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치유 음악 창작을 위한 사운드스케이프 적용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oundscapes for the Creation of Healing Music
저자
김희연 (한국예술종합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3-65(13쪽)
제공처
A This paper links 'soundscape' and music from a healing point of view, and proposes a healing program through music. total of five stages of research plan were established to propose a recovery environment through music. First, the concept of the healing function and soundscape of music is discussed, focusing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music healing and soundscape. It also presents soundscape plans at the ecological, social and cultural levels. Second, sound collection in ecological areas, endangered areas, and historical areas (Goseong, Gunsan and Seocheon, Gurye, and Goheung) is carried out among domestic sound environments. About 30 kinds of data related to this are secured, including sound sources, photos, and videos. Third, four music creations and arrangements are carried out for internal healing, focusing on soundscapes collected in each region. Fourth, the sound source is finally completed to secure the specific approach and objectivity of the performance. Fifth, through the performance of the healing program, we share the results generated in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nd propose a plan to expand the creation of healing music.
더보기본 연구는 치유적 측면에서‘사운드스케이프’와 음악을 연계하며, 치유 음악을 통한 공연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음악적 회복 환경을 연구 목적으로 이와 관련하여 총 5 단계의 연구 계획을 수립하였다. 첫째, 음악 치유 및 사운드스케이프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토대로 음악의 치유적 기능 및 사운드스케이프의 개념과 범위를 정립한다. 또한 생태적, 사회적, 문화적 차원에서 사운드스케이프의 접근 방안을 제시한다. 둘째, 국내 소리 환경의 중심이 될 수 있는 생태지역, 멸종 위기 지역, 역사적 지역 등 (고성, 군산 및 서천, 구례 및 고흥 등)의 사운드 채집을 실행한다. 각각의 지역에서 녹음물, 사진, 영상 등 약 30여 종의 각종 데이터 자료들을 기록하고 데이터를 확보한다. 셋째, 각 지역에서 채집된 사운드스케이프를 중심으로 음악 총 4곡의 창작을 진행하며, 수사적 기법, 편곡 등을 동반한다. 넷째, 사운드스케피으 적용 방안의 구체적인 접근 방법 및 객관성 확보를 위해 음원물을 최종 완성한다. 최종적으로, 음악 치유 프로그램 공연을 연계하여 관객과의 상호 소통 속에서 생성되는 결과를 공유하며 음악 치유 창작의 확장 방안을 제안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