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 정치적 현대성의 젠더화된 구조와 가내성(家內性)의 정치적 부상 = 새로운 ʻ시민정치ʼ의 발생적 구조와 본성에 관한 시론(試論)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27-178(52쪽)
KCI 피인용횟수
4
제공처
이 글은 ?제3정치성?, ?시민정치? 등으로 개념화되어온 2000년대 초 이후의 한국사회의 새로운 정치참여, 집합행위의 양상, 그리고 이를 통해 정치적으로 부상한 ?개인?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 한국적 현대성의 구조화의 일면을 젠더화의 과정으로서 개념사적으로 재구성한다. 한국의 정치적 현대성에 고유한 것은 서구적 공론장 모델에 내재한 남성지배, 성별분업의 다소 보편적인 상황이 한국사회에 고유한 사회문화적 상황과 결합하여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 정치적인 것과 비정치적인 것의 구분, 그리고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조차도 젠더화된 상상과 문화모델로 구조화되었다는 점이다. 그 결과 시민사회는 사적이고 개인적인 것, 욕망, 이익의 장소, 즉 ?가내성?의 장소로 정위되어 ?여성성?이 할당되고, 공적이고 정치적인 것, 이념과 가치의 세계로서의 ?남성화된? 국가와 대립된다. 이러한 사회적 편제에 의해 지배적이 되는 초월적 공공성의 정치의 이상과 ?초연적 남성성?의 정치주체성의 모델은 한국의 정치사회를 ?가치의 정치?와 ?욕망의 정치?로 이중적으로 구조화하였고, 공식 정치사회의 엘리트적 과두화와 자율화를 낳았다. 이러한 체제의 균열은, 시민사회의 탈가내화와 남성 중심의 형제애에 기반한 질서를 지향했던 사회운동 중심의 저항적 공중이 아닌, 여성성으로 간주되었던 사생활과 가내성을 수용하고 그 가내성 자체를 정치화하려는 대중적 움직임에 의해 결정적으로 이루어졌다. ?기러기 아빠?와 ?유모차 부대?로 상징적으로 집약될 수 있는 이 새로운 정치주체성은 가내화된 사적 공간이 그 동기적 원천일 뿐 아니라, 내거는 목표와 참여의 양상, 그 주체에 있어서도 가내화된, ?정치화된 가내성?으로 개념화될 수 있다. 탐욕스럽고 반사회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정치적, 공적 공간에서 추방되었던 가내성은 자신을 공적인 것, 정치적인 것으로 승화, 전화시키면서 전통적인 공화주의적 정치참여의 모델을 균열시켰다. 이러한 사사화된 정치주체성의 등장은 저항적 공중으로 시민사회를 환원해온 사회과학의 기존 문제틀을 수정하고, 사적이고 개인적인 것에 의해 구축되는 ?사회적인 것?의 다양한 공간과 그에 수반되는 공론장의 현대적 형태를 분석적으로뿐 아니라 규범적으로도 적절히 수용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더보기In this study, I attempt a conceptual historical reconstruction of one facet of Korean modernity in order to achieve a better understanding of features of political participation, collective action, and nature of ‘persons’ or ‘individuals’ rising therefrom, which have been conspicuous in South Korean political development toward so-called ‘the third political,’ or ‘citizen politics’ since the early 2000s. What is argued here to be unique in Korean political modernity is that the more or less universal process of genderization and social division of labor between two sexes, with its combination with socio-cultural situations specific to Korean society, led to the structuration of the division of the public and the private, of the political and nonpolitical, and ev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civil society into gendered imaginaries and cultural models. As a consequence, civil society assumes ‘femininty’ as a locus of the private, the personal, desire, interests, i.e. that of ‘domesticity,’ and categorically stands against the ‘masculinized’ state as a locus of the public, the political, and of the worlds of ideologies and values. ‘Transcendental publicness,’ as an ideal for politics, and ‘masculinity of aloofness,’ as a model of political subjectivity, became dominant in official political society of Korea by virtue of gendered social formations mentioned above, and resulted in dualistic structuration of political society between ‘politics of value’ and ‘politics of want,’ and in the elitist oligarchization and autonomization of political society. The decisive rupture of this social formation came from mass upheaval based on politicization and self-acceptance of domesticity and private life, which had been regarded as femininity, rather than from protest publics of social movements oriented toward the de-domestication of civil society and toward an order based on male-centered fraternity. This new aspect of political subjectivity, which can be symbolically epitomized into the images of ‘wild goose dad’ and ‘squad of baby stroller,’ can be conceptualized as ‘politicized domesticity’ in that not only its motivational sources were domestic private spaces, but also it was domestic in nature in its goals, exhibited participatory features, and even socio-demographic properties of participants. This transformation or sublimation of domesticity, from being greedy, anti-social, resulting in its excommunication from the political, public spaces, to the public and political being, has disrupted every problematic element of the conventional ‘republican’ model of civic engagement in Korea. This advent of privatized political subjectivity calls attention to theoretical needs 1) to modify the conventional theoretical framework in which civil society is reduced into protest publics, and 2) to accommodate, both analytically and normatively, diverse spaces for ‘the social,’ newly rising from the private and the personal as well as the contemporary forms of public sphere accompanied by those space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3 | 1.63 | 1.7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8 | 1.94 | 2.506 | 0.5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