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미디어⋅광고 데이터 신뢰성 제고를 위한 국내 전담기관 설립 추진에 관한 연구: 이해관계자 심층면접 및 AHP와 IPA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to Develop the Establishment of a Domestic Specialized Institution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Media-Advertising Data: Using In-depth Stakeholder Interviews and Surveys Utilizing AHP and IPA
According to digital convergence, the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media device diversity and segmentation, and device convergence are indeed accelerating. The role of media and advertisement data as currency in the media industry is growing increasingly essential as a result of this shift. Despite the fact that the importance of media/advertisement data has been emphasized, the domestic media industry is in crisis as a result of the decline in reliability of media/advertisement data, which is being driven by online advertising fraud and the resulting deception of advertisers and consumers. As a resul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horoughly analyze the requirement, subject, and technique of establishing a certification/verification agency to enhance the credibility of media/advertisement data. This research, in particular, seeks to diagnose the need to increase data dependability in the contemporary media sector, as well as to explore domestic application techniques by identifying certification and verification systems and trends in major foreign countries. Furthermore, we seek to get a thorough grasp of the perspectives and needs of players in the media sector regarding certification and verification. This research performed in-depth interviews with 20 stakeholders and a survey of 34 stakeholders to that purpose. The survey, in particular, made use of AHP and IPA, both of which are appropriate for small sample surveys. Through the research findings, it was possible to materialize stakeholders' opinions on the establishment of an institution solely dedicated to domestic media and advertising data, as well as the direction of advancement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nstitution dedicated specifically to domestic media and advertising data.
더보기디지털 융합에 따른 방송과 통신의 결합, 미디어 기기의 다양화와 세분화 및 기기 간 융합 이 빨라지고 있다. 이런 변화에 따라 ‘미디어 시장의 화폐’로서 ‘미디어⋅광고 데이터의 역 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처럼 미디어·광고 데이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국내 미디어 산업은 온라인 광고사기(ad fraud)를 필두로 미디어·광고 데이터의 신뢰성 하락과 그에 따른 광고주와 소비자에 대한 기만 문제로 위기에 처해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디 어·광고 데이터의 신뢰성 제고를 위해 인·검증 전담기관 설립의 필요성과 주체, 방법론 등을 포괄적으로 논의했다. 구체적으로 현재 미디어 산업 내 데이터 신뢰도 제고의 필요성에 대해 진단하고, 해외 주요국의 인·검증 체계 및 동향 파악을 통해 국내 적용 방안을 모색했다. 추가로, 인·검증에 대한 미디어 산업 내 이해관계자들의 의견 및 요구사항을 심층적으로 파악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명의 이해관계자 대상 심층면접과 34명의 이해관계자 대상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특히 설문조사는 소표본 조사에 적합한 AHP와 IPA 를 활용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통해 국내 미디어⋅광고 데이터 전담기관 설립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의견과 국내 미디어⋅광고 데이터 전담기관 설립을 위한 추진 방향을 구체 화할 수 있었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9 | 0.79 | 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9 | 1.27 | 1.534 | 0.3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