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작용 책읽기 부모교육이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의 발화와 초기문해, 부모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rental Education during Shared Book Reading Program on Utterances, Early Literacy, and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ASD and their Parents
저자
발행사항
부산 :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 언어청각치료학과 2023. 2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부산
형태사항
77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진동
UCI식별코드
I804:21037-200000668976
소장기관
학령전기 아동은 부모와의 상호작용 책읽기 활동을 통해 책에 집중하는 법, 책에서 의미를 끌어내는 법, 책의 내용에 대해 이야기 하는 법 등 다양한 언어 기술과 지적 활동들을 배울 수 있다. 부모는 적절한 의사소통 전략을 사용함으로써 아동의 반응을 이끌어 내고, 반응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아동의 긍정적인 언어를 촉진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아동 간 상호작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인 ITTT와 책읽기 전략(CROWD, PEER)을 바탕으로 상호작용 책읽기 부모교육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울산 지역에 거주하는 생활 연령 5-6세의 자폐범주성장애아동 10명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부모교육 실시 전 사전 평가에서는 부모와 아동이 책 2권을 함께 읽도록 하여 아동의 구어능력, 의사소통 행동, 초기문해능력과 부모의 상호작용 행동, 질문유형, 부모 양육스트레스 척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상호작용 책읽기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6주 동안 총 6회기가 진행되었으며, 부모가 아동과 책읽기 활동을 하는 동안 자신의 언어적 행동을 변화시키고 아동의 언어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 상호작용 책읽기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교육 내용으로는 그림책 선정 방법, 단계별 책읽기, 상호작용 책읽기 시작하기, 질문하기, 반응적 전략(PEER), 촉진적 전략(CROWD), 초기문해능력, 부모의 양육 어려움 나누기 등으로 실시하였다. 매 회기 연구자는 ppt 자료와 시연을 통해 부모의 이해를 높였으며, 부모는 매 회기 시 배운 전략을 바탕으로 가정에서 아동과 함께 상호작용 책읽기 활동을 한 후, 일주일 동안 상호작용 일지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다음 회기에 부모는 상호작용 일지를 바탕으로 연구자에게 피드백을 받았다. 6회기의 부모교육이 종료된 후 사전 평가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 평가를 실시하여 변수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상호작용 책읽기 부모교육 전/후에 따른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의 의사소통능력 중 구어능력(총발화수, 평균 낱말길이, 대화 개시 횟수)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총발화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의사소통행동 중 언어적 표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비언어적 표현에서는 웃기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아동의 기초문해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상호작용 책읽기 부모교육 전/후에 따른 자폐범주성장애아동 부모의 상호작용 전략과 관련하여 질문 유형(직접질문, 간접질문, 언급하기)은 모든 항목에서 증가를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는 언급하기 항목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부모의 상호작용 유형(긍정/부정) 항목에서는 아동행동 반응하기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변화를 사전·사후분석한 결과, 총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위 영역을 살펴보면, 자녀영역에서 보상, 요구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부모영역에서는 유능감, 애착, 역할제한, 우울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본다면 다음과 같다. 상호작용 책읽기 부모교육 이후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의 구어 능력의 특성상 제한된 구어 사용이 상호작용의 질이 높아지면서 의미 있는 단어산출이 가능해짐에 따라, 총발화수의 증가를 가져왔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의사소통 행동(언어적, 비언어적)에서 웃기와 같은 긍정적인 행동의 증가가 나타났던 것은 부모가 가정에서 아동과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며 반응해주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초기문해능력 변화에서는 교육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이는 상호작용 책읽기 전략으로 제시한 CROWD, PEER 전략이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이 글자에 관심을 가지게 점진적으로 유도하였으며, 음운인식의 발달을 돕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상호작용 책읽기 부모교육 이후 자폐범주성장애아동 부모는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의 특성상 공동주의와 모방하기, 사회적 참조 등 사회성 발달에 어려움을 보이기 때문에 모방하기, 응답하기, 자발대화 등의 언어적 표현의 증가시키기 위해 직접질문을 비교적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부모의 상호작용 유형(긍정/부정)에서 아동행동 반응하기의 증가는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의 상호작용 특성 중 눈맞춤의 어려움을 아동행동 반응하기로 횟수를 늘렸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부모 교육에서 익힌 다양한 기법은 아동-부모 간 긍정적인 경험을 하게 하였으며, 자녀의 요구를 관찰하고 효과적으로 반응하였기에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감소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 책읽기 부모교육이 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밝히고 싶다는 연구의 의도도 있었지만, 부모-아동 상호작용에서 부모가 아동에게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정서적인 지지나 안정감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부모에게 굉장히 의의가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는 데에서 임상적 시사점이 있다.
Preschool children can learn various language skills and intellectual activities, including how to concentrate on books, how to draw meanings from books and how to talk about the contents of books, through the shared book reading with their parents. Parents can draw children’s responses by using appropriate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promote their positive language by giving feedback to the respon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of parents education through shared book reading for children with ASD.
The subjects included 10 children with ASD, who lived in Ulsan and ranged in chronological age from 5 to 6, and their parents. A pre-evaluation was conducted to analyze children’s verbal abilities, communicative behavior, early literacy and parents’ interactive behavior, types of questions and of parents’ parenting stress, by asking both parents and children to read two books, before the parent education.
This study conducted the shared book reading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six sessions, once a week during six weeks, and constructed the program to allow parents to change their linguistic behavior during the book reading activity with their children, learn the shared book reading technique for promoting the children’s utterances, and applying it to the actual book reading with them. The curriculum consisted of how to select illustrated books, step-by-step book reading, how to begin shared book reading, asking questions, responsive strategy (PEER), promotion strategy (CROWD), early literacy and sharing parents’ difficulty in parenting.
The researcher supported parents’ understanding by using ppt data or directly giving a demonstration at each session. Parents practiced the shared book reading activity with their children in homes, based on the strategies they learned on that day, and then, they filled the strategy diaries for a week and received feedback from the researcher at the next session. The post-evaluation similar to the pre-evaluation analyzed the same variables after six sessions of the parent education.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number of utterances (total number of utterances, average word length, frequency of conversation initiation) among the language skills of children with ADS, before and after parental education for reading.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inguistic expression among children’s communication behavio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tem of smiling for the non-linguistic express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emergent literacy.
Second, types of questions(direct and indirect questions and mentioning), which were related to parents’ interactive skills, increased in all items, an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entioning item between pre and post the shared book reading parent educ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ponses to the child behavior in the item of parents’ types of interactions (positive/negative). A pre-post analysis on changes in parents’ parenting stress was conducted to show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stres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domains: compensation and needs for the child domain; competence, attachment, role limitation and depression for the parent domain.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Children with ASD and limited verbal abilities could produce meaningful words as the quality of interactions was increased after the shared book reading parent education, probably leading to a relatively large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total number of utterances. In addition, the positive behavior such as smiling among the communicative behavior(verbal and non-verbal) was increased, probably because parents actively interacted with and responded to their children. Next, the early literacy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education, suggesting that the CROWD and PEER provided as the strategies for the shared book reading gradually encouraged children with ASD to have interested in letters, resulting in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phonological awareness.
Parents might more frequently use direct questions to increase their children’ linguistic expressions such as imitation, response, spontaneous conversation, etc., as they had difficulty in the social development including joint-attention, imitation and social reference, etc.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with ASD, after the shared book reading parent education. In addition, parents’ types of interactions(positive/negative) were examined to show that the frequency of parents’ responses to the child behavior might be increased due to their difficulty in eye-contact. Finally, a variety of techniques parents learned from the parent education might help them undergo positive experi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children and decrease their parenting stress, as they observed and effectively responded to children’s needs.
Although this study intended to elucidate that the shared book reading parent education contribute to enhancing children’s language skills, it has a clinical implication, in that it could verify that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very meaningful for parents, given that emotional support or a sense of stability is required for them to positively interact with their childre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