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노강서원의 연혁과 인적구성 = The History of Nogang Seowon and Its Membership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11-354(44쪽)
KCI 피인용횟수
6
제공처
This article is a case study on Nogang Seowon, a main institute under Noron-sect in Seongju area.
Nogang Seowon was built as Youngdang in 1712 with governmental collaboration and local Noron sect after suggesting its establishment in 1702. In 1740, its construction and building the foundation was done. In 1766, Yun Bong-gu listed Ganghakkyumok and Kwon Sang-ha, Yun Bon-gu, Han Won-jin, and Song Hwan-ki, core members of Noron sedt were listed to Nogang Seowon for worship.
For membership and management of Nogang Seowon, its basic form is system consisting of Wonjang, Jang, and Yusa, main characteristics of Seoin-sect system for a Seowon. Form of Wonjang maintained Kyungwonjang and Wonjang or Hyangwonjang. The introduction of Kyungwonjang in 1729, had maintained during the era of King Youngjo while Hyangwonjang was shared by 60% of five families of Yun family of Papyeong(24%), Lee Families of Byeokjin, Seongsan, and Seongju, respectively and these families were main families to run Nogang Seowon.
For visitors to Nogan Seowon, between 1740 and 1852, for 113 years, 2,604 visitors came to the Seowon and annual average visitors were 26. The visitors belonged to total 153 families, highest number of Yun family of Papyeong and Lee family in Seongsan, Na family in Suseong, Lee family of Seongju, Lee family of Byeokjin, and Jeong family of Dongrae had more 100 visits, respectively. For the visitors' residences, except for Seongju, there were 65 areas and 40 regions were located in Gyeongsang-do with 60%, more than a half. Most of them lived in the right part of Gyeongsang-do, showing Noron sect’s memb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lived there. In case of local civial servants, including four Gwanchalsa, 56 local civil servants were listed and there were higher number of those from the right part of Gyeongsang-do than those from the left part of the region. Nogang Seowon, located in Seongju, one of place for Youngnam sect, was a place for party activities for Noron sect and for opposing to Namin set in the area. Their being and matter of right in the area were mediated by Nogang Seowon.
본 논문은 성주지역의 대표적인 노론계 서원이었던 노강서원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이다.
노강서원은 숙종 28년(1702) 건원 발의 후 지역 노론세력과 관권 협조를 얻어 숙종 38년(1712) 영당으로 건립되고, 영조 16년(1740) 昇號 및 서원 기반 구축이 이루어졌다. 영조 42년(1766) 윤봉구가 강학규목을 작성한 후 노론 핵심 인사들인 권상하, 윤봉구, 한원진, 송환기를 차례로 추배하였다.
노강서원의 인적구성과 운영은 서인계 서원 원임 구성 특징인 원장-장의-유사 체제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원장 구성은 경원장과 원장 또는 향원장 체제를 유지했다. 영조 5년(1729)부터 도입된 경원장제는 영조연간 집중 운영되었으나 향원장은 전체 24%를 차지하는 파평윤씨 가문을 필두로 벽진・성산・성주이씨, 성주도씨 등 5개 가문이 60%를 점하고 있어 이들이 노강서원을 운영하던 대표 가문으로 볼 수 있다.
노강서원의 방문자는 영조 16년(1740)부터 철종 3년(1852)까지 113년간 2,604명이 내방하였으며 한해 평균 방문자수는 약 26명이다. 이들 방문자들의 성관은 총 153개로 파평윤씨가 267명으로 가장 많으며, 성산이・수성나・성주이・벽진이・동래정씨 가문에서 각 100회 이상 활발히 내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는 성주를 제외한 65개 지역인데 경상도가 40개 지역으로 절반이 넘는 60%를 차지하는데 주로 경상우도 거주자들로 조선후기 노론계 인물들이 우도에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방관의 경우 관찰사 4명을 비롯해 56명의 지방관이 기재되어 있는데 경상우도 지방관이 좌도에 비해 많았다.
이러한 노강서원은 영남학파의 거점중 하나인 성주에 존립하면서 노론 정치적 입장에 부합하는 당파적 활동과 향내 남인계 사족과의 대립하면서 자신들의 존재감과 향권 문제 등을 본 서원을 매개로 전개한 것으로 판단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KCI등재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5 | 0.55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47 | 0.972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