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다문화 사회의 이해와 교육의 과제 = Understandings of Multiculturalism in Korean Society and New Perspective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저자
하경수 (진주교육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1-115(15쪽)
KCI 피인용횟수
8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a look at what’s going on in theory and practice of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think about another way of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the korean society’s asking for. For this purpose, this paper discusse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and implications of korean specific multicultural understandings. Second, it analyzed the korean ongoing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is strongly focusing on the minority problem in families of mixed marriages and schools. Finally, it suggested the alternative scheme on the perspectiv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recent years, the korean interest in multicultural education has grown. But korean schools are suffering from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abundance of theories and methods, and the poverty of contents. Many teachers assume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for school means developing strategies to help students of mixed marriages who are experiencing academic problems. I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aims to prepare students to learn about inequity and to act for the betterment of life for all who live in Korea, it should be fit to affirm democratic principles, to accept the cultural diversities, and to abolish the discrimination of all kinds among ethnic groups in the nation.
This study propose a new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spirit of 1948” which means the idea of both the Constitution of Republic of Korean born in 1948 and the Declaration of Human Rights of 1948. This spirit offers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the basic prerequisite which will lead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to find another possibilities to explore the multicultural society without discrimination between ‘us’ and ‘them’.
이 글은 우리 사회의 다문화 현상에 대한 인식의 혼란과 현행 다문화 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것을 토대로 다문화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문화적 현상에 대한 긍정적 수용과 인간적 현상에 대한 배타적 차별이라는 이분법적 양상을 보이는 우리나라 다문화 인식의 특수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의 현실을 진단하기 위해 소수자 중심의 사회적응 교육이 시행되는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교실 안의 다문화 교육’과 ‘책 속의 다문화 교육’의 대비는 이론과 실제에서 불일치를 겪는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의 현실을 보여준다. 셋째, 현재 진행되는 다문화 교육연구가 어떤 방향과 내용인가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그 가능성과 한계를 알아보았다. 다문화 교육이 교육방법의 풍요와 교육내용의 빈곤이라는 불균형에 직면한 원인을 찾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였다.
우리의 다문화 교육이 민주주의 이념을 확인하고, 차이를 인정하며, 타자에 대한 차별을 없애는 교육이 되려면 지금까지와는 다른 인식론적 토대와 이것이 실천될 수 있는 새로운 사회 운영체계가 필요하다. 이글에서는 한국인의 폐쇄적인 정체성 담론을 교정할 수 있는 대안으로 대한민국의 건국이념을 상징하는 “1948년 정신”에 근거한 다문화 교육을 제안한다.
“1948년 정신”은 대한민국을 ‘민주주의 공화국’으로 선포한 1948년 헌법 정신과 1948년 선포된 ‘세계 인권선언’ 정신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의 지향점이 ‘우리’와 ‘그들’ 사이에 차별이 없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라면, 그런 사회의 기본 전제와 형식은 이미 우리 안에 있었다. 이제 남은 것은 우리는 누구이고 우리나라는 어떤 나라인가를 새롭게 인식하고, 그것이 우리의 일상에서 삶의 지표가 될 수 있게 만드는 교육내용을 설계하여 적용하는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6-06-2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87 | 1.87 | 1.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9 | 1.41 | 2.432 | 0.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