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배삼식 희곡 「화전가」에 나타난 이질언어의 병치 효과와 다원성 = A Study on the Juxtaposition Effect and Pluralism of Heterogeneous Languages in Bae Sam-sik’s Play Hwajeonga
저자
권순대 (경희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9-175(27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eteroglossia found in Hwajeonga written by Bae Sam-sik. In the process of creating a work by composing lines only with the Andong district dialects, the author of Hwajeonga adopts a strategic device to juxtapose heterogenous languages in order to reveal hybridity in language and otherness effectively. Juxtaposition found in Hwajeonga is made in two levels. One is the level in which the scenes using English are inserted effectively to show polyglossia that occurs between Korean and English, and the other is the level in which the scenes using languages either historically or culturally forgotten or almost in the risk of being lost are inserted effectively to reveal heteroglossia that appears in Korean. The former exists mainly in the synchronic context while the latter is mostly present in the diachronic context. With regard to polyglossia in the former, different levels of Andong’s dialects and English are juxtaposed to show that linguistic activity is the product of interaction in which diverse languages come across. Concerning heteroglossia in the latter, various levels that embrace the changes of time are juxtaposed to reveal the polyphonic world of linguistic activities that are overlapped with one another. Hwajeonga reminds us of the fact that the standard language-local language system is not a hierarchical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 with one single center, but a pluralistic relationship with differences.
더보기이 연구의 목적은 배삼식 희곡 「화전가」에 나타난 이질언어성을 밝히는 데 있다. 「화전가」는 안동의 지역어만으로 대사를 구성하여 작품을 창작하는 과정에서 언어의 혼종성과 타자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이질언어를 병치하는 전략적인 장치를 활용하고 있다. 「화전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병치는 두 층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 하나는 영어를 활용하는 장면을 효과적으로 삽입하여 한국어와 영어 사이에서 발생하는 이질언어성(polyglossia)을 드러내는 층위이며, 다른 하나는 역사적⋅문화적으로 잊혔거나 잊힐 위기에 처한 언어를 활용하는 장면을 효과적으로 삽입하여 한국어 내에서 발생하는 이질언어성(heteroglossia)을 드러내는 층위이다. 전자는 주로 공시적인 맥락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후자는 주로 통시적인 맥락에서 발생하고 있다. 전자의 이질언어성은 안동 지역어-영어의 서로 다른 층위를 병치함으로써 언어활동이 다양한 말들이 서로 교차하는 상호작용의 산물이라는 점을 효과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후자의 이질언어성은 시대의 변화를 담지하고 있는 다양한 층위를 병치함으로써 서로 중첩하는 언어활동의 다성적 세계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화전가」는 표준어-지역어의 체계가 단일한 하나의 중심을 갖는 위계적 종속 관계가 아니라 서로 차이를 지니는 다원적 관계라는 사실을 환기하는 작품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3-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Humanities | KCI등재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7-29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인문과학연구소 -> 인문학연구원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for Humanities -> Institute for Humanities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 | 0.4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5 | 0.35 | 0.858 | 0.2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