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메이지시기에 발행된 조선지도와 국경 = Maps of Korea and Their Borders Published During the Meiji Era Japan
저자
박준형 (해군사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3-130(48쪽)
제공처
소장기관
이 논문은 메이지시기에 발행된 조선지도를 국경선의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그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메이지시기에 발행된 조선지도는 102건이다. 그 발행 시기는 운요호사건, 임오군란, 청일전쟁, 러일전쟁, 경술국치 등 한일관계상 중요한 시기에 집중된다.
조선지도는 국경선의 형태에 따라 5가지로 구분된다. 흑룡강 이남 만주지역을 포함시킨 A형 지도(6건)는 운요호사건 이전에만 발행되었다. 압록강․두만강 대안의 봉금지역을 포함시킨 B형 지도(8건)는 청일전쟁까지만 발행되었다. A․B형 지도는 압록강․두만강 이북지역까지 확장된 조선의 영토인식이 반영된 것이다. 압록강․백두산․두만강을 국경으로 표현한 C형 지도(40건)는 보다 정확한 지형정보가 수록된 조선후기 지도를 받아들인 결과로, 메이지시기 대표적인 조선지도로 활용되었다. 백두산을 제외시킨 D형 지도(16건)는 임오군란 직후부터 러일전쟁 발발 직후까지만 발행되었으며 동북아지도의 조선부분으로 많이 채택되었다. 간도가 조선영토로 포함된 E형 지도(32건)는 1894년부터 시작하여 러일전쟁기에 집중되다가 이후 1910년까지 지속적으로 발행되었다. 러일전쟁 전후로 이 지도가 집중적으로 발행된 것은 만주진출을 목표로 삼았던 일본에서 간도에 대한 관심이 그만큼 컸기 때문이다.
메이지유신 이후 일본에서 정한론의 부상으로 조선지도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다. 그러나 직접 조사한 지리정보가 축적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전에 수집했던 조선의 고지도를 재편집․수밖에 없었다. 이후 일본은 조선에 대해 직접 조사를 지속적으로 수행한 결과, 청일전쟁 전후로 조선의 국경에 대한 인식을 좀더 명확하게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categoriz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maps depicting Korea published during the Meiji era, 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 of borders. Approximately 100 such maps were published during this period, with publication peaks coinciding with significant events in Japan-Korea relations, such as the Unyō Incident, the Imo Mutiny, the Sino-Japanese War, the Russo-Japanese War, and the Japan-Korea Annexation Treaty.
The maps of Korea published in Japan during this era can be classified into five types based on their border representations. Type A maps, which include the Manchurian region south of the Heilong (Amur) River, were only published before the Unyō Incident. Type B maps, incorporating neutral zones on the opposite shores of the Yalu and Tumen Rivers, were published only until the Sino-Japanese War. Both A and B type maps reflect an extended territorial perception of Korea north of the Yalu and Tumen Rivers. Type C maps, depicting the Yalu River, Mount Baekdu, and the Tumen River as borders, became the predominant representation of Korea during the Meiji era. These maps reflected more accurate topographical information from late Joseon period maps adopted by Japan. Type D maps, which exclude Mount Baekdu, were published from immediately after the Imo Mutiny until shortly after the outbreak of the Russo-Japanese War. They were frequently used in Northeast Asian maps to represent Korea. Type E maps, including Gando 間島 as Korean territory, began to appear in 1894 and were published intensively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period, continuing until 1910. The concentrated publication of these maps around the Russo-Japanese War reflects Japan’s growing interest in Gando as it aimed to advance into Manchuria.
The surge in demand for maps of Korea followed the rise of Seikanron (the “Conquest of Korea” debates) after the Meiji Restoration. Initially, due to insufficient geographical data from direct surveys, Japan had to rely on re-edited versions of previously collected historical Korean maps. As Japan conducted more direct surveys of Korea,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borders became clearer, particularly around the time of the Sino-Japanese War.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