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내용기준과 수행기준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개발 방향 탐색 = Exploring the direction of developing achievement standard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ontent standards and performance standard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주제어
KDC
373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53-564(12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목적 내용기준과 수행기준의 의미와 관련하여 발생하고 있는 우리나라 성취기준 진술에 대한 혼란을 해결하고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개발 방향을 탐색한다. 방법 내용기준과 수행기준의 의미와 구분을 다루고 있는 국내 선행 논문 12편의 내용을 선정하여 내용기준과 수행기준의 의미에 대한 다양한 규정을 도출하였고 이러한 규정 중에서 올바른 규정을 찾기 위하여 우리나라 교과 교육과정에 성취기준이 처음 도입된 제7차 교육과정의 연구보고서에 제시된 내용기준과 수행기준의 의미, 성취기준 진술 방안에 대한 내용과 비교하였다. 결과 내용기준의 의미는 ‘무엇을 알아야 하는가의 기준’과 ‘무엇을 알아야 하고 무엇을 할 수 있는가의 기준’, 두 가지로 구분되며, 내용기준에 대한 전자의 규정에서 수행기준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의 기준’으로 규정되고, 후자의 규정에서 수행기준은 내용기준을 ‘내용+기능’으로 진술할 때 기능을 지식의 적용이나 활용에 초점을 두고 진술한 것, 지식의 적용이나 활용에 초점을 두고 진술하고 ‘도달점 단서’까지 제시하는 것, 내용기준에 포함된 지식, 기능을 학습한 결과로 얼마나 잘 하는지에 대한 성취 수준 혹은 숙달 수준을 평가하는 기준 등 세 가지의 의미로 이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내용기준과 수행기준의 의미에 대한 혼란의 원인과 해결을 모색한 결과, 내용기준은 ‘무엇을 알아야 하고 무엇을 할 수 있는가의 기준’으로, 수행기준은 ‘내용기준에 포함된 지식, 기능을 학습한 결과로 얼마나 잘 하는지에 대한 성취 수준 혹은 숙달 수준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정의되어야 한다.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개발 방향으로서 성취기준을 지식, 기능, 가치 및 태도의 내용 요소의 결합으로 진술되는 것이 아니라 지식, 기능, 가치⋅태도, 각 범주별로 제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더보기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olve the confusion about the state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in Korea in relation to the meaning of content standards and performance standards,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the content of 12 previous papers dealing with the meaning of content standards and performance standards were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the meaning of content standards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standards for what students need to know’ and ‘standards for what students need to know and can do’. Performance standards are ‘standards of what can be done’ if content standards are defined in the former meaning, and if defined in the latter meaning, it turns out that the performance standard can be understood in the following three meanings; a statement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a statement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with a clue for achievement, criteria for evaluating the level of achievement or mastery of how well the knowledge and skills included in the content standard are learned as a result. Conclusions As a result of searching for the cause and solution of the confusion about the meaning of content standards and performance standards, content standards are ‘standards of what to know and can do’, and performance standards ar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level of achievement or mastery of how well the knowledge and skills included in the content standard are learned as a result. As a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a method of presenting achievement standards by each category of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rather than being stated as a combination of content elements of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was proposed.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