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선시대 조선과 명의 국경인식과 조명관계 = Perception of the border between Joseon and M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Ming in the Joseon period
저자
김경록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1-82(42쪽)
제공처
소장기관
조선은 건국이후 왕조의 정통성과 통치체제를 안정시키기 위해 대외관계를 적극적으로 맺었다. 조선의 대외관계는 명나라를 대상으로 한 외교관계이며, 여진족, 일본 등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다. 조선의 대외관계는 국제정세 속에서 형성되었으며, 정치적, 군사적 위협을 제거하기 위해 활발한 대외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했다.
원나라를 대신하여 동아시아 중심국가로 등장한 명은 홍무제 치세기간에 국내적으로 황제 중심의 일원적인 통치체제를 갖추고, 대외적으로 명나라 중심의 국제질서를 형성하고자 했다. 명나라는 동북쪽에 존재한 조선을 주변국으로 인정하고 요동과 한반도 북부에 거주하던 여진족을 명나라의 영향권 아래에 두고자 적극적인 회유정책을 시행했다. 구체적으로 명나라는 요동을 적극 통치하기 위해 군정체제를 갖추고 주변의 여진족을 대상으로 기미위소를 설치했다. 명의 영역으로 인식하지는 않았지만, 명의 영향력에 포함시켰다. 조선에 대해 압록강과 두만강을 경계로 국경을 설정하고 안정적인 국가관계를 형성하고자 했다.
조선은 고려를 대신하여 한반도의 국가로 등장한 뒤, 지속적으로 명나라와 안정적인 외교관계를 맺었다. 또한, 국제정세의 영향으로 여진족을 비롯한 북방민족이 침입할 것에 대비하여 한반도 북부에 거주하던 여진족을 조선의 영향권 아래에 두고자 했다. 이렇듯 조선과 명나라는 상호 요동과 여진족에 대한 영향력을 두고 갈등하기도 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조선과 명나라는 상호 인식한 국경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국제질서를 지향했다.
그러나 16세기 여진족이 통합되어 새로운 세력으로 등장하며 조선의 국경개념은 복잡하게 전개되었다. 여진족이 세력을 확장하는 과정에 조선은 명나라와 연계하여 적극적으로 여진족을 제어하고자 했다. 그러나 임진왜란이란 급변하는 시대상황으로 여진족의 성장을 억제하지 못했다. 여진족은 세력을 확장하며 두만강, 압록강 유역의 여러 여진부족을 굴복시키고, 전체 여진족을 통합한 뒤에 후금이란 국가를 세웠다. 후금은 본격적으로 명나라와 전쟁을 일으키고, 청나라로 개칭한 뒤 명나라를 멸망시켜 동아시아의 중심국가로 등장했다. 조선과 청나라의 국경문제는 조선과 명나라의 국경문제와 연속적인 성격과 함께 독자적인 성격이 있었다.
After the founding of the country, Joseon actively established foreign relations in order to stabilize the legitimacy of the dynasty and the ruling system. Joseon established friendly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Ming and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Jurchen and Japan. The external relations of the Joseon were shaped by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nd it formulated and implemented an active foreign policy to eliminate political and military threats.
The Ming, which replaced the Yuan as the central state in East Asia, sought to establish a unified governance system centered on the emperor domestically during the reign of the Hongwu Emperor(洪武帝) and externally to form an international order centered on the Ming. The Ming recognized Joseon in the northeast as a neighboring country and implemented an active policy of conciliation in order to bring the Jurchen, who lived in Liaodong and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 influence of the Ming. Specifically, the Ming established a military government system to actively govern Liaodong and set up a loose rein policy(羈縻政策) for the surrounding Jurchen. The Ming wanted to establish a border with Joseon along the Yalu river(압록강) and Tumen river(두만강) to create a stable relationship.
Joseon emerged as a state on the Korean peninsula, replacing Goryeo, and continued to have stable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Ming. In addition, Joseon wanted to keep the Jurchen, who liv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under Joseon's sphere of influence in case the northern ethnic groups, including the Jurchen, were invaded by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s such, the Joseon and Ming clashed over influence over the Liaodong and the Jurchen. Basically, however, Joseon and Ming maintained mutually recognized borders and sought a stable international order.
However, the concept of Joseon's borders was complicated by the consolidation of the Jurchen in the 16th century and their emergence as a new power. As the Jurchen expanded their power, Joseon, in conjunction with the Ming, actively sought to control them. However, due to the rapidly changing conditions of the Imjin War, the Joseon and Ming were unable to curb the growth of the Jurchen. The unified Jurchen founded the Later Jin(後金) and went to war with the Ming in earnest, renamed the Qing, and defeated the Ming, emerging as the center of power in East Asia. The border problems of the Joseon and Qing were both continuous and distinct from the border problems of the Joseon and Ming.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