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청소년소설과 젠더 -한국 청소년문학상 수상작을 중심으로- = Young Adult Fiction and Gender: Focusing on the Korean Young Adult Literature Award Winner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주제어
KDC
37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1-71(41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젠더 규범을 청소년문학상 수상작이 어떤 방식으로 재해석하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했다. 우선 한국 사회의 젠더화된 가족 체계가 변형되고 재구성되며 청소년의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청소년소설 속 가족은 기존의 정상가족 모델에 부합하지 않는 모습을 드러낸다. 그러나 새롭게 변형된 가족주의가 청소년소설의 상상력을 제한하고 있다는 점을 비판적으로 짚으며 가족 서사의 향방을 가늠해 보았다. 다음으로 청소년의 섹슈얼리티 재현이 일정한 관행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남성 청소년이 사건의 주체로 묘사되는 경우 젠더 감수성의 측면에서 볼 때 문제가 되는 전제들이 종종 발견되며, 여성 청소년의 섹슈얼리티는 주로 임신, 임신 중지, 출산의 영역에서만 다루어졌다. 그러나 여성의 성적 자기 결정권을 새로운 시선에서 고찰하는 서사들이 앞으로 더 많이 쓰일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젠더 이분법으로는 포착되지 않는 퀴어 정체성 문제를 짚어보았다. 최근 당선작은 가족 서사, 여행 서사, 연애 서사의 조합 속에서 퀴어 문제를 새로운 시각과 형식으로 그려냈다. 퀴어를 무조건 배제하던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인권 교육의 측면에서 소수자 문제가 다루어지는 추세이나 이것이 향후 유의미한 성찰을 빚어낼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더보기This study focuses on the ways in which Korean society's gender norms are reinterpreted by the winners of the Young Adult Literature Awards. First, I examined how the gendered family system in Korean society has been transformed and reconfigured, and how it affects the youth identity. Families in the Young Adult Fiction do not conform to conventional models of normal families and gender role norms. However, I critically examined the direction of family narratives by pointing out that the newly transformed familism limits the imagination of Young Adult Fiction. Next, I examined the representation of adolescent sexuality as a consistent practice. Male adolescents were often portrayed as the protagonists of events, which is problematic from a gender-sensitive perspective, and female adolescent sexuality had largely been addressed in the realm of pregnancy, abortion, and childbirth. However, I expect to see more narratives exploring female sexual self-determination in a new light. Finally, I highlighted issues of queer identity that are not captured by the gender binary. The winners of the Young Adult Literature Prize tend to deal with queer identity issues in friendships, and the recent winners have portrayed queer issues in new ways and formats through a combination of family, travel narratives, and romance narratives. Unlike in the past, when queer people were categorically excluded, minority issues have recently been addressed in terms of human rights education; however,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this will generate meaningful reflections in the futur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