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한 공동주택 유비쿼터스 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저자
발행사항
서울 :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 주거환경학과 2007.8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서울
기타서명
(A) study on ubiquitous service development in apartments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형태사항
x, 135 p.(일부채색) : 삽도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최진원
소장기관
The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today has brought big changes not only in people's lives, but also in the space of future construction. Among them, changes in living space, which is the most basic living space for people, is going through changes quickly. New future living spaces are appearing such as intellectual home and cyber apartments, and diverse ubiquitous services are applied using home network system.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ubiquitous services are not appropriately applied on services for the residents, and the efficiency is largely falling since the services are designed regardless of consumer demands. This is because current home network systems are developed mainly around providers, solutions, and devices, and because the preferences of final users and cooperating with the constructors are not considered. What is even more important is that such problems are accepted at the early stage of designing, and the services are applied after building the space first as space design and service development are rationalized. Therefore, there are diverse studies under progress to solve the problems of mutual compatability between devices, services, and space.Thus this study aims on observing whether the ubiquitous service developed from the initial stage of designs can be applied in the space, suggesting a new approach different from existing service development processes to allow designing of proper future space as a result, and proposing a method to develop ubiquitous service for apartments based on space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spatial information of apartments.This study is made up of 6 chapters in total, and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each chapter.Chapter 1 describes of the study's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Chapter 2 observes the properties of ubiquitous servi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and of ubiquitous intellect space by dividing it into physical and cyber spaces. Also, situation-recognizing type service is suggested as the direction ubiquitous service must pursue.Chapter 3 understands the current situation of intellect-type home network apartment services and home network businesses through site and Internet research, and then analyzed the problems and demands.Chapter 4 suggests a new strategy to develop ubiquitous service for apartments based on the spatial information achieved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spatial information related documents and existing ubiquitous service development methodology.Chapter 5 first suggests LOS(Level of Service) analysis method to apply ubiquitous service on spac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rategy proposed in chapter 4. Then the connection among the spatial information of apartments has been observed, and a spatial information framework method is proposed to develop a ubiquitous service for apartments based on such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the method proposed in the last, the ubiquitous service has been applied and expressed in the form of design plan.Chapter 6 summarizes the body of this study, and discusses the studies to follow in the future.This study has significances as following;First, it is possible to develop ubiquitous services appropriate for living spaces. Second, not only could customized services for users be developed according to collation of LOS methodology, but also diverse services in connection and integrated services be developed to provide full services. Third, expenses for maintenance and repair be reduced after the construction. Forth, this study can be expanded to wide services between cities and countries, and in the future also develop services for cities systematically by building an integrated city management center.Fifth, this could be a basic study to standardize ubiquitous services, system, and devices. Lastly, studies in such direction will harmonize communications among professionals who demand multi-academic cooperation in the flow of most updated harmonized construction, and it is thought that high social and economic effects could be expected by doing so.
더보기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은 오늘날 인간생활 행태의 변화뿐만 아니라 미래건축 공간에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생활환경인 주거 공간의 변화는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지능형 홈, 사이버 아파트 등의 새로운 미래주거 공간이 나타나고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다양한 유비쿼터스 서비스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거주자를 위한 유비쿼터스 서비스가 공간에 적절히 적용되지 않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고 수요자 요구와 관련 없이 서비스가 설계되어 있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현재의 홈네트워크 서비스가 공급자 위주의 솔루션과 기기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며, 주택을 잘 알고 있는 건설인과의 협업이나 최종 사용자의 기호가 고려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초기 디자인 단계에서 이러한 문제점들이 수용되고 있지 못하고 공간 디자인과 서비스 개발이 유리화되어 공간을 먼저 구축한 후, 서비스를 적용하는 방법으로 계획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기기 및 서비스 그리고 공간 간의 상호호환성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따라서 본 연구는 초기 디자인 단계에서부터 개발된 유비쿼터스 서비스가 공간에 적용 가능한지를 살펴보고, 이에 따라 적절한 미래공간을 디자인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기존의 서비스 개발 프로세스와는 다른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공동주택 공간정보와 연계시켜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한 공동주택 유비쿼터스 서비스 개발 방법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본 연구는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목적, 범위 그리고 연구방법을 설명하였다.2장에서는 이론고찰을 통해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의 특징과 유비쿼터스 서비스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물리적 공간과 가상 공간으로 나누어 유비쿼터스 지능공간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상황인지형 서비스를 유비쿼터스 서비스가 지향해야 할 방향으로 제안하였다.3장에서는 인터넷 리서치와 현장 조사를 통하여 홈네트워크 업체와 지능형 홈네트워크 아파트의 서비스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 및 요구사항에 대해 분석하였다.4장에서는 기존의 유비쿼터스 서비스 개발 방법론과 공간정보 관련 문헌을 비교 분석하여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한 공동주택 유비쿼터스 서비스 개발을 위한 새로운 전략을 제시하였다.5장에서는 4장에서 제시한 개발 전략에 따라 먼저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공간에 적용하기 위한 LOS(Level of Service) 분석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공동주택 공간정보를 도출하여 이들 간의 연계성을 검토한 후,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한 공동주택 유비쿼터스 서비스 개발을 위한 공간정보 프레임워크 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방법을 토대로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적용하여 보고 이를 설계도서 형식으로 표현하여 보았다.6장에서는 본 연구의 본론을 요약하고 향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첫째, 주거 공간에 적합한 유비쿼터스 서비스 개발이 가능하다. 둘째, LOS방법의 조합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계 서비스 및 통합 서비스를 개발하여 풍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시공 후 보수 등의 유지관리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넷째, 본 연구는 도시, 국가 간의 광역 서비스로 확장이 가능하며, 향후 도시 통합 관리센터 구축시 도시형 서비스 또한 체계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 다섯째, 유비쿼터스 서비스 및 시스템, 기기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 연구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방향의 연구는 첨단융합건설의 흐름 속에서 다학제적 협업을 요구하는 전문가들의 의사소통을 더욱 원활히 해줄 것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경제적,사회적으로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