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아동서사문학의 장애담론과 소통 가능성 = Disability Discourse and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in Children’s Literatur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아동청소년문학연구(The Korea Association of Literature for Children and Young Adlult)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3-171(29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Recently, there have been written a lot children literature texts about “disability,” but the disability discourse of the texts includes problematic points. In many texts, the writer’s own knowledge about disabled people is embodied in the disabled characters, but that is only writers image(or knowledge) of disabled people not real lives of them. Under their knowledge, writers Interpellate people with disabilities as ‘a handicapped person’ and reduce them to that name. As a result, the disabled characters are understood and interpreted by non-disabled subjects as simple knowledge rather than the active subject. That deprives the disabled characters of natural desire of humans to reveal themselves to the world as a subject through their own ‘words and actions’. Criticizing this, Gong, Jinha shows the new disability discourse in her texts. The disabled characters are unhappy, when non-disabled characters understand them as their own knowledge in the texts, <Cheong, Cheong, open your eyes> and <Byuki>. In these texts, even though non-disabled characters take care the disabled characters with devotion, non-disabled characters make the disabled character’s words and action not reveal to the world and limit their names to ‘the disabled’. Thus the writer criticizes the subject’s one side communication and poverty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non-disabled and the disabled. The writer try to let the Other’s words reveal on the world to overcome poverty of communication. The writer uses the first person narrative in <How to use Dotori>, she helps the disabled character tells readers about himself. The writer does not explain her knowledge about the disabled, she just let the Others say about themselves and restore their words. Children readers can or can not be in sympathy with the Others (the disabled) through these text. The writer leaves the ethic of listening to the reader’s subjective judgment instead of speaking her knowledge.
더보기‘장애’를 소재와 주제로 하는 많은 작품에서 장애인물은 장애에 대한 작가의 지식을 구현한 모습으로 그려진다. 이러한 시선에 의해 장애를 삶의 조건으로 지닌 사람들은 장애인이라는 하나의 이름으로 치환되고, 비장애주체에 의해 이해되고 해석되어 평면적인 지식으로 남는다. 이는 ‘말과 행위’를 통해 자신을 하나의 주체로 세계에 드러내고자 하는 인간의 태생적 욕망을 박탈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비판하면서, 새로운 장애담론을 보여준 작가가 공진하이다. 작가는 청아, 청아 눈을 떠라와 벽이를 통해서 장애가 주체의 지식으로만 이해될 때, 장애인물의 소통 가능성은 차단되며, 장애인물은 불행해짐을 드러낸다. 이에 작가는 소통의 빈곤을 극복하기 위해 타자의 목소리를 세계에 드러냄으로써 그들이 행위 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도토리 사용 설명서에서 작가는 1인칭 주인공 시점으로 서사를 풀어가면서 장애인물에게 ‘말’을 돌려준다. 장애인물의 목소리를 통해 가시화된 세계는 소통하고자 하는 욕망이 가득한 세계이다. 작가는 작품 속에서 장애인물에게 ‘말’을 돌려주고, 아동독자를 ‘듣기’의 윤리를 마주한 독자 주체로 초청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5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7 | 1.001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