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화쟁과 한마음 사상: 원효의 갈등 해소법과 소통의 철학 = The Dialectic of Reconciliation and the Doctrine of One Mind: Wonhyo's Methodology for Conflict Resolution and His Philosophical Perspective on Communication
저자
이종성 (충남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34(30쪽)
제공처
본 논문은 원효의 화쟁 사상과 한마음 사상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다양한 이념적 갈등 해소에 대한 함의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이 글은 특히, 화쟁이 철학적 방법론과 경지론이라는 두 가지 차원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를 통해 원효 사상의 핵심을 규명해 보고자 한 특징이 있다. 화쟁은 외면적 측면에서는 갈등의 여러 요소를 제거하여 여읜다는 ‘무쟁(無諍, araṇa)’의 의의가 있고, 내면적 측면에서는 평화와 순결의 경지에 노닌다는 ‘삼매(三昧, samādhi)’의 의의가 있다. 무쟁과 삼매는 서로 떨어지지 않는 일원론적 관계에 놓여 있다[무쟁삼매(無 諍三昧, araṇa-samādhi)]. 그리고 이러한 화쟁의 철학적 지반은 한마음에 있다. 한마음은 진여문과 생멸문을 포괄하는 것으로서, 언어를 의지하여 논의되는 측면이 있는가 하면, 언어를 버리고 논의되는 측면이 있다. 한마음이란 진리의 세계와 일상의 세계, 참과 거짓, 더러움과 깨끗함, 주관과 객관의 세계를 이분법적으로 나누어 보지 않고 하나로 통섭하여 보는 특징이 있을 뿐 아니라, 그 성품 자체가 세계를 신령하게 알아차리는 본래적 각성[本覺]의 특성이 있다. 그럼에도 한마음은 특정한 실체론적 존재성을 가진 존재가 아니라, 단지 논의의 방편상 가설적으로 제시된 하나의 이름일 뿐이다. 그것은 한마음이 불교의 기본교리에서 제시하는 것처럼 무아론적 차원의 공(空)과 다르지 않다는 점을 깨닫게 한다. 이러한 한마음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화쟁은, 모든 현상이 상호 의존적인 관계에 있음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개인 간의 갈등뿐만 아니라사회적 모순까지 해소할 수 있는 철학적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의의가 있다.
더보기This paper aims to deeply analyze the implications for resolving various ideological conflict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nhyo's Hwajaeng (和 諍, Reconciliation of Conflicts) thought and his Ilsim (一心, One-mind) thought. In particular, it seeks to provide an in-depth analysis of how this connection,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One Mind, contributes to the resolution of diverse ideological conflicts. Furthermore, it had the research goal of deeply discussing how the philosophical methodology of Hwajaeng can lead to enlightenment and contribute to resolving various ideological conflicts in connection with the concept of One-mind. This article has the attempts to elucidate the core of Wonhyo's thought by specifically analyzing how the Hwajaeng is implemented in two dimensions: the philosophical methodology and the theory of the state of levels. In terms of external aspects, Hwajaeng has the meaning of ‘Non-fighting (araṇa)’, which means eliminating various elements of conflict. In terms of internal aspects, it has the meaning of ‘Samādhi’, which means living in a state of peace and purity. Non-fighting and Samadhi are in an inseparable, monistic relationship (araṇa-samādhi).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this Hwajaeng lies in One-mind. One-mind encompasses the Gate of Truth and the Gate of Life and Death, and has aspects that are discussed by relying on language, and aspects that are discussed by abandoning language. One-mind has the characteristic of not dichotomously dividing the world of truth and the world of everyday life, truth and falsehood, impurity and purity,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but rather integrates them into one. Its nature itself has the characteristic of the Original Awakening (本覺) that divinely perceives the world. However, One-mind is not a being with a specific substantial existence, it is merely a name presented hypothetically for the sake of discussion. It helps us realize that One-mind is no different from the Emptiness (空) of the Non-self dimension as presented in the basic doctrine of Buddhism. The Hwajaeng based on this One-mind emphasizes that all phenomena are interdependent, and through this it presents the philosophical possibility of resolving not only conflicts between individuals but also social contradictions.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