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에서 영성,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 The Inter-Relationships of Spirituality,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저자
이창석(Chang-seok Lee) ; 이정식(Jung-sik Lee) ; 최선(Sun Choi) ; 김서현(Seo-hyeon Kim)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주제어
KDC
515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8-105(8쪽)
제공처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성과 자아탄력성,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 이들이 서로 어떻게 영향을 주고 받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연구는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대전 소재의 대학생 29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영성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이용하여 대상자들을 평가하였으며, Pearson 상관 분석, 독립 표본 t 검증, 중다 회귀분석을 이용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영성과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서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그 중에서도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상관이 가장 높았다. 영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부분적인 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p<0.001), 심리적 안녕감을 설명하는 정도는 영성 단독일 때보다 영성과 자아탄력성이 모두 투입되었을 때 더 높은 설명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영성과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근거로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해 영성 및 자아탄력성 요인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겠다.
Objectives :
Social interest in quality of life has increased, substantially in recent years. Many studies reporting on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emerged in the current social atmosphere. Spirituality and ego-resilience are several of many factors that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pirituality,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determine how they might affect each other.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293 undergraduate students in Seoul, Gyeonggi, Gangwon, Chungbuk, Chungnam, and Daejeon, South Korea. Subjects were evaluated using spirituality,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s. The scale measuring spirituality was composed of 6 subscales, each consisting of 5 items. These subscales covered the following aspects: 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inner resources, connectedness, transcendence, awareness, and compassion. The ego-resilience scale, which included 29 questions, contained 4 subscales on, confidence, efficacy in interpersonal relations, optimistic attitudes, and anger regulation. A higher score on the scale meant a higher degree of ego-resilience. Six subscales assessing self-acceptance,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autonomy, environmental mastery, purpose in life, and personal growth comprise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score obtained on this 46-item scale reflect one’s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present stud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PSS for Windows 18.0,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in order to ascertain the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Additionally,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se variables are affected by gender and a 3-ste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run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Results :
Spirituality,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The correlation between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especially strong (r=0.717, p<0.05).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s follows: spirituality significantly explained ego-resilience (β=0.542, p<0.001) in the first step, and significantly predicted psychological well-being (β=0.656, p<0.001) in the second, in the third step of the analysis, ego-resilience significantly explained psychological well-being, even when the effect of spirituali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tatistically controlled (β=0.512, p<0.001). Further, the effect of spirituali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decreased in the third step (β=0.378, p<0.001), compared with its strength in the second (β=0.656, p< 0.001). To elaborate on these results, ego-resilienc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fore, psychological well-being had a higher explanatory power when spirituality and ego-resilience were both considered together, rather than spirituality alone.
Conclusion :
This study elucid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pirituality,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in South Korea, and revealed the specific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To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like the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MBSR) that promote spirituality along with factors contributing towards greater ego-resilienc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