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자원 목록을 통한 주제게이트웨이 서비스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Web resource cataloging for subject gateway services
저자
오경묵 (숙명여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2
작성언어
Korean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3-75(23쪽)
제공처
소장기관
현재 인터넷 상에서는 초보자이건 전문가이건 원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Web을 통해 출판할 수 있는 환경이기 때문에 Web 정보의 품질에 대한 옥석이 구분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품질이 보장된 정보원을 이용한다는 것은 이용자들의 검색시간을 절약하게 해주는데, 기존의 사용검색엔진은 만족스럽지 못하다. 전문가들이 IP로 참여하는 주제게이트웨이에 소개된(품질이 관리된) 정보원을 검색하게 되면 정보에 대한 신뢰성, 타당성에 대하여 의심할 필요가 없게 된다. 주제 게이트웨이는 전통적인 도서관 정보서비스 업무를 근거로 개발되는 것으로 현재 인터넷 이용시 혼란스러운 상태에서 보다 현명한 방법으로 원하는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찾도록 하기 위한 전문 포털사이트(portal site)이다. 본 연구를 통해 바람직한 주제 게이트웨이의 활용사례를 제시하고 바람직한 모형을 소개하여, 국내학술 연구기관들이 정보 서비스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보기Many academic libraries and insritutions are needed to help their users discover high quality information on the Internet in a quick and effective way. Researchers and academics do not always have the time, skills to surf the Internet for resources that could support their work. As Internet publishing and communication become more commonplace this could disadvantage some researchers as they will miss valuable information resources. Therefore, in the Europe and America, there are a number of different models for setting up and running gateways among academic societies. The technology behind these gateways vary considerable by academic subjects. However quality information gateways all have key similarities that make them invaluable resources to their respective user communities.
In the traditional information environment human intermediaries, such as publishers and librarians, futer and process information so that users can search catalogues and indexes of organised knowledge as opposed to raw data and disparate information. On the same principle, subject gateways employ subject experts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to select, classify and catalogue Internet resources to aid search and retrieval for their users. A description of each resource is provided to help academics assess its orgin, content and nature, enabling them to decide if it is worth investigating further.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role of information gateway, and importance of quality information on the web, and suggest the ideal Korean model for organizing the quality information resources after analysing the model sites which are developed already in the western academic societies. Informarion Gateways are getting a well established feature on the Internet for academic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