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전쟁과 스페인 내전의 유사성에 관한 비교 = The Comparative Study of Similarities between Korean War and Spanish Civil War
저자
홍성후 (충북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03-125(23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This paper is to analyse a few similarities between Korean War and Spain Civil War. Korean war had been going on for 3 years from 1950 to 1953, and Spain Civil War from 1936 to 1939 as well. These two civil wars broke out on basis of ideology conflict. Korean war was originated from the conflict between capitalism of South Korea and communism of North Korea. Likewise, Spain Civil war began with the conflict between right-wing nationalism of Pranko military group and left-wing people republican government of Madrid, which resulted from historical conflict of spanish society. Korean War and Spain Civil War were intervened in by World Imperial Powers. in short, Korean war was controlled by United States and Soviet. After collapse of Japanese Imperialism in far east asia region, The United States tried to establish capitalism country in Korean Peninsula, but Soviet and Red China maneuvered Korean Partisan to communized Korean Peninsula. But two Powers failed to agree on building one independent country in Korean peninsula, which resulted in separation of Korean peninsula. Unfortunately two regimes were founded in Korean peninsula, which were capitalism-South Korea and communism-North Korea. In conclusion, Korean war was made out by ideology of these two regime. Also Spain civil war was broken out, for spain military nationalism attacked the people's republican government of Madrid, both of which were controlled by World Powers such as Natism Germany and Communism Soviet. Hitler aided spanish military revolt, while Stalin supported the people republican of left-wing Madrid. In other hand, Korean War and Spain Civil War had a similarity in sense of elite struggle. The reason was why political elite of each war were educated from two Powers's society in different political socialization. President Leesungman of South Korea studied in America and acquired Phd. of Political Science in the famous Princeton University. Conversely, Premier Kimilsung of North Korea was trained in Soviet military, and he succeeded in getting intelligence-officer position of soviet military captain.
In a sense, two wars' leaders were political children of super imperial Powers such as America, Germany, and Soviet. This Author concluded that any civil war be the worst crime of all wars. This paper explained this criminal civil war through real battle material of Korean war and Spain civil war. Any civil war should be refused in spite of any ideology. Rather, peaceful conflict situation is better than agreement through war. All the more, any war must be denied at all cost as a international measures to solve the world problems.
한국전쟁과 스페인 내전은 양자 모두 외세가 개입된 국제내전이라는 점이 유사하다. 한국전쟁은 중국과 구 소련의 사주에 의한 북한군의 남침으로 발발했다. 미국측은 16개국의 지상군이 유엔군의 형식으로 참여했다. 반면 스페인 내전은 독일, 이태리, 소련, 프랑스, 영국, 그리고 자원병 국제여단이 개입했다. 한국전쟁과 스페인 내전은 좌우 사상 갈등이 배경이 되었다. 한국전쟁은 자본주의를 신봉하는 남한 측과, 공산주의 신봉하는 북한 측이 싸운 사상적 내전이었다. 무력 도발한 측은 프롤레타리아 독재체제를 만들려는 공산주의자들이었고, 방어하는 측은 미국적 민주체제를 만들려는 자유주의자들이었다. 스페인 내전은 독일과 이태리 파쇼적 정부가 지원하는 국가주의 우파 프랑코 군부와 소련 맑스적 정부가 지원하는 인민공화파와의 내전이었다. 한국전쟁은 유신론과 무신론이 충돌한 전쟁이었다. 또한 남한의 다당 체제와 북한 유일정당인 노동당 정권과의 전쟁이었다. 반면 스페인 내전은 국가주의를 신봉하는 스페인 군부와 인민공화주의 건설을 주장하는 반왕정 공화파의 대결이었다. 스페인 보수주의 군부와 인민의 자유, 종교의 자유를 더 중시한 스페인의 진보주의의 충돌이었다. 또한 한국전쟁과 스페인 내전은 출신배경이 다른 정치 엘리트간의 충돌이었다. 미국은 미국식 정치교육을 받은 이승만을, 소련은 소련군 장교 출신인 김일성을 한반도의 지도자로 키우려는 입장이었다. 즉 이승만과 김일성이 각각 외세를 등에 업고, 군사적 대결을 벌인 셈이었다. 반면 스페인 내전은 스페인군부의 국가주의자인 프랑코 장군이 스페인의 좌익화를 반대해서 일으킨 내란이었다. 프랑코 뒤에는 독일의 히틀러가 있었고, 인민공화파 뒤에는 소련의 스탈린이 있었다. 한국전쟁과 스페인 내전은 세계 2차 대전과 연계된 전쟁이었다. 스페인내전은 유럽에서 세계 2차 대전을 준비하는 독일, 이태리와 소련, 영국, 프랑스 등이 벌인 전쟁이다. 반면 한국전쟁은 세계대전에서 승리한 미소가 지배영역을 확보하고자 동북아시아에서 충돌한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4-11-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of Northeast Asia Studies | KCI등재 |
2013-12-1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5-2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동북아논총외국어명 : 미등록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9 | 0.49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3 | 0.703 | 0.1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