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930년대 식민지 조선의 시청각 미디어와 ‘最近世史’의 재현 = Audiovisual Media and the Depiction of ‘Most Recent History(最近世史)’ in 1930s Colonial Kore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3-72(40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1920년대 이후 식민지 조선의 지식인들과 문화엘리트들은 조선의 역사를 민족의 공통된 문화를 설명하는 구심점임과 동시에 집단적인 주체로서의 “조선 민족”을 구축하는 결집력으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을 표출하였다. 이처럼 조선 역사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던 가운데, 조선왕조의 마지막 임금인 순종이 1926년에 승하하면서 조선 역사 중에서도 당대 사회와 직결된 근과거였던 이른바 “최근세사”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대되었다. 이러한 최근세사에 대한 관심은 기존의 조선 역사 및 문화에 대한 주요 담론장이었던 신문 및 잡지 등의 인쇄 문자매체 뿐만 아니라, 당시에 세계사적인 흐름 속에서 식민지 조선에서도 점차 영향력과 가시성을 확보하고 있던 시청각 미디어의 생산과도 결부되기에 이르렀다. 즉 1920년대와 1930년대에 걸쳐 조선의 식민지 문화 엘리트들은 조선 최근세사를 소재로 한 영화나 음반(연극, 구연, 가요등)의 기획과 제작, 배포를 적극적으로 시도하였다. 이들은 조선의 최근세사를 통속화 혹은 허구화된 형태로 적극적으로 배포하여 일제 식민당국보다 앞서 조선의 최근세사 담론을 선점하려고 했다. 이처럼 1920년대와 30년대에 시청각 미디어의 활용을 통한 조선 최근세사 담론의 대중화와 확장은 그 자체로 당시 조선인 문화엘리트들이 가지고 있던 일본 식민권력에 의한 문화 헤게모니 장악에 대한 저항 혹은 불복종의 의미를 드러냈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Since the 1920s, many intellectuals and cultural elites in colonial Korea have been actively showing their interests in Korean history, recognizing it not only as an explanation of the nation’s “common culture” but also as a cohesive force for building the “Korean people” as a collective entity. In the midst of these various discussions on Korean history, the death of Emperor Sunjong, the last monarch of the Joseon Dynasty in 1926, greatly increased interest in the so-called “most recent history(最近世史)” of Korea, which was directly related to the society of the time. This interest in recent history was linked not only to the production of printed and written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which had been the main discourse on Korean history and culture, but also to the production of audiovisual media, which were gradually gaining influence and visibility in colonial Korea in the context of world history at the time. Throughout the 1920s and 1930s, colonial cultural elites in Korea actively attempted to plan, produce, and distribute films and recordings (plays, performances, songs, etc.) based on recent Korean history. By actively distributing the discourses on Korean history in popularized or fictionalized forms, the Korean cultural elites tried to achieve preoccupancy and dominance on the discourse of Korean history before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could. Thus, it can be argued that the popularization and expansion of the discourse of the ‘most recent history’ through the use of audiovisual media in the 1920s and 30s was itself a manifestation of the Korean cultural elite’s resistance or disobedience to the Japanese colonial power’s seizure of cultural hegemony.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