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잉고 발더만의 성서수업 정체성과 방향성 ‐ 언어 찾기 놀이로서의 성서교육 = The Identity and the Direction of Ingo Baldermann’s Biblical Didactic Discourse on Biblical Class as the Language-searching Game
저자
안정도 (-)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83-210(28쪽)
제공처
As the canon of Christianity, the Bible testifies the will of God for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the world and of humanity. In this way, the Bible is the story of the mutual encounter between God and humans, and the stories reveal each other. In pedagogical language, this can be called bidirectional clarification. Therefore, the text language of the Bible attempts to communicate with the reader, and the reader brings his or her experience into play to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text. In this sense, the Bible is a mutual clarification process between the text and the reader and can be understood as a whole process of recognition, interpretation, and learning that goes beyond the realm of religious scriptures. In this review, I will outline and introduce Ingo Baldermann, a German Bible didactical educator, and examine the critical points that he criticized at his time. Looking at the background and main perspectives of Ingo Baldermann’s interest in biblical didactic, which began in the 1960s and gradually expanded and developed until the 1900s, Ingo Baldermann’s biblical didactic reveals his critical attitude to the biblical classes in those days, which were too biased in theological statements or dealing with statistical analysis. In this regard, it emphasizes the complete and holistic examination of the embedded language of the Bible with focusing on the educational competence of the language itself. Furthermore, he highlights the necessity and justification of biblical theological anthropology from the point of view of educational reconstruction through that content and experience are harmonized together. To this end, we aim for a Bible class that discovers the words that lead to enlightenment in the texts of the Psalms and the Gospels. Ingo Baldermann’s biblical didactic restored the Bible as the main role to the forefront of religious classes. It does not neglect children’s experiences but ultimately aims for hope-learning with experiences of liberation in life.
His educational criticism of the biblical didactic can help us to reflect on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in modern society.
성서는 기독교의 경전으로서 세상과 인간의 의미와 방향 속에서의 하나님의 동행을 증언한다. 성서는 하나님과 인간의 상호적 만남의 이야기이며, 서로의 관점 에서 상대를 해명하는 “쌍방 해명 과정”(Wecheselseitige Erschließung)이라 할 수있다. 성서의 본문 언어는 독자에게 대화를 시도하며, 독자는 본문을 해석하기 위하여 자기 경험을 사용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성서의 이해는 본문과 독자의 상호 이해과정이며, 단순히 종교적 경전의 영역을 넘어서는 인식, 해석, 배움의 전인간적 배움의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소고에서는 독일 성서교수학자 잉고 발더 만의 성서 교수학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개괄하고 분석하면서, 그가 당시의 비판 했던 종교 수업의 비판적 성찰 점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1960년대부터 시작되어 1900년대까지 점차 확장되고 발전되는 발더만의 성서교수적 관심의 배경과 주요 관점을 살펴보면, 발더만의 성서교수학은 종교수업에 대한 교육 성찰이라 할 수있다. 발더만은 한편으로는 종교수업에서 지나치게 신학적 언명에 치우친 성서본 문의 활용을, 다른 한편으로는 성서를 지나치게 통계 분석적으로만 다루는 교실의 상황을 비판하고 있다. 발더만은 이런 교육 비판과 함께 성서의 언어가 온전하고 통전적으로 다뤄지기를 강변하며, 언어 그 자체가 지니고 있는 교수학적 능력을 신뢰하기를 강조한다. 아울러 교육의 내용과 학습자의 경험이 하나로 어우러지는 기초화의 관점에서 성서-신학적 인간학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 시편과 복음서의 본문들 안에서 독자의 깨달음을 인도하는 안냇말들을 발견하는 성서수업을 지향한다. 발더만의 성서교수학은 성서를 다시 종교수업의 전면으로 회복시켰으며, 어린이의 경험을 도외시 하지 않고, 최종적으로는 희망과 해방의 경험을 지향하는 희망의 배움을 추구한다. 이러한 그의 교육비판과 성서에 대한 관심은 현대사회의 성서교육의 방향성을 성찰하는 데 도움을 준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