頭腦外傷 患者에서 腦脊髓液의 Glutamic Oxalacetic Transaminase와 Lactic Dehydrogenase變動에 關한 硏究 = Glutamic Oxalacetic Transaminase and Lactic Dehydrogenase in Cerebrospinal Fluid and Serum of Patients with Craniocerebral Injuries
저자
李勳甲 (高麗大學校 醫科大學 神經外科學敎室)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73
작성언어
Korean
KDC
51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5-32(8쪽)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have shown that destruction of central nervous system parenchyma is associated with increases activity of the enzyme glutamic oxalacetic transaminase (GOT) and lactic dehydrogenase (LDH) in the cerebrospinal fluid. Cohen and Hekhuis demonstrated in 1941 that the brain had a high rate of transamination when compared with other body tissue, Wakim and Fleisher produced experimental cerebral infarction in dogs and foun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pinal fluid transaminase. A4iyazaki also demonstrated an increase in spinal fluid transaminase activity after cerebrovascular strokes. Recently Vara-Lopez and Vara-Thorbeck suggested that a study. of these enzymes in the CSF had diagnostic value in the study of patients in whom an intracranial tumor was suspected.
The study herein presented was undertaken to determine whether craniocerebral injuries would result in increased GOT and LDH activities of the spinal fluid and. serum.
We have investigated the. activity of some enzymes. GOT and LDH in the spinal fluid obtained by lumbar puncture and in the serum from 79 patients with craniocerebral injuries and from 16 healthy persons (control group) who were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Neurosurgery, Korea University Medical College from February to August, 1972.
The normal levels of GOT and LDH activity in the spinal fluid were 2-J4 units and 0-40 units per milliliter respectively. Significantly higher enzyme levels have been found in the spinal fluid of patients with craniocerebral injuries as compared with normal individuals. Pathological increase of the levels of GOT and LDH activity in patients with craniocerebral injuries were 26.3044.41 units and 35.30-127. 1 units per milliliter respectively.
The level of enzyme activity ar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severity of craniocerebral injuries, and the, bloody spinal fluids are generally associated with more marked elevation of the activity than that in clear spinal fluid even in same group of patients.
In Group IV, patients in coma or with intracranial hematorna, the level of the activity are elevated in both spinal fluid and serum, but the value in the serum are not pathological in extent.
The mean level of the activity in the spinal fluid in the male patients with craniocerebral injuries is slightly higher than that in the female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