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形式名詞の日韓照究 = A Contrastive Study on Formal nouns of Japanese and Korean
저자
이양희 (경북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일어일문학(The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Association of Daeha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Japanese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1-86(16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本研究は、日韓両言語の形式名詞の研究の一環として、日本語の「ものだ」「ことだ」と韓国語の「법이다」「마련이다」を対象に、その意味・用法を考察し、その類似点と相違点を明らかにすることが目的である。従来、日本語の「ものだ」「ことだ」と韓国語との対照研究においては、日本語の「ものだ」「ことだ」がモダリティを表す場合も、その表す意味は考慮に入れず、韓国語の「것」に対応させようしたものが殆んどであり、意味・用法を視野に入れた分析は欠落されていると言える。そこで、本研究では、まず、日本語の「ものだ」「ことだ」と韓国語の「법이다」「마련이다」の意味・用法を考察した。次に、その考察の結果に基いて、四つの形式に共通に見られる「當然性」「當為性」を中心に、その統語的な特徴、共起する副詞的成分、置き換え、対応関係を考察した。考察の結果、日本語の「ものだ」には、「性状規定」「當然性」「當為性」「状況解説」「回想」「感嘆」「理由」を表す意味・用法があり、「ことだ」には「當為性」「感嘆」「命令」を表す意味・用法があることを確認した。次に、韓国語の「법이다」には「當然性」「當為性」を表す意味・用法、「마련이다」には「當然性」を表す意味・用法があることを確認した。さらに、四つの形式に、類似性が見られる「當然性」「當為性」においては、①「當然性」を表す場合、日本語の「ものだ」と韓国語の「법이다」「마련이다」がその意味・用法を表すことができる。したがって、日本語の「ものだ」の「當然性」は韓国語の「법이다」「마련이다」の「當然性」に対応する。②「當為性」を表す場合、日本語の「ものだ」「ことだ」と韓国語の「법이다」がその意味・用法を表すことができる。したがって、日本語の「ものだ」の「當為性」は韓国語の「법이다」の「當為性」に対応する。しかし、日本語の「ことだ」が表す「當為性」は、「當然性」の意味を含んでいないため、韓国語の「법이다」の「當為性」とは対応しない。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5 | 0.35 | 0.2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7 | 0.24 | 0.556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