1379).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ed between the degree of scoliotic curvature and chest wall volume asymmetry (p > 0.05). A cross-tabulation analysis of the direction between the scoliotic curvature and mastectomy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01).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houlder function assessment score and the degree of scoliotic curvature (p = 0.003), whil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houlder function assessment score and chest wall volume asymmetry (p = 0.091) could be found.
Conclusion: Scoliotic change had a tendency to b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astectomy and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volume asymmetry. Thus, 3-D reconstructed MDCT images are helpful in differentiating selective volume differences.
목적: 유방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들에서 유방을 포함한 양측 흉벽의 변화와 척추의 측만곡 변화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대상은 유방암으로 일측유방절제술을 받은 후 흉부 CT로 추적관찰을 시행하던 환자 중, 전척추기립전후촬영을 시행한 56명의 여성 환자였다. 척추 측만곡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Cobb’s angle을 측정하고 양측의 유방을 포함한 흉벽 조직의 부피를 3차원 재구성 multi-detector CT (이하 MDCT) 영상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만 변화와 양측 흉벽 부피의 차이 간의 상관분석을 하였고, 수술 방향에 따른 측만곡 진행 방향에 대한 교차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어깨 관절 기능 평가를 위한 설문조사를 하여, 측만 변화와 양측 흉벽 부피 차이와의 상관분석을 각각 시행하였다.
결과: 56명의 환자에서 측만 변화는 평균 4.4°± 2.7(범위: 0.6~11.4)이었고, 유방을 포함한 양측 흉벽 부피의 차이는 평균 474.64 cm^3 ± 276.36(범위: 78~1,379)이었다. 측만 변화와 유방을 포함한 양측 흉벽 부피의 비대칭 정도 간의 상관분석에서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으나(p > 0.05), 수술 방향에 따른 측만곡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01). 어깨 관절 기능 평가 점수는 측만 변화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p = 0.003), 양측 흉벽 부피 차이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 = 0.091).
결론: 일측 유방절제술 후 측만 변화는 수술 부위의 반대측에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고, 좌우 유방 및 흉벽 부피의 차이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흉벽 부피 측정에 사용된 3차원 재구성 MDCT 영상은 선택적인 조직의 부피 측정에 유용하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KCI등재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11-2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JKSR) | KCI등재 |
2016-11-1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9-1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방사선의학회지 -> 대한영상의학회지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 | 0.1 | 0.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06 | 0.05 | 0.258 | 0.0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