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자에 반영된 중국 고대 장례(葬禮) 풍습 = Ancient Chinese Funeral Practices Reflected in Chinese Character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주제어
KDC
3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45-164(20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언어와 문자의 관계로 볼 때 한자는 한어를 기록하는 부호체계이다. 한자의 기본 기능은 한어를 문어로 기록하여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한족으로 하여금 사상을 교류하고 정보를 전달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러한 기본적인 기능 외에도 한자는 상당히 풍부한 문화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한자는 표의성이 강한 문자이므로 매 한자마다 독특한 구조와 문화적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장례(葬禮)와 관련된 한자를 통해 선인들이 장례에 대해 어떠한 인식과 의식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장례는 나라나 민족뿐만 아니라 종교나 풍토 환경 등에 따라서도 각각의 다른 장례 풍습이 존재한다. 특히 중국 내 소수민족의 장례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데 대부분 각 민족의 전통적인 풍속 및 종교 신앙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장례 풍습은 어떻게 기록되고 표현이 되었을까? 본고에서는 ‘알(歺)’, ‘시(尸)’, ‘문(文)’ 등의 한자 자형과 본의(本義) 분석을 바탕으로 중국의 장례 풍습이 어떻게 기록되고 표현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사(死)자를 통해 중국 고대 사람들이 죽음에 대한 인식과 일반적인 죽음과 그렇지 않은 죽음에 대한 매장 풍습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부수자인 ‘알(歺)’, ‘시(尸)’, ‘문(文)’ 등을 통해 당시의 장례법도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알(歺)자는 사람이 죽으면 시신을 숲에 버리고 썩어 문드러져 뼈만 남으면 수습해 처리했던 옛 장례법을 반영한 것이고, 시(尸)자는 죽은 사람의 이차장 형식을 본뜬 한자이다. 문(文)자에는 고대 장례의 한 형태로 시체의 가슴에 칼로 문신을 새기고 피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영혼을 풀어 환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알(歺)’, ‘시(尸)’, ‘문(文)’ 등의 부수자로 구성된 ‘찬(歺又)’, ‘학(㕡)’, ‘굴(屈)’, ‘시(屍)’, ‘인(吝)’ 등의 한자에서도 중국 고대 사람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매장 풍습, 그리고 매장 풍습에 대한 변천 과정 등을 살 펴 볼 수 있었다. 중국 고대 사람들의 매장 풍습이 처음에는 몽둥이로 노인들을 때려서 죽이는 것에서 이후 노인에 대한 측은한 마음이 들어 산 채로 산야로 버려 새와 짐승의 먹이가 되게 하는 풍습으로 변해갔고 다시 변천하여 사후에 인적이 닿지 않는 곳에 시신을 보내게 되면서 그 후에는 관을 이용하여 시신을 매장하는 풍습으로 변해갔음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렇듯 매장 풍습에 변화가 있었지만 여전히 시신을 훼손하는 풍습과 백골을 다시 매장하는 제도는 바뀌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Funerals exist not only in the country or ethnicity, but also in different religious and endemic environments. In particular, the funerals of minorities in China are very complicated and diverse, mostly related to the traditional customs and religious beliefs of each nation. How were these various funeral customs recorded and expressed? In this study, we looked at how Chinese funeral customs were recorded and expressed through the analysis of Chinese characters in 死(sǐ), 歺(cān), 尸(shī), and 文(wén). First of all, through the 死(sǐ), we could se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death and burial customs of ordinary and non-death people in China. In addition, the funeral laws of the time were reflected through the incidental figures, such as 歺(cān), 尸(shī), and 文(wén). For example, the Chinese character 歺(cān) reflects an old funeral method that was used to discard the body in the forest when a person died, and when it was rotten and left with bones, 尸(shī) is a Chinese character modeled after the second funeral of the dead. 文(wén) refers to the reincarnation of the soul by tattooing the body s chest with a knife and allowing blood to flow as a form of an ancient funeral. In addition, Chinese characters such as (歺+又)(cān), 㕡(cān), 屈(qū), 屍(shī), and 吝(lìn), which are composed of subsidiary characters such as 歺(cān), 尸(shī), and 文(wén), could also be seen in recognition of the death of ancient Chinese people, burial customs, and the process. The burial custom of ancient Chinese people changed from clubbing to beating and killing the elderly to throwing them alive and becoming food for birds and animals, and then using coffins to bury them after death. Although burial customs have changed, it was still found that the custom of damaging the body and the system of burying white bones have not changed.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3-2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KCI등재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9-3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3 | 0.41 | 0.555 | 0.1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