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지방정부 주도적 연구개발지원사업의 구조와 성과:Y 지방의 지역협력연구센터(RRC) 사례를 중심으로 = A Structure and Performance of a Local Government initiated Research & Development: focused on the case of a Regional Research Center in Y local government
저자
발행기관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6
작성언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05-327(23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소장기관
The projec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local government has increased rapidly in recent years for the common technology and the infrastructure of R&D. The main issues on R&D lie in the diffusion of result and promotion of spillover with a social welfare. As well as, the stronger the motivation, the more quickly a main body of R&D will a performan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an innovation.
If so, as expected can it be so efficient performance? The more an investment in R&D continuously, the more the questions at issue about an efficiency of investment, a performance of cooperation research, a connection an industry and technology policy and a regional policy. An alternative for a judgment by an efficiency and a performance of cooperation research introduce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That method make a diagnosis of problem and improve in RRC. That policy mean accomplish a local government`s purpose which make sure of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the projects to revitalize local economics. In spite of all advantages, the method was not fulfilled the original intention.
This study raises one basic research question. Which of the factors had an effect on and determined the success of the R&D inves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actual conditions of cooperation research and the cause of the project depression, focused on case study that is based on the results of a field evaluation of a Regional Research Center(RRC) in Y local government.
기술혁신과 경제성장의 인과관계가 강조되면서 연구개발 기반구조 및 기술공유를 위한 지방정부의 연구개발(R&D)지원 사업이 급증하고 있다. 연구개발과 관련한 핵심적인 이슈는 어떻게 하면 연구개발 결과의 확산 및 파급(spillover)을 촉진시키고 그에 따른 사회후생을 증가시키는가에 있다. 동시에 어떻게 연구개발 주체에게 개발에 대한 동기부여를 강화하고 혁신을 위한 연구개발 행위를 증가시키느냐에 있다고 할 수 있다.R&D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투자의 효율성과 산학연계의 성과(performance), 산업기술정책과 지역정책, 산업정책의 연계 등에 대한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공동연구개발투자가 의도한 대로 효율적인 성과를 보여주는가? 공동연구개발의 효율성 판단을 위한 대안으로서 성과평가 시스템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성과평가를 통해 R&D 지원센터의 문제를 진단하고 개선할 수 있으며,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 하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과평가시스템을 통한 연구개발의 효율성 확보가 애초에 기대했던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것 또한 지금의 현실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성과평가의 한 방법으로서 현장평가를 통해, 공동연구개발의 성과에 영향을 주는 조건과 협력의 실제 상황을 지방정부 주도적 공동연구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공동연구개발사업의 실태와 문제점 등을 경험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공동연구개발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지역협력사업의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보다 현장 지향적이며 체계적인 연구를 하고자 하였으며, 지방정부 주도형 산학협력사업의 실태와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1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9 | 1.32 | 1.39 | 0.2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