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Vigabatrin을 투여 받은 소아에서의 시야 결손 = Visual Field Defect in the Vigabatrin-treated Pediatric Patient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1
작성언어
-주제어
KDC
516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0-85(6쪽)
제공처
Vigabatrin(VGB)에 의한 무증상성 양측성 시야결손에 관한 많은 보고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시야 축소의 경우를 관찰할 수 없었다. 이는 Vigabatrin(VGB)의 투여기간이 다른 연구에 비해 평균 14개월로 짧았던 점과 자동 시야계 검사를 시행한 소아의 부적절한 협조로 인한 검사의 부정확성도 생각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VEP(visual evoked potential) 방법 등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하며, Vigabatrin을 처방함에 있어서 주의와 정기적인 시야 측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Purpose: Vigabatrin has proved to be a successful and well tolerated drug used for the treatment of epilepsy of partial onset and for infantile spasms(West's syndrome). It is a selective and irreversible inhibitor of gamma-aminobutyric acid transaminase that is associated with visual field defect. We performed this study to investigate visual field defects in children treated with Vigabatrin.
Methods: We performed a complete neuroophthalmologic examination and electrophysiologic studies on 28 patients receiving Vigabatrin. They underwent static perimetry using either full field 81 points or central 30-2 threshold screening program on the Humphrey visual field analyser, followed by the ophthalmic examination to rule out ocular causes for visual field defects.
Results: The patients had a mean age of 11.9±3.1 years and the mean treatment duration with Vigabatrin was 14.9 months. 11 of 28 patients were abnormal on static perimetry. Among them, four were false negative, one was false positive and two had fixation loss, which were suggestive of poor cooperation. Four of them had visual field defects including right homonymous inferior quadrantanopia, left incongruous incomplete hemianopsia, bilateral right homonymous hemianopsia, bilateral left homonymous hemianopsia.
Conclusion: Visual field examination in children is more difficult than in adults because of a lack of cooperation. Although we could not find any patients with visual field defect from Vigabatrin, vigilance and close follow up are necessary when the drug is prescribed.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