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움행동과 창의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저자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학위논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서울
기타서명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elping behavior and creativity : focusing on the process
형태사항
ix, 167 p. : 도표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문형구
부록수록
참고문헌: p. 121-155
DOI식별코드
소장기관
Abstract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elping behavior and creativity: focusing on the process
Name: Joon Goo Han
Department: Business
Advisor: Hyoung Goo Moon
Along with globalization, advancement of technology, and increase of competitiveness, the speed of change in organizations is becoming faster. And, the interest in creativity which is the resource of industrial competitiveness is increasing.
Before, quality and price were the key for success, however, creativity is now a new ruling factor for the success of the company. Therefore, organizations need to promote and utilize creativity from their members.
Creativity comes from necessity as there is a proverb “Necessity is the mother of invention”. Many researchers have been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Then, how will others’ necessity (rather than one’s own necessity) affect creativity? The question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This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elping behavior and creativity with perspective of problem solving. Especially,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individuals can utilize their knowledge and also acquire new knowledge by helping others.
Creativity and helping behavior appear through mutual interactions. Creativity is defined as the activity to generate new and useful ideas, and its usefulness is evaluated by others. Activities only for one’s own pleasure may make new things, however, they may not be useful(Grant & Berry, 2011). Individuals exchange and explore information through helping behavior process. When helping others’ problems, individuals need to approach the problems with different perspectives and explore various information so that they can provide people in need with useful solutions, through which they become engaged in creative process. This creative process engagement affects their job performance and, eventually, their efforts to help other’s problems can increase their own creativity.
With the hypothesis that problem solving helping behavior would positively affect creative process engagement, this study has identified what process induces a positive influence. Individuals can increase their creative self-efficacy, a belief that individuals can creatively solve the problem by using their knowledge and acquiring new knowledge. When helping others, positive mood is activated, and it makes individuals use flexible thinking and participate in creative process. To help others, individuals should approach the problem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s who have problems, which means they need to use perspective taking. Therefore, this study has identified mechanisms of relationship between solving problem helping behavior and creative process engagement with mediators of creative self-efficacy, activated positive mood, and perspective taking.
Also, this study has used intrinsic motivation and leader encouragement of creativity as boundary condition in order for problem solving helping behavior to be effective in creative process engagement. This study has verified whether creative process engagement can lead to creativity as a result.
Regarding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has used everyday experience method in order to observe what occurs within-person, which is different from conventional method for creativity. Conventional method for measuring creativity has had limitations, because mechanisms of relating problem solving helping behavior to creative process engagement occur within-person. However, everyday experience method reflects the reality and has gained generalization and reliability.
For everyday experience method, 152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data was collected everyday for three weeks (14 working days). This method has made both within-person analysis and between-person analysis possibl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problem solving helping behavior gives a positive influence on creative process engagement. By helping others to solve the problems, individuals become engaged in creative process. In within-person analysis, mediating effects of creative self-efficacy, activated positive mood and perspective taking are supported, however in between-person analysis, activated positive mood is not supported; it can be related to characteristics of mood. Because mood is relatively instant and changes day by day, the effect can be decreased if the mood is averaged for analysis. Moderating effects are not shown when intrinsic motivation and leader encouragement of creativity are used as moderators. It is found that creative process engagement gives a positive influence on creativity.
This study shows that others’ necessity can be beneficial to helping individuals. Therefore, organization should design job duties and create job atmosphere which encourage members to actively interact with each other. In the members’ perspective, they can participate in creative process even though they are not creative or do not have creative cognitive styles. They can utilize helping behavior to increase their creativity.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have been discussed, and its limitation and direction to future research have been proposed.
세계화, 기술의 진보, 경쟁의 심화 등으로 인하여 최근 들어 대부분의 조직에서 변화의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기업 경쟁력의 원천으로 창의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품질, 가격 등 전통적인 경쟁방식에서 창의성에 기반을 둔 새로운 가치 창출이 기업의 성패를 좌우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구성원들의 창의성을 촉진하고, 활용하여야 한다.
창의성의 출발은 필요이다.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Necessity is the mother of invention)”이란 말이 있듯이, 창의성은 필요로부터 출발한다. 많은 연구자들이 창의성을 문제해결과 연결시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렇다면 자신의 필요가 아닌 다른 사람의 필요는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가? 본 연구의 출발점은 바로 이 질문이었다.
본 연구는 문제해결이라는 측면에서 도움행동과 창의성을 연결시키고자 하였다. 특히 개인들이 다른 사람을 도와줌으로써, 자신이 가진 지식을 활용하고, 새로운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해, 문제해결 도움행동과 창의성(창의적 과정 참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창의성과 도움행동 모두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 나타난다. 창의성은 새롭고 유용한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는 것으로 정의되는데, 이 때 유용성은 다른 사람에 의하여 평가될 수 있다. 즉, 자신의 즐거움만을 위한 행동은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낼 수는 있으나, 유용하지 않을 수 있다(Grant & Berry, 2011). 다른 사람의 문제를 돕는 행동을 통하여, 개인들은 정보를 교환하고, 새로운 정보를 탐색하게 된다. 특히 다른 사람의 문제를 도울 때, 개인들은 문제를 다르게 바라보고, 다양한 정보를 탐색하며, 도움을 받는 사람에게 유용한 해결책을 제시하여야 한다. 즉 창의적 과정에 참여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창의적 과정 참여는 다시 자신의 업무를 수행하는 데도 영향을 주게 된다. 결국 다른 사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움은 자신의 창의성을 높이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문제해결 도움행동이 창의적 과정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고, 이러한 영향이 어떠한 프로세스를 통해 나타나게 되는지를 확인하였다. 다른 사람을 돕기 위해 기존의 지식을 사용하고, 새로운 지식의 습득을 통하여,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 할 수 있다는 믿음, 즉 창의적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사람을 도울 때, 긍정적인 기분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사고를 유연하게 하여 창의적 과정에 참여하도록 만든다. 마지막으로, 다른 사람을 돕기 위해서는 문제를 가진 사람의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 즉, 다른 사람의 관점을 채택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 도움행동과 창의적 과정 참여를 창의적 자기효능감, 활성화된 긍정기분, 그리고 관점 채택이라는 변수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그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문제해결 도움행동이 창의적 과정 참여에 효과적이기 위한 경계조건(boundary condition)을 찾고자 하였는데, 내적 동기부여와 리더의 창의성 권장을 그 경계조건으로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창의성을 과정의 측면에서 바라보았던 창의적 과정 참여가, 창의적 결과로 이어질 것인가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방법론 측면에서, 기존의 창의성에서 주로 사용되던 방법이 아닌, 일상 경험 연구 방법(everyday experience method)을 활용하여, 개인 내부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검증하였다. 특히 문제해결 도움행동이 창의적 과정 참여로 연결되는 메커니즘은 한 사람 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기존의 방식으로 측정하기에는 많은 한계점이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일상 경험 연구 방법은 현실 그대로의 모습을 가장 잘 반영하여, 연구 결과의 일반화와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일상 경험 방법을 활용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152명의 연구대상자로부터 3주(14일)간 매일 매일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런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개인 내 분석(within-person analysis)과 개인 간 분석(between-person analysis)이 모두 가능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제해결 도움행동은 창의적 과정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다른 사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돕는 것을 통하여 자신의 일에도 창의적 과정에 참여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창의적 자기효능감, 활성화된 긍정기분, 그리고 관점 채택의 매개효과는 개인 내 분석에서는 모두 지지가 되었으나, 개인 간 분석에서는 활성화된 긍정기분은 지지되지 않았다. 이는 기분(정서)의 특성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기분은 비교적 순간적인 것으로, 매일 매일 변화가 발생하나, 이를 평균으로 분석하면, 그 효과가 줄어들 가능성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 조절변수로 설정했던 내적 동기부여, 리더의 창의성 권유의 조절효과는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창의적 과정 참여는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른 사람의 필요가 결국 돕는 사람에게도 이익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하여 조직은 구성원들이 서로 활발하게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직무를 설계하고, 조직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구성원의 입장에서도, 자신이 창의적 성격이나 창의적 인지 스타일을 지니고 있지 않다 하더라도, 다른 사람을 돕는 것을 통하여 창의적 과정에 참여하게 될 수 있다. 즉, 도움행동을 창의성을 높이는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었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이 제시되었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