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고전과 노래, 시조의 이중적 위치 ―1890년대부터 1910년대까지 시조를 중심으로― = Double Position of Sijo Between a Classic and a Song ―From the 1890s to the 1910s, Centered on Sijo―
저자
김남규 (경기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35-172(38쪽)
제공처
This study focuses on the hiatus in the history of Sijo literature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20th century. We examine the transition of Sijo toward modern popular art and modern literary genres from the 1890s to the 1910s.
The Sijo of the Enlightenment period attempts to resist Japanese colonial rule by criticizing reality or satirizing the times of colonial Joseon via newspapers and advocating collective values of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Consequently, the Sijo class introduced the Sijochang(時調唱) form, which secured a broad public base at the time, for immediate and widespread propagation. However, the Sijo of the Enlightenment period did not reach the original form of poetry that expressed the original lyricism or individual emotions, as they devoted themselves to nationalistic writing and demonstrated most of their merits as a musical song. However, it showcased the limitations of the transition to literature poetry.
An example showing the mixture of these two music and literature styles is available in the translation of the Sijo by missionaries James Scarth Gale and Homer Bezaleel Hulbert. Gale translated the Sijo using the original Namhoontaepyeongga(南薰太平歌), which is a critic of an ancient Korean song of unknown origin. Additionally, Hulbert presented a single original Sijo and added imagination to explain the Sijo in three acts of a play, similar to a Sijo singing performance. Through the Sijo, they attempted to secure the Korean song form and the “ethnic aspect” or Joseon uniqueness from the Korean language.
Meanwhile, Choi Namsun reorganized the pre-modern musical genre of the Sijo from a modern perspective and demonstrated the acceptance of the literary genre of the Sijo as a reading material. He attempted to incorporate the Sijo into “classical” and literary genre “poetry” by introducing 23 ancient Sijo in nine volumes, beginning with the second volume. Additionally, from the first issue of the Chungchoon to the fourth issue, Choi Namsun attempted to present the Sijo as a modern reading material and a culture to be learned as modern knowledge, in which visual information and knowledge can be combined, while incorporating the Sijo with the illustrations of Ahn Jungsik.
In summary, similar to the perception of Gail and Hulbert of the Sijo as a Korean music genre and the continuation of their translation work, the Enlightenment period of the Sijo included in the newspaper adopted the form of Sijo creativity familiar to the general public for enlightenment, whereas Choi Namseon attempted to present the Sijo as a cultural material, a reading material, and literature (to read). The most important text for all of them was the Sijochang(時調唱) collection of songs, Namhoontaepyeongga(南薰太平歌). The Namhoontaepyeongga(南薰太平歌) was the main text linking the history of the Sijo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