瑞花雙鳥文八稜鏡의 연원과 전개 =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Flower-shaped Bronze Mirror with Paired Bird and Holy Flower Pattern
저자
박진경 (홍익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81-215(35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study focuses at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flower-shaped bronze mirror with paired bird and holy flower pattern since these kinds of mirrors were excavated in Kyungju Cheonbuk Dongsanli with bronze mirror with lion and grapevine. This examined the production and usage of bronze mirror in Unified Silla, based on discovering mirrors in archaeological tombs of Korea and Japan.
Imitating the bronze mirror of two-phoenix in Tang dynasty, this mirror was made in Unified Silla at 9~10C. It is certain that this type of mirror continually had been recasted from Unified Silla to Goryeo. Also newly designed patterns in the shapes of bird, flower had been made since the late 11C. Through this fact, it suggested that this pattern of mirror is Tang style which was popular in Goryeo Dynasty like the mirror with lion and grapevin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ee influence of Japan.
There are mirrors with silvery grey and dark brown color including the mirrors of Kyungju Cheonbuk Dongsanli. These differ from mirrors with blue-green color which usually was made in Goryeo Dynasty. This difference of color is due to the amount of tin, the former mirror containing high tin can represent metalwork feature of Unified Silla with brassware. Unlike copper, tin is completely insufficient in Korea. There is high possibility that tins were imported from Shandong(山東) for making metal crafts such as mirror and brassware. This is related to the trade of Chang Po-go and Li Zheng-ji, thereby easily providing mirror making technique and tin between yangzhou(楊州) and Unified Silla.
In addition, there has been new findings that shows recasting had began before Goryeo Dynasty. This fact shows that these mirrors were produced by personal craftsman. It is said to reflect the changing social status of master artisan since the 9th century. Recasting is useful to cover high demand of mirror just like China and Japan at the 9th century.
이 논문은 慶州 川北 東山里에서 海獸葡萄文鏡과 함께 출토된 두 점의 瑞花雙鳥文鏡을 계기로 瑞花雙鳥文八稜鏡의 전개와 편년을 살펴본 것이다. 고려고분에서 출토된 銅鏡을 기준으로 瑞花雙鳥文鏡의 유형을 분류해 일본의 출토 사례와 그간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통일신라 동경의 제작과 사용양상을 함께 검토할 수 있었다.
瑞花雙鳥文鏡은 唐의 雙鸞文鏡에서 시작한 唐鏡系 양식으로 통일신라 9~10세기부터 제작된 銅鏡임을 알 수 있다. 이후 고려에 와서도 통일신라 유형을 그대로 再鑄造하거나 11세기 후반 이후 鳥, 瑞花, 外形에 변화를 준 새로운 양식들이 제작되어 고려 후기까지 사용된 것으로 확인된다. 이로 볼 때 瑞花雙鳥文鏡은 海獸葡萄文鏡과 같이 고려에 들어와서도 꾸준히 선호되었던 唐鏡系 銅鏡으로 아직까지 일본의 영향으로 보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瑞花雙鳥文鏡 안에는 경주 천북 동천리 동경을 비롯해 통일신라 유형으로 은회색, 암갈색을 띤 銅鏡들이 전해지는데 일반적으로 산화되어 청록색을 띠는 高麗鏡과는 구분된다. 이는 주석의 성분비에 따른 것으로 주석의 함량을 높여 만든 鍮器와 함께 통일신라 공예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주석은 구리와 달리 자체수급이 어려웠던 광물로 산동 반도에서 공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장보고를 전후한 교역상황과 맞물리는 것으로 唐鏡의 주생산지였던 楊州와의 교역을 통해 동경의 제작기술, 주석을 비롯한 원료수급이 원활했던 상황과도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이 과정에서 再鑄造의 생산방식이 고려 이전부터 시작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관영체제가 아닌 私匠에 의해 제작된 私鑄鏡의 생산을 의미하는 것으로 9세기 이후 민영수공업의 형태로 변화된 통일신라 장인 체제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당시 동경의 소비수요를 감당했던 생산 방식으로 주변국인 중국, 일본과 동일한 경향으로 볼 수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8 | 1.18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6 | 0.97 | 2.484 | 0.4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