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저널리즘적인 것 le journalistique : 에밀 졸라의 <패주La Débâcle>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에 관한 연구 = Le “journalistique” - Une étude sur les aspects communicationnels de La Débâcle d’Émile Zol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주제어
KDC
86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7-92(26쪽)
제공처
졸라는 문학과 매체 커뮤니케이션 간 상호교류의 역사 그 자체이다. 본 연구는 졸라의 이러한 ‘문학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좀 더 자세히 조명해보려는 차원에서, 그의 작품 중 당시 가장 높은 판매고와 논란을 낳았던, 1870년 보불전쟁을 소재로 한 소설 <패주La Débâcle.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첫 번째는 소설 내 전시戰時매체 상황에 대한 재현방식이다. <패주>는 ‘신문(들)journal/journaux’ 어휘가 수차례 등장하면서도 ‘기자journaliste’라는 어휘는 전혀 등장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연구의 두 번째는 이러한 작품 속 ‘기자의 부재’와, 작품을 다루는 매체의 특성과의 연결성이다. <패주>는 단순한 문학 작품 이상의 사회적 사건 événement social으로서 당시 언론에 나타나는데, 익명의 기자들이 쓰는 소식과 이름이 나오는 유명 기고인寄稿人contributeurs의 비평 사이에 특징적인 차이가 있다. 세 번째는 작품과 매체를 최종적으로 이어 주는 작가, 즉, 졸라의 역할에 대한 것이다. 이 역할은 작품에 대한 비평과 뉴스에 관한 졸라의 ‘반론réponse’에 대한 분석을 통해 알아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저널리즘적인 것le journalistique’으로 명명하여, <패주>의 매체 환경 속 유통과 각인 과정의 양상을 읽는 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Pour mettre en lumière la ‘communication littéraire’ zolienne, nous étudions les aspects communicationnels dans La Débâcle, roman sur la guerre franco-prussienne en 1870-1871. Tout d’abord, nous traitons de la représentation des journaux au sein de La Débâcle dans laquelle nous remarquons que le terme “journaliste” y est totalement absent tandis que sont abondants d’autres commes “journaux” ou “journal”. Ensuite, nous observons une mise en relation entre l’absence du mot “journaliste” et quelques manières particulières de traitement médiatique du roman. Celle-ci, étant traitée davantage comme un événement social que comme un simple roman dans les journaux, est traitée différemment entre les journalistes anonymes rapportant des nouvelles et les contributeurs de roman donnant leurs opinions. Enfin, nous expliquons le rôle de Zola mettant en relation La Débâcle et les journaux en étudiant ses réponses face aux critiques et aux nouvelles sur le roman. Nous appelons ces processus communicationnels “le journalistiqu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