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생기공과 심리기술훈련의 구성요인과 측정평가방법의 비교연구 = Comparative Study on the Configuration Factors and Measurement Method of Yangsaeng Gigong and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저자
발행사항
경산 : 대구한의대학교, 2008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 한의학과 , 2008. 2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DDC
619.72 판사항(21)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형태사항
66 장 : 삽화 ; 26 cm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장 59-60
소장기관
기공은 형식상 동공(動功)과 정공(靜功)으로 구분되는데 동공은 신체에 정공은 심리에 초점을 둔다. 동공수련에 비하여 정공수련은 수련의 성과에 대한 측정 평가 방법이 제대로 확립되어 있지 않아 정공수련의 성과에 대한 판단은 수련자 본인의 주관적 판단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수련 성과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수련 전과 후의 심리적 상태 변화에 대한 객관적 분석은 수련을 보다 효율적으로 만들어주며 수련을 하면서 발생하는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
현대 스포츠에서 경기력 향상과 운동 수행능력 향상을 위하여 활용되고 있는 심리기술훈련은 훈련의 내용과 방법 면에서 상당 부분 정공수련과 유사하며 측정평가방법이 객관적이고 구체적이어서 양생기공의 정공수련 평가 방법 정립에 도움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생기공과 심리기술훈련의 개념을 살펴보고 각각의 구성요인, 측정평가방법을 검토 비교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심리기술훈련의 측정평가방법을 참고하여 양생기공 수련성과의 측정평가 검사도구 개발과정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기공(氣功)의 목적과 방법은 다양한데 심리기술훈련과의 비교를 위하여 여기서는 기공의 목적과 방법을 성통공완(性通功完), 홍익인간(弘益人間) 등의 영적 발전이나, 수명 연장, 질병예방 등의 목적은 배제하고 심신(心身)의 단련을 위한 조신(調身), 조식(調息), 조심(調心)의 훈련법이라고 제한하여 설정하기로 하였다. 심리기술훈련(psychological skills training)은 최상의 경기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선수들에게 심리적 방법을 연습하고 훈련하여 자기조절적인 기술을 습득하도록 도움을 주는 훈련과정을 의미한다.
양생기공의 구성요인으로는 신체 훈련인 조신(調身), 호흡 훈련인 조식(調息), 의념 훈련인 조심(調心)이 있다. 심리기술훈련의 구성요인으로는 심상, 이완, 주의집중, 불안과 각성조절, 자신감, 목표설정이 있으며 구체적으로 이완의 훈련기법에는 자생훈련, 점진적 이완 훈련법, 호흡기법, 명상 등이 있다. 조신은 점진적 이완훈련법과 조식은 호흡기법과 조심은 심상, 자생훈련, 명상, 주의집중, 불안과 각성조절, 자신감, 목표설정등과 유사한점이 있다고 생각되며 양생기공은 조신, 조식, 조심을 배합하여 공법으로 운영한다는 점에서 구성요인별로 개별적으로 훈련하는 심리기술훈련과 차이가 있다고 생각되는데 각각의 특성을 서로 참고한다면 양쪽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양생기공의 측정평가방법에는 사공(査功), 사공기록표(査功記錄表)의 기입, 담공(談功), 일기(日記)와 소결(小結) 기록 등이 있으며 심리기술훈련의 측정평가 방법은 검사지법, 면담법, 개인프로파일 작성법 단일피험자 관찰법등이 있다. 양생기공과 심리기술훈련의 측정평가방법은 방법적인 측면에서 유사한 점이 있다고 생각되기는 하나 내용적인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고 생각되며 각각의 장점을 서로에게 도입한다면 보다 나은 측정평가방법 확립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심리기술훈련의 검사지법은 측정평가에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측정평가가 구체적이고 객관적이며 신뢰성과 재현성을 가지므로 심리기술훈련의 검사지 개발과정을 참고한다면 양생기공훈련의 성과에 대한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검사도구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심리기술 검사도구 개발과정에는 검사개념화, 검사지 구성, 검사시행, 문항분석, 검사수정 5단계가 있고 좋은 검사지의 요건은 신뢰도, 타당도, 실용성, 문화적 적합성이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양생기공은 종합적 방법과 실천을 중요시하고 심리기술훈련은 분석적 방법과 객관적 평가를 중요시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이들 방법의 장단점을 서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지며, 이러한 특성이 구체적인 사례를 통하여 양생기공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Gigong(氣功) is devided into dynamic one (Donggong)and static one (Jeonggong). Donggong(動功) focused on the body and Jeonggong(靜功) focused on the psychology. Comparing to Donggong training, the measurement of Jeonggong training has not been established well. Therefore in most cases, the achievement of Jonggong training is judged by the subjective judgment of the trainee himself. If we can evaluate the training results more appropriately and analyze the changes in the psychology objectively, the training can be more efficient and it can help to solve the problems during the training.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which is used for enhancement of competency and performance in modern sports is similar to Jeonggong training to some extents i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training and its measurement method is quite objective and concrete. Therefore it can help to establish the measurement method for Jeonggong training of Yangsaeng(養生) Gigong.
Thus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Yangsaeng Gigong and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was reviewed and the configuration factors and measurement methods of each training were compared to se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wo training methods. Through this, it was tried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for Yangsaeng Gigong referring to that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The purposes and methods of Gigong are various. However, to compare Gigong training with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we restricted its purpose to Joshin (調身), Joshik (調息) and Joshim (調心) excluding the purpose of spiritual development such as Seongtonggongwan(性通功完) and Hongikingan(弘益人間), or life extension and disease prevention.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means the training process that helps the players to get self control techniques through psychological practice and training so that they can exert their best in the competition.
There are Joshin, which is body training, Joshik , which is breathing training and Joshim, which is mind training in Yangsaeng Gigong. In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imagery, relaxation, concentration, control of anxiety and awakening, confidence and goal setting. In details, there are autogenic training, progressive relaxation training, breathing method and meditation. Joshin is similar to progressive relaxation training, Joshik to breathing method and Joshim to imagery, autogenic training, meditation, concentration, control of anxiety and awakening, confidence and goal setting. Yangsaeng Gigong is different from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in that it combines Joshin, Joshik and Joshim altogether to make one Gongbeop(功法), while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deals with each factor individually. If we compare and refer to those two methods with care, it will be helpful to both methods.
In the measurement of Yangsaeng Gigong, there are Sagong (査功), Record in Sagonggirokpyo(査功記錄表), Damgong(談功), Ilgi(日記) and Sogyeol(小結), while in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there are questionnaire, interview, personal profile and observation of a single subject. Although there are similarities between the measurement of Yangsaeng Gigong and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ontents. If we introduce strengths of each method to the other, we may have better measurement methods.
The questionnaire method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is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which gives concrete, objective, reliable and highly reproducible results. If we refer to the questionnaire development process in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we can have objective and concrete measurement tool for Yangsaeng Gigong training. In the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measurement tool development process, there are 5 stages such as test conception, test preparation, test execution, question analysis and test modification. The requirements for the good survey are reliability, validity, practicality and cultural appropriateness.
Through this study, we got to the conclusion that we would need combine two methods together to develop a better method as Yangsaeng Gigong places importance on comprehensive method and realization while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laces importance on analytical method and objective evaluation. It seems that a practical study is needed to see of the problems of Yangsaeng Gigong can be resolved through these concrete case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