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개인정보보호 정책의 효과성 분석에 관한 연구 : 공급자와 수혜자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As the principles and criteria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re established by the enactment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n 2011, social interest in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has increased, national policies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have been established, and various related activities have been actively promoted. However, with the recent incidents of the mass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negative perception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has already spread among the public. Especially, as results of recent personal information breach litigations are finalized and the fact that government has been used spyware without permission is revealed, public concerns over personal information not only are serious, it is developed into distrust of the government. Also, IT development, such as smart phones, has been further accelerated the public's concerns about personal information. In other words, it is a situation in which efforts are urgently needed to solve the problems on of the people's anxiety and distrust of privacy, before these concerns and distrust lead to more serious social problems.
      Of cours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making many efforts to ensure and strengthen the right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subject through the various policies on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government also set up the privacy awareness raising of the people as one of the policy agenda, and has been implemented continuously. However, these policies and plans are requesting the efforts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o the people, because these have been discussed mainly by the government. It may be asked whether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is appropriately reflect the people’ opinions on personal information.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to check whether the people are satisfied with national policy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o set the policy direction in order to develop into people-oriented policies that can meet the people’s requirements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new technological environment.
      Depending on the need for these people-oriente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the author tried to empirical analysis of the performance(effectiveness) of national policy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focusing on qualitative aspects of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the people, in order to identify that how the people recognize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and that whether people are satisfied with the current policy.
      Prior to the empirical analysis, the author analyzed the focus and trends of national policy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analyzed the related matters of the people’s perception on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polic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empirical analysis in quantitative terms, the author approached the national policy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public service, developed the SERVQUAL scale for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by applying the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the SERVQUAL model, and conducted a survey study using the developed SERVQAUL scale. Specifically, for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policy, the perception of the service provider(government, privacy officer) was investigated, and for the objective evaluation, the perception of the beneficiaries(people) receiving benefits of service was investigated together.
      And then, the author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n the policy from the perceptions on effectiveness of providers and beneficiaries, identified the agenda elements and relative priorities for improv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through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nd matrix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perceptions level of providers and beneficiaries.
      To summarize the main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below.
      First, providers and beneficiaries have perceived the effectivenes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differently.
      Privacy officers(providers in terms of public service) are aware of the higher effectiveness of policy than the people(beneficiaries in terms of public service). Similarly, privacy officers are more satisfie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than the people.
      In the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privacy officers have higher perceived effectiveness for ‘the efforts to confirm personal information’(efficiency) and ‘ensuring the security of personal information’(security). On the other hand, the people have increased effectiveness for ‘immediat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immediacy), ‘convenience of the data subject’(convenience), and ‘convenience, and role,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relate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responsibility.) In addition, while privacy officers have perceived the lowest effectiveness for ‘the exact implementation of work’(reliability), the people are aware of the lowest effectiveness for ‘the reduction of effort and expense of data subject’(efficiency).
      Second, in the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key factor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providers and beneficiaries is “security”.
      In the provider perspective, privacy officers’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for ‘ensuring the security of personal information’(security) and ‘capability and expertise for ensuring the right of personal information’(assurance) have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policy. In terms of beneficiary,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for ‘compliance on the protection of privacy rights’(assurance), ‘ensuring the security of personal information’(security), and ‘corresponding social requirements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responsiveness) have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policy.
      Third, based on the perceptions of the beneficiarie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people-oriented policy were discussed. And the direction and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policy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were discussed through an integrated analysis of providers and beneficiaries’ perceptions.
      Items, that should be focused through the policy because the people’s expectations are high but the actual perceptions of performance are low, were identified as follows: ‘policy should be executed quickly and proactively’, ‘policy should be improved accordingly to reflect IT environment’, ‘the notice and consent to collect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done correctly’, ‘information related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available in an easy-to-understand words’,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accurate, complete, and be kept up-to-date’. Discussion of the measures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is required with priority, focusing on these items.
      Moreover, since providers and beneficiaries have perceived low effectivenes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it was identified that the discussion of improving the policy should be required preferentially.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d the people’s perception, and considered the direction of policy based on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From these point, this paper is meant as a starting point for discussions in order to reflect the public's point of view to the policy of the government. Also there are methodological significance in that effectiveness(performance) of the policy were analyzed as quantitative with qualitative measures in the empirical analysis.
      Moreover, because this paper considered the implications to the awareness of the people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re are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be used as a base material for the policy by researchers and policy makers.
      Since this paper did not target a specific policy, research and analysis have some limitations in the lack of objectivity. However, because this paper was presented the direction to people-oriente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macroscopically, the author expect this paper will be useful to strengthen the security of advanced information society.

      더보기

      2011년 개인정보보호법의 제정으로 사회 전반을 규율하는 개인정보보호 원칙과 기준이 마련됨에 따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졌고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국가정책들이 수립되어 관련된 제반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그동안 많은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개인정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국민들 사이에 팽배한 상황이다. 특히 최근 확정된 개인정보 유출 사고들의 소송 결과나 정부의 스파이웨어 사용으로 인해 개인정보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는 심화되는 수준을 넘어 정부에 대한 불신으로까지 발전하고 있고, 스마트폰과 같은 IT의 발전은 개인정보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을 더욱 가속화되고 있어, 개인정보에 대한 국민의 불안과 불신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부상하기 전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물론 현재 우리의 개인정보보호 정책들에서는 개인정보 주체의 권리를 보장하고 강화하기 위한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국민의 개인정보보호 인식 제고를 하나의 정책 의제로 지속적으로 계획, 이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의 논의는 공급자(정부) 중심의 정책으로, 주로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노력을 국민 개인에게 요구하는데 그치고 있어,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국민의 의사가 적절하게 정책에 반영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인 상황이다. 즉, 개인정보의 정보주체인 국민의 관점에서 국민들이 개인정보보호 정책에 만족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기술 환경에서 국민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국민 지향적인 정책으로 발전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설정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국민 지향적인 개인정보보호 정책의 필요성 하에, 본 논문은 현 정부의 국가 개인정보보호 정책이 국민에게 어떠한 의미로 인식되고 있고 이에 대해 만족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국민의 인식과 만족도라는 질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국가 개인정보보호 정책의 성과(효과성)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실증적인 분석에 앞서, 본 논문은 개인정보보호법과 법 제정이후 마련/논의된 개인정보보호 법제도 및 정책 활동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우리 정부의 정책의 초점 및 동향과 국민의 개인정보 인식과 관련된 사안이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개인정보보호 정책의 효과성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정량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해, 개인정보보호 정책을 일종의 공공서비스로 이해하고, 공공서비스의 성과를 분석하는 척도로 활용되고 있는 SERVQUAL 모형에 개인정보 보호의 기본적인 개념과 원칙을 적용하여 개인정보보호 정책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SERVQUAL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설문조사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문조사는 정책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는(정책을 마련하고 이행하는) 공급자(정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측면의 인식을, 객관적 평가를 위해 서비스의 혜택을 받는 수혜자(일반 국민) 측면의 인식을 함께 조사·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공급자와 수혜자의 효과성 인식이 개인정보보호 정책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공급자와 수혜자의 효과성 인식 수준에 대한 중요도-성과 분석과 매트릭스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보호 정책의 개선을 위한 의제 요소와 상대적 우선순위를 식별하였다. 이러한 개인정보보호 정책의 효과성에 대한 실증적 분석의 핵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급자와 수혜자는 개인정보보호 정책의 효과성을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 세부적으로 개인정보보호 정책에 대해 공급자인 개인정보보호 담당자는 수혜자인 국민보다 정책의 효과성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고, 개인정보보호 정책에 대한 만족도 역시 더 높게 나타났다. 정책의 효과성 인식에 있어, 개인정보보호 담당자는 개인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노력(효율성)과 개인정보에 대한 안전의 보장(안전성)에 대한 효과성을 가장 높게 지각하는 반면, 국민은 정책의 즉각적인 이행(신속성)과 정보주체의 편의(편의성)와 개인정보보호 관련 역할, 책임, 의무(책임성)에 대한 효과성을 높게 지각하고 있다. 또한 개인정보보호 담당자는 업무의 정확한 이행(신뢰성)에 대한 효과성을 가장 낮게 인식하는 반면, 국민은 정보주체의 노력과 비용의 감소(효율성)와 관련된 효과성을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다.
      둘째, 개인정보보호 정책의 효과성에 대한 공급자와 수혜자의 인식이 정책 만족도에 미치는 핵심 영향 요인은 ‘안전성’이며, 다른 주된 영향요인은 다르게 나타났다. 개인정보보호 담당자의 경우, 개인정보에 대한 안전의 보장(안전성)과 개인정보의 권리 보장을 위한 역량 및 전문성(보증성)에 대한 효과성 인식이 정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국민의 경우, 개인정보 권리 보장의 적합 여부(보증성), 개인정보에 대한 안전의 보장(안전성),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대응(반응성)에 대한 효과성 인식이 정책 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다.
      셋째, 수혜자의 인식을 토대로, 국민지향적인 개인정보보호 정책을 위한 정책 방안을 고찰하고, 개인정보보호 정책에 대한 공급자-수혜자 인식의 통합적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보호 정책의 발전을 위한 방향과 전략을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국민이 기대하는 바가 높지만, 실제 성과가 낮게 인지되어 집중되어야 할 사항으로 ‘정책이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시행되고’, ‘IT 기술 환경을 반영하여 적절하게 개선되며’, ‘정책을 통해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고지와 동의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개인정보보호 관련 정보가 이해하기 쉬운 단어로 제공되며’, ‘개인정보가 정확하고, 완전하며, 최신의 정보로 유지되어야’ 함이 식별되었고, 이를 중심으로 개인정보보호 정책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의 논의가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공급자와 수혜자가 개인정보 업무처리에 있어, 정책의 성과를 낮게 인식하고 있어, 개인정보보호 담당자에 대한 신뢰나 적극성,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업무처리의 실수/오류를 줄이고 업무처리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정책 개선의 논의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개인정보 활용 제한에 대한 신뢰성 역시 개선을 위한 대안이 마련되어야 함이 식별되었다.
      본 논문은 기존 개인정보보호 연구와 달리,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국가 정책에서 어떻게 반영하여 정책을 개선·발전시켜야 하는가에 대해 실증적 조사 분석을 수행함으로서, 국민의 인식과 만족도를 기반으로 정책이 나가야할 방향을 고찰한다는 점에서, 정부 정책에 국민의 관점을 반영하기 위한 논의의 시발점으로서 그 의미가 있다. 그리고 실증적 분석을 위해, 공공서비스의 관점에서 국가 개인정보보호 정책을 접근하여 공공서비스의 품질을 정책의 성과로서 분석함으로써, 정책의 효과성(성과)을 정성적인 척도에서 계량적으로 분석했다는데 방법론적 의의가 있다. 또한 증가하고 있는 개인정보에 대한 위협과 이에 따라 높아지고 있는 개인정보보호의 중요성 인식에 비해, 부정적이고 낮아지고 있는 개인정보보호 활동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제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고찰한다는 점에서, 연구자 및 정책입안자들에게 정책 수립을 위한 기반자료로 활용되어, 고객 지향적 개인정보보호 정책의 마련에 기여할 것이라는 점에서 정책적인 함의가 존재한다.
      본 논문은 특정 정책을 대상으로 하지 않았기에, 조사 및 분석에 있어 객관성이 부족한 한계점을 가지지만, 새로운 기술사회로의 진입에 있어 개인정보보호 정책이 나아가야할 국민지향적 정책으로의 발전 방향을 거시적으로 제시하였기에, 고도화된 정보 사회의 안전을 보다 강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더보기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2
      • 1. 연구범위 12
      • 2. 연구방법 13
      • 제 3 절 논문의 구성 16
      • 제 2 장 이론적 배경 17
      • 제 1 절 개인정보보호 17
      • 1. 개인정보와 개인정보보호 17
      • 2. 인지적 관점에서의 개인정보보호 51
      • 제 2 절 국가 개인정보보호 정책 55
      • 1. 국가 개인정보보호 정책 55
      • 2. 우리 정부의 개인정보보호 정책의 동향 56
      • 제 3 절 공공서비스 59
      • 1. 공공서비스의 개념 59
      • 2. 공공서비스의 특성 및 유형 64
      • 3. 공공서비스와 개인정보보호 정책 68
      • 제 4 절 효과성 측정을 위한 SERVQUAL 71
      • 1. SERVQUAL 개요 71
      • 2. SERVQUAL의 기본 모형 73
      • 3. SERVQUAL을 이용한 효과성/만족도 분석 - IPA 77
      • 4. SERVPERF와 e-SERVQUAL 80
      • 제 5 절 선행연구의 분석 85
      • 1. 개인정보보호 관련 선행 연구 85
      • 2. SERVQUAL 관련 연구의 동향 97
      • 제 3 장 연구 분석틀 109
      • 제 1 절 연구의 설계 109
      • 1. 조작적 정의 109
      • 2. 연구를 위한 분석틀 109
      • 3. 가설의 설정 110
      • 제 2 절 정책의 효과성 분석을 위한 지표의 설정 112
      • 1. 1차 SERVQUAL 척도 113
      • 2. 2차 SERVQUAL 척도 115
      • 제 3 절 조사 설계 119
      • 1. 조사의 개요: 연구대상과 자료 수집 119
      • 2. 설문의 구성 121
      • 제 4 절 자료 분석 방법 125
      • 1. 통계적 분석 125
      • 2. 연구 분석의 모형 126
      • 제 4 장 분석 결과 130
      • 제 1 절 표본의 특성 130
      • 1.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배경 130
      • 제 2 절 측정 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34
      • 1. 변수의 타당성 분석 134
      • 2. 변수의 신뢰도 분석 140
      • 제 3 절 개인정보보호 정책에 대한 인식의 분석 143
      • 1. 공급자 관점의 인식 143
      • 2. 수혜자 관점의 인식 148
      • 3. 소 결 179
      • 제 4 절 집단 간 개인정보보호 정책에 대한 인식 차이의 분석 181
      • 1. 인구통계학적 변수 별 집단 간 차이 분석 181
      • 2. 인지적 요인의 변수 별 수혜자 집단 간 차이 분석 210
      • 3. 소 결 237
      • 제 5 절 개인정보보호 정책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251
      • 1. 상관관계 분석 251
      • 2. 개인정보보호 정책 만족도에 대한 회귀분석 255
      • 3. 소 결 264
      • 제 6 절 개인정보보호 정책의 중요도-성과(IPA) 분석 267
      • 1. 전체 차원 및 세부지표의 분석 267
      • 2. SERVQUAL 차원 별 분석 270
      • 3. 소 결 283
      • 제 7 절 공급자-수혜자의 인식 비교 및 통합적 분석 286
      • 1. 수정된 2차 척도R에 따른 수혜자의 정책 인식 288
      • 2. 개인정보보호 정책에 대한 공급자-수혜자 간 인식의 차이 291
      • 3. 정책 만족도에 대한 공급자-수혜자 간 영향 요인의 차이 293
      • 4. 개인정보보호 정책에 대한 공급자-수혜자 인식의 통합적 분석 298
      • 5. 소 결 310
      • 제 5 장 논의 및 결론 315
      •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315
      • 1. 실증적 분석의 결과 315
      • 2. 실증적 분석 결과의 시사점 320
      • 제 2 절 연구의 함의 325
      • 제 3 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326
      • 참고문헌 329
      • 부록 346
      • A. 공급자 대상 설문지 346
      • B. 수혜자 대상 설문지 350
      • 영문 초록 360
      • 국문 초록 365
      더보기
      • 1 성낙인, "헌법학 (제8판)", 파주: 법문사, 2008
      • 2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서울: 박영사, 2006
      • 3 이순묵, "요인분석의 기초",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과학사, 2000
      • 4 윤영진, 이종수, "새 행정학 (5정판)", 서울: 도서출판 대영문화사, 2008
      • 5 이시원, 최종원, 정준금, 정정길, 정광호, "정책학원론 (제8판)", 서울: 대명출판사, 2014
      • 6 전광석, "한국헌법론 (제3판)", 파주: 법문사, 2006
      • 7 임규철, "「개인정보와 법」", 보명books, 서울: 보명Books, 2009
      • 8 이창범, "「개인정보보호법」", 법문사, 파주: 법문사, 2012
      • 9 김석준, "「뉴거버넌스 연구」", 대영문화사, 서울: 대영문화사, 2000
      • 10 윤명선, "인터넷시대의 헌법학", 대명출판사, 서울: 대명출판사, 2002
      • 11 남궁근, "행정조사방법론 (제4판)", 파주: 법문사, 2010
      • 12 최기종(Kee Jong Choi), "IPA 를 이용한 관광지 평가",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호텔경영학연구, 제10권 제1호, pp.275-289, 2001
      • 13 김철수, "헌법학개론 (제19전정신판)", 서울: 박영사, 2007
      • 14 권영성, "헌법학원론 (2008년 개정판)", 파주: 법문사, 2008
      • 15 허영, "헌법이론과 헌법 (신정11판)", 서울: 박영사, 2006
      • 16 정우영, 임정숙, 윤주희, 손영화, "개인정보의 범위에 관한연구",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연구 보고서, 2014
      • 17 權亨俊, "자기정보통제권에 관한 고찰", 한국헌법학회, 헌법학연구, 제10권 제2호, pp.89-116, 2004
      • 18 이민영, "개인정보법제론 (개정증보판)", 서울: 진한 M&B, 2007
      • 19 문재완(MOON, Jaewan), "개인정보의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공법학회, 공법연구, 제42집 제3호, pp.53-77, 2014
      • 20 박홍윤, "『정책평가론 - 실제와 사례』", 대영문화사, 서울: 대영문화사, 2012
      • 21 방민석, 오철호, "“개인정보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정보화진흥원, 정보화정책, 제21권 제1호, pp.3-16, 2014
      • 22 손희준, "공공서비스의 공 사간 비용분석", 한국지방행정연구원,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 서, 1994
      • 23 김인, "한국에서의 공공서비스 연구경향", 서울행정학회,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4권 제2호, pp.177-210, 2013
      • 24 장주봉, "“개인정보의 의미와 규제범위,”", 개인정보 보호의 법과 정책 (pp.60-89), 서울: 박 영사, 2014
      • 25 안병철(Byeong-Chul Ahn), 이도형(Do-Hyung Lee), 김정렬(Jung-Yul Kim), "공공서비스의 역사적 변천과 특성", 한국거버넌스학회,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6 권 제2호, pp.287-317, 2009
      • 26 김근세, 한현주, 최준호, 박중훈, "행정서비스 품질제고를 위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행정연구원 연구 보고서, 2005
      • 27 차맹진, "프라이버시보호와 자기정보통제권",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 28 김명수, 최정수, 조재국, 윤강재, "보건의료정책평가 현황과 발전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06
      • 29 이강, "SERVQUAL 모형의 활용실태 및 개선방안", 서울행정학회, ”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5권 제1호, pp.449-479, 2004
      • 30 양병화,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학지사, 서울: 학지사, 1998
      • 31 김선남, 이환수, "빅데이터 시대의 개인정보보호 방안", 한국경영정보학회, 기업법연구, 제28권 제3호, pp.355-393, 2014
      • 32 박재희, "행정서비스 제공방식의 다원화 방안", 한국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1998
      • 33 이항우, "“개인정보 보호와 공유자원 관리,”",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회,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통권 제17호, pp.163-192, 2006
      • 34 김미곤, 정해식, 우선희, 여유진, 김태완, 김성아, "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14
      • 35 권건보,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 개인정보 보호의 법과 정책 (pp.3-35), 서울: 박영사, 2014
      • 36 경정익, "스마트시대 개인정보보호 이해와 해설", 부연사, 서울: 부연사, 2015
      • 37 정형철, 한견우, 진승헌, 박성률, 김학범, 김지희, 김성준, "정보보호 관련 대국민 홍보 방 안 연구", 한국인터넷진흥원 연구보고서, 2010
      • 38 김성우, 조동기, "“인터넷의 일상화와 개인정보 보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이슈 리포트, 03-11호, 2003
      • 39 김승욱, 주희엽, "“전자정부 e-서비스와 고객관계관리,”", 대한경영학회, 대한경영학회지, 제19권 제3호, pp.883-908, 2006
      • 40 윤정욱,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 형식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41 김용섭, "정보공개와 개인정보보호의 충돌과 조화", 공법연구, 제29집 제3호, pp.167-200, 2001
      • 42 이민영, "“개인정보보호 전담기구의 법적 쟁점,”", 법조협회, 법조, 제60권 제4호, pp.76-118, 2011
      • 43 정용길, "“서비스 품질의 측정: SERVQUAL과 SERVPERF,”", 경영논집 (서울대학교), 제33 권 제3호, pp.438-461, 1999
      • 44 白允喆, "헌법상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법조협회, 법조, 제51권 제5호, pp.173-208, 2002
      • 45 손명세, "“보건의료법제의 변천-그 평가와 전망,”", 법제 (법제처), 2000년 7월호, p.3-23, 2000
      • 46 문신용, 함종석, 윤기찬, "e-서비스의 성과분석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행정연구원 연 구보고서, 2007
      • 47 김동욱, 성준욱, "“스마트시대 정보보호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보호학회, 정보보호학회논문지, 제22권 제4호, pp.883-899, 2012
      • 48 황인호, "개인정보보호 제도에서의 규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49 강현철, "구성타당도 평가에 있어서 요인분석의 활용", 한국간호과학회, 대한간호학회지, 제43권 제5호, pp.587-594, 2013
      • 50 박승환, 최철재, "농산물 전자상거래 서비스품질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제18권 제4호, pp.297-303, 2006
      • 51 권헌영, "“전자정부시대 개인정보보호법제의 쟁점”", 한국정보사회진흥원, 정보화정책, 제11권 제3호, pp.55-78, 2004
      • 52 김현수, "“정보화와 개인정보보호의 현황 및 과제,”", 한국윤리학회, 국민윤리연구, 제63호, pp.173-203, 2006
      • 53 김선희, "소득 계측이 공공서비스 인식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54 박희주(Park, Heui-Ju), 김도년(Kim, Do-Nyun), "소비자 개인정보 수집에 관한 개선방안 연구", 한국소비자원,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 연 구보고서, 2014
      • 55 구혜경, 이화옥, 이진명, 나종연, "정보주체 동의권의 실질적 보장을 위한 연구",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연구보고서, 2013
      • 56 오세윤, "SERVQUAL척도를 활용한 행정서비스 만족도 평가",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 10권 제2호, pp.73-90, 2000
      • 57 임규철, "“국내외 개인정보 보호법제 현황 및 쟁점,”", 언론중재, pp.7-24, 2012
      • 58 김주영, "개인정보 보호법의 이해 - 이론 판례와 해설 -", 법문사, 파주: 법문사, 2012
      • 59 김명식, "“캐나다의 개인정보 보호체계에 관한 연구”", 미국헌법학회, 미국헌법연구, 제23권 제3호, pp.1-35, 2012
      • 60 장대성, "“항공사 서비스 품질 측정방법의 비교 연구”", 한국품질경영학회, 품질경영학회지, 제31권 제4호, pp.36-54, 2003
      • 61 권현주, 주희엽, 박정훈, "“전자정부의 e-서비스 평가: SERVQUAL vs. SERVPERF,”", 대한경영학회, 대 한경영학회지, 제34호, pp.381-398, 2002
      • 62 김태형, "“옥션 해킹 사건 대법원 판결, 후폭풍 거세다,”", 보안뉴스, 2015년 2월 13일.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45363, 2015
      • 63 민경식, 황성원, 채승완, 정경호, 이정수, 원순재, "개인정보보호지수 모델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보호진흥원,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연구보고서, 2007
      • 64 이경민, "“SK컴즈, 개인정보 유출 집단소송 족쇄 벗었다,”", 전자신문, 2015년 3월 20일. http://www.etnews.com/20150320000167, 2015
      • 65 한수련, "서비스디자인 측면에서 공공서비스평가 방향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66 김미호, "“SERVQUAL을 통한 경찰서비스의 주민만족도 평가.”", 한국경찰연구학회, 한국경찰연구, 제12권 제 4호, pp.3-32, 2013
      • 67 손형섭, "“개인정보의 보호와 그 이용에 관한 법적 연구,”", 한국법학회, 법학연구, 제54집, pp.1-34, 2014
      • 68 송지준, "<개정 2판>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파주: 21세기사, 2011
      • 69 신영진,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효율성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18권 제1 호, pp.87-106, 2006
      • 70 김상겸, "“독일의 의료정보와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한독사회과학회, 한 독사회과학논총, 제15권 제2 호, pp.1-16, 2005
      • 71 허만영, "“성과관리와 정책평가의 연계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행정논총, 제44권 제4호, pp.485-506, 2006
      • 72 이영범, "규제 성과 평가 지표 개발 및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행정연구원 연구보고 서, 2003
      • 73 구슬, 최승원, 이희정, 이현수, 이병준, 양승미, 김민정, "정보통신분야 해외 개인정보 관련 법제도 비교 연구", 한국인터넷진흥원 연구보고서, 2011
      • 74 명준형, 이훈행, 이현규, "2014년 개인정보보호수준 실태조사 보고서 [개인부문]", 한국인 터넷진흥원 연구보고서, 2014
      • 75 서의진, 이기헌, "개인정보 수집 제공 관리 실태 및 개선방안 조사결과", 한국소비자원, 한국소비자원 거 래조사보고서, 2011
      • 76 나희, 황혜신, 최성락, 조태준, 노동조, "공공도서관 서비스 개선을 위한 운영방식 비교 연 구", 문화체육관광부 연구보고서, 2010
      • 77 성도경, 장철영, "행정서비스의 고객지향성 평가:e-Government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 학보, 제39권 제2호, pp.207-232, 2005
      • 78 이인호, "“주민등록번호․지문날인과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인터넷법률, 통권 제8호. pp.50-67, 2002
      • 79 서형준, 명승환, "프레임 분석을 통한 NEIS 갈등과정 분석과 정책적 함의", 한국정보화진흥원, 정보화정책, 제21권 제3호, pp.56-84, 2014
      • 80 문신용, 윤기찬, "「성과분석 평가의 이해: 공공서비스의 통합적 분석」", 삼영사, 서울: 삼영사, 2008
      • 81 권헌영, 정재한, 신동민, 박세진, 김나연, 김경열, "개인정보보호법 시행이후 변화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연구보고서, 2012
      • 82 신영진, "“IoT시대에서의 개인정보보호정책과제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2015년 한국행정학회 하계 학술대회 자료집, pp.692-710, 2015
      • 83 구태언, 지성우, 정준현, "개인정보 보호법에 대한 타 법률의 특별한 규정의 연구",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 보보호위원회 연구보고서, 2013
      • 84 윤기찬, "사회복지서비스 민간위탁사업의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85 구혜경, 나종연, "소비자의 개인정보 제공 동의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소비문화학회, 소비문화연 구, 제17권 제2호, pp.151-181, 2014
      • 86 정한신, "<빅데이터 환경에서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헌법적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87 김영수, 방영강, "“지방행정서비스의 분석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보, 제9권 제4호, pp.185-206, 1997
      • 88 김일환, "“정보자기결정권의 헌법상 근거와 보호에 관한 연구,”", 한국공법학회, 공법연구, 제29집 제3호, pp.87-112, 2001
      • 89 우정훈, "SERVQUAL을 활용한 ISMS 성과측정 모형 개발에 대한 실증연구", 충북대학교,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90 유진호, 지상호, 임종인, "“개인정보 유 노출 사고로 인한 기업의 손실비용 추정”", 한국정보보호학회, 정보보 호학회논문지, 제19권 제4호, pp.63-75, 2009
      • 91 유진호, 손영수, "개인정보 침해 인지와 정보보호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고찰", 한국경영정보학회, 2014년 한 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pp.355-359, 2014
      • 92 이문규, "“e-SERVQUAL: 인터넷 서비스 품질의 소비자 평가 측정 도구”", 마케팅연구, 제 17권 제1호, pp.73-95, 2003
      • 93 노영희, "“도서관 이용자 프라이버시에 대한 사서인식 조사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 47권 제3호, pp.73-96, 2014
      • 94 박지혜, "“카드사 정보유출 1년…‘지지부진’ 속 2차 소송 준비,”", 더팩트, 2015년 1월 21일. http://news.tf.co.kr/read/economy/1477259.htm, 2015
      • 95 김성호, 조준한, 노정현, "“탐색적 요인분석을 이용한 도로특성분류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대한교 통학회지, 제26권 제3호, pp.53-66, 2008
      • 96 김하영, 허성윤, 조만석, 임세실, 이현주, 우종률, 문형빈, 김혁조, "빅 데이터 환경의 개인 정보에 대한 소비자 가치 추정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연구보고서, 2014
      • 97 박노형, 정명헌, 이종현, 배연재, 박주희, "EU 및 일본의 개인정보보호 법제 및 감독체계 개편내용 분석", 방송통신위원회 연구보고서, 2014
      • 98 박문석, 이우석, "“전자상거래에서의 소비자개인정보통제권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인터넷전자상거 래연구, 제8권 제3호, pp.239-256, 2008
      • 99 김태종, 심재훈, "“<금융권 곳곳서 고객정보 유출…‘안전 지대’가 없다>,”", 연합뉴스, 2014년 1월 12일. http://www.yonhapnews.co.kr/economy/2014/01/10/0301000000AKR20140110169600002.html, 2014
      • 100 정진우, "“지방공무원과 행정인턴의 개인정보보호 인식 비교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16권 제4호, pp.55-70, 2013
      • 101 유진호, 한창희, 정상호, 유승동, 유병준, "개인정보의 가치와 개인정보 침해에 따른 사회 적 비용 분석",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연구보고서, 2013
      • 102 유진호, 김민정, 손영수, "“인터넷 이용형태와 개인정보보호 인지도의 연관성 분석,”", 2014 년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pp.1180-1184, 2014
      • 103 주지홍, 이민영, "“전자정부시대의 개인정보보호 – 법안분석 및 법제검토,”",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이슈 리포트, 03-20호, 2003
      • 104 김재섭, "“[단독] ‘홈플러스 집단분쟁’ 개인정보분쟁조정위 기각,”", 한겨레, 2015년 4월 28일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88788.html, 2015
      • 105 정석균, "“인터넷 개인정보보호의 시장자체해결가능성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정책연구, 제 10권 제9호, pp.27-37, 2012
      • 106 김성식, 하태현, 최은희, 조연하, 배진아, "이용자 및 사업자 대상 개인정보보호 인식수준 분석 방안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연구보고서, 2011
      • 107 심재훈, 지성호, "“카드사 고객정보 8천여만건 대출중개업자에 유출 (종합2보),”", 연합뉴스, 2014년 3월 14일. http://www.yonhapnews.co.kr/economy/2014/03/14/0301000000AKR20140314155900052.html, 2014
      • 108 김경애, "“환자정보 무단 수집 적발! 의료분야 개인정보보호 ‘비상’,”", 보안뉴스, 2015년 7월 23일.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47144, 2015
      • 109 김선남, 이환수, "빅데이터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안)의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 정 보화정책, 제21권 제4호, pp.20-39, 2014
      • 110 노동일, 정완, "사이버공간상 프라이버시 개념의 변화와 그에 대한 법적대응방안",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 경희 법학, 제45권 제4호, pp.181-218, 2010
      • 111 김종철, "“헌법적기본권으로서의 개인정보통제권의 재구성을 위한 시론,”", 법무부, 인터넷법률, 통 권 제4호. pp.23-44, 2001
      • 112 최태호, 권원용, "도시공공서비스 공급합리화 방안: 민간참여 확대가능성을 중심으로", 국토개발연구원, 국 토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1988
      • 113 이경호, 정명수, "“DEA 모형을 이용한 개인정보보호 관리수준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보호학회, 정보보호학회논문지, 제25권 제3호, pp.691-701, 2015
      • 114 강석중, 이범구, 민원배, "“SERVQUAL 모형을 적용한 국방전자조달 서비스에 대한 만족 도 분석,”", 한국정보통신학회,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제18권 제2호, pp.488-495, 2014
      • 115 김정은, 여정성, "“소비자의 개인정보 가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소비자학회, 소비 자학연구, 제21권 제2호, pp.341-366, 2010
      • 116 노상욱, 박종렬, "“집회시위현장의 채증활동과 정보자기결정권의 충돌에 관한 소고,”",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법과 정책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소), 제20권 제1호, pp.287-313, 2014
      • 117 문혜정, 조현석, "“빅 데이터 시대 위험기반의 정책 - 개인정보침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보화진흥원, 정 보화정책, 제19권 제4호, pp.63-82, 2012
      • 118 부숙진, "“축제서비스품질 측정모형간 비교우위: SERVQUAL, R-SERVQUAL, SERVPERF적용,”", 대한관광경영학회, 관광연구, 제23권 제1호, pp.253-274, 2008
      • 119 박천웅, 박수현, 장성호, 김준우, "정보 프라이버시 위험과 침해 경험이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정보학회, 2014년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315-324, 2014
      • 120 이수창, 임중한, 이환범, "“지역사회 노인여가복지시설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보, 제39권 제3호, pp.137-158, 2005
      • 121 박지경, 김지온, Park, Ji-Kyeong, Kim, Ji-On, "정보사회에서 보건행정 전공 대학생들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지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5호, pp.325-334, 2014
      • 122 김대환, 홍기훈, 정수진, 장구락, 이채관, 이창희, 이종태, 손병철, 서춘희, 김정호, 김민, "“중소사업장 보건관리 담당자의 의료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및 실천도,”", 대한직업환경의학회, 대한작업환경의학 회지, 제23권 제1호, pp.53-63, 2011
      • 123 강경식, 오선일, "“파렛트 Pool 서비스품질 측정에 있어서 SERVQUAL과 SERVPERF 모 형비교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제13권 제2호, pp.157-167, 2011
      • 124 송건섭, 이곤수, 윤종갑, "공공서비스 성과평가와 측정: 기초자치단체의 성과관리시스템 구축과 적용", 대구: 도서출판 대명, 2005
      • 125 하영미, 차기정, "의료기관 근로자의 환자 개인정보 보호 인식에 대한 평가도구 개발 및 검증", 한국산학기술학회,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pp.1253-1263, 2015
      • 126 김순양, 윤기찬, "여성복지서비스에 대한 수혜자 만족도 비교분석: 서브퀄(Servqual) 기법의 적용", 한국정책학회보, 제13권 제4호, pp.213-245, 2004
      • 127 김동석, 노영희, 김태경, "“도서관이용자프라이버시에 대한 교육전후의 이용자인식변화 분 석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정보관리학회지, 제32권 제1호, pp.63-84, 2015
      • 128 박수경, 이봉규, 송주호, "“이용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Government 2.0 서비스 품질 요 인에 관한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2권 제2호, pp.149-161, 2010
      • 129 이재욱, "“씨티은행 고객정보로 ‘보이스피싱’ 작년 유출사태 뒤 2차 피해 첫 확인,”", 한겨레, 2014년 4월 10일.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32096.html, 2014
      • 130 윤상오, "“유비쿼터스 정부(u-정부)에서의 정부신뢰 구축: 개인정보보호의 관점에서,”", 한국국정관리학회, 현 대사회와 행정, 제19권 제2호, pp.61-87, 2009
      • 131 문신용, 성금단, "“건강가정복지서비스의 운영형태에 따른 성과평가: SERVQUAL기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행정논총, 제48권 제4호, pp.357-383, 2010
      • 132 김상희, 김종기, "온라인 환경에서 프라이버시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보호동기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정보화진흥원, 정보화정책, 제20권 제3호, pp.63∼85, 2013
      • 133 김종선, 오도교, 김세빈, "“한밭수목원 산책로에 대한 이용객 평가: 중요도-만족도 분석 (ISA)을 중심으로,”", 한국산림과학회, 한국임학회지, 제99권 제3호, pp.404-413, 2010
      • 134 이선영(Sun-Young Lee),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 동의서에 대한 이용자 인식 분석 및 대응 정책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12권 제8호, pp.85-92, 2014
      • 135 신일순, 장원창, "“인터넷 이용자의 개인정보 처리방침에 대한 인지 및 확인과 온라인 거래 행 동,”", 정보보호학회논문지, 제22권 제6호, pp.1419-1427, null
      • 136 홍미영, 우양호, "“공공서비스 질 측정의 타당성 평가에 관한 연구: SERVPERF모형의 적용가능성 탐색.”", 한국행정논집, 제16권 제3호, pp.647-671, 2004
      • 137 강지원, 장재영, 박영주, 박배효, 마세윤, 김수환, 김성준, 김석, 김범수, "스마트기기 보급 확대에 따른 개인정보보호방안 연구 - 사물인터넷 환경을 중심으로",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연구보고서, 2014
      • 138 문종범, 안정기, "“공공서비스의 고객만족도와 서비스품질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경영 컨설팅연구", 제1권 제1호, pp.39-65, 2011
      • 139 정대경, "“국내외 개인정보보호정책 비교분석 – 개인정보보호 법률과 전담조직을 중심으 로,”", 한국정보보호학회, 정보보호학회논문지, 제22권 제4호, pp.923-939, 2012
      • 140 이유지, "“금융 고객정보유출 파문 확산…“카드사 외 16개 금융사 개인정보도 127만건 유출”,”", 디지털데일리, 2014년 1월 19일.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13533, 2014
      • 141 윤상오,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개인정보보호 정책에 관한 연구: 정부신뢰 구축의 관점 에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12권 제2호, pp.1-29, 2009
      • 142 송건섭, 이환범, "서브퀄(SERVQUAL)요인을 이용한 지역축제의 서비스 질 평가: 세계유교문화축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보, 제36권 제3호, pp.249-268, 2002
      • 143 임규철, "“정보화사회에서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대한 연구 - 독일에서의 논의를 중심 으로,”", 한국헌법학회, 헌법학연구, 제8권 제3호, pp.231-260, 2002
      • 144 문신용, 윤기찬, "사회복지서비스 생산성에 관한 통합적 분석: 자료포락분석(DEA )과 SERVQUAL기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보, 제38권 제6호, pp.201-224, 2004
      • 145 좌영길, "““GS칼텍스,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에 위자료 책임 없어” 대법원, 원고 패소 원심 확정,”", 법률신문, 2012년 12월 26일. https://www.lawtimes.co.kr/Legal-News/Legal-News-View?Serial=70721, 2012
      • 146 김민정(Min-Jeong Kim), 유진호 ( Jin Ho Yoo ), 장세정 ( Se Jung Jang ), "중소기업의 개인정보보호 제도에 대한 이해가 개인정보보호 대책 활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중소기업학회, 중소기업연구, 제36권 제2호, pp.227-240, 2014
      • 147 김나은, 김홍범, "온라인 여행업의 e-서비스품질, 인지된 가치 그리고 고객만족도가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서비스경영학회, 서비스경영학회지, 제10권 제2호, pp.251-276, 2009
      • 148 김인, 우양호, "행정서비스 품질 평가척도의 적합성 비교에 관한 연구: 민원행정서비스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지방정부연구, 제10권 제1호, pp.153-179, 2006
      • 149 이홍재 ( Hong Jae Lee ), 차용진 ( Yong Jin Cha ), "CIPP모형을 활용한 개인정보보호 교육의 효과성 연구: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지방정부연구, 제19권 제1호, pp.95-119, 2015
      • 150 강경하, 이종호, "e-서비스품질이 고객의 신뢰와 e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온라인 여행사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전자상거래학회, 전자상거래학회지, 제10권 제1호, pp.23-42, 2009
      • 151 장철영, "“e-서브퀄(e-SERVQUAL) 요인을 이용한 전자정부 e-행정서비스 질 평가: 대구 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한국지방정부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301-334, 2007년 5월, 2007
      • 152 조수현, 이창호, 오석윤, "호텔 웹사이트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이용자들의 특성차이와 만족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관광연구, 제17권 제2호, pp.215-233, 2002
      • 153 김범수, 신소라, 마세윤, 김성준, "“온라인 서비스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개 인정보 지각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안공학연구논문지, 제10권 제6호, pp.695-710, 2013
      • 154 김민수, "“‘개인정보 유출’ 카드사 재판 지지부진, 원고 수천명의 위임사실 입증하는 데만 1년 넘어,”", 대한금융신문, 2015년 5월 31일. http://www.kban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309, 2015
      • 155 정광열, "홈리스 복지서비스 전달체계 효과성의 영향요인 분석 - 공급자와 수혜자의 인 식비교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156 강상욱, Lee, Dae-Chul, Kang, Sang-Ug, 이대철,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시나리오 기반 질의응답서비스 품질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2호, pp.223-236, 2014
      • 157 김진환, "“개인정보 보호의 규범적 의의와 한계 - 사법(私法) 영역에서의 두 가지 주요 쟁점을 중심으로 -,”", 저스티스, 제144호, pp.43-87, 2014
      • 158 오재영, 김상만, 옥샘, "“의료정보 웹사이트의 품질이 Offline 의료서비스의 기대 및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e-비지니스연구, 제10권 제3호, pp.173-201, 2009
      • 159 유진호, 송신정, "개인의 자아존중감이 개인정보의 중요도 인식과 개인정보보호 실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한국경영정보학회, 2014년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pp.325-330, 2014
      • 160 이인호, "“ 개인정보 보호법 상의 ‘개인정보’ 개념에 대한 해석론 - 익명화한 처방전 정 보를 중심으로 -,”", 정보법학, 제19권 제1호, pp.59-87, 2015
      • 161 박종무, 권미옥, "“온라인 쇼핑몰의 서비스 품질과 지각된 가치 및 온라인 쇼핑몰의 충성 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영학회, 경영연구, 제24권 제2호, pp.107-139, 2009
      • 162 이자성, "“한국 지방정부의 개인정보보호 제도화에 관한 연구: 우리나라 일본 국제기구의 법률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11권 제4호, pp.81-108, 2008
      • 163 전상민, "“개인정보유출에 대한 소비자의 부정적 감정과 행동 반응: Mehrabian과 Russell 의 S-O-R 모델을 바탕으로,”",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광고, 제16권 제1호, pp.105-123, 2015
      • 164 구자면, 박주석, "“IT컨설팅 서비스 품질 요인 선정과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 사용자, 제공자 비교 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소비자문제연구, 제31호, pp.100-130, 2007
      • 165 임명성, "“개인정보 유출 사고 후 웹 사이트 가입 지속 및 프라이버시 무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제11권 제1호, pp.107-119, null
      • 166 전상민,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소비자의 부정적 감정의 탐색적 연구: 자기관찰을 통한 근거이론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소비자정책교육연구, 제10권 제4호, pp.137-162, 2014
      • 167 윤기찬, 장한나, 임병래, "“e-SERVQUAL 기법을 이용한 공공기관 고객관계관리(e-CRM) 만족도 비교분석: 철도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제9권 제3호, pp.335-357, 2009
      • 168 정형철, 신영진, 강원영, "공공분야 개인정보보호 정책 집행과제의 우선순위 분석: 개인정보보호 수준진단 지표의 선정 및중요도를 중심으로", 한국정보보호학회, 정보보호학회논문지, 제22권 제2 호, pp.379-390, 2012
      • 169 김진환, "“개인정보 보호법의 해석 원칙을 위한 제언(提言)과 시론(試論): 개인정보에 대 한 정의 규정의 해석을 중심으로,”", 법학평론, 제3권, pp.8-33, 2012
      • 170 김봉철, "“개인정보보호법상 정보주체의 권리에 관한 연구: 독일연방정보보호법상 정보주 체의 권리와 그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토지공법학회, 토지공법연구, 제59집, pp.561-582, 2012
      • 171 신영진,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수준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 치단체의 개인정보관리를 중심으로 -,”", 한국정보화진흥원, 정보화정책, 제16권 제1호, pp.41-53, 2009
      • 172 김정렬, 함요상, "“공공서비스의 수급 개선을 위한 새로운 균형점의 모색 - 공공서비스에 대한 공무원과 국민들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제2009 권, pp.1-18, 2009
      • 173 최민섭,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 품질척도(Re-SERVQUAL)의 개발 및 상호 인과관계 분 석에 관한 연구 - 기술수용모델(TAM)을 중심으로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부동산학연구, 제11권 제1호, pp.69-91, 2005
      • 174 정태호, "“개인정보자결권의 헌법적 근거 및 구조에 대한 고찰 – 동시에 교육행정정보시 스템(NEIS)의 위헌여부의 판단에의 그 응용,”", 헌법논총, 제14집, pp.401-495, 2004
      • 175 이혜선, "“약정원 사건, 환자정보 유출이 아닌 ‘빅데이터’ 산업? IMS헬스 측 형사재판서 주장… 약정원 등 피고인들 혐의 일제히 부인,”", 청년의사, 2015년 9월 8일. http://www.docdocdoc.co.kr/news/newsview.php?newscd=2015090800024, 2015
      • 176 신소영, "“[판결] 대법원 “옥션, 해킹 개인정보 유출 책임 없다” 충분한 사전 정보보호조치 했다면 책임 묻기 어려워 대법원, 원고패소 원심 확정,”", 법률신문, 2015년 2월 12일. https://www.lawtimes.co.kr/Legal-News/Legal-News-View?Serial=91088, 2015
      • 177 김성수, "““언론인-운동가 해킹 프로그램, 한국 정부도 사용한 정황 있다” [해외리포트] ‘이탈리아 해킹팀’ 연구하는 시티즌랩 연구원 빌 마크젝,”", 오마이뉴스, 2014년 3월 19일.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970476, 2014
      • 178 우형진, "“지각된 사이버 보안 위험이 개인정보보호 증진을 위한 기술채택 및 지속이용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여도, 보호동기, 비용지불의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 과학연구, 제14권 제2호, pp.220-257,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