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전통의학 연구협력 허브 제도의 도입에 의한 동서의학 연구 = The Study on the East-West Medicine by Introduction of WHO Collaborating Hub System for Traditional Medicine.
저자
박슬기 (대전대학교 한의학과)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78-298(21쪽)
제공처
소장기관
'모든 인류에게 건강'을 실현하기 위한 WHO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SARS,variant CJD, Ebola 등과 같이 새롭게 등장하는 질병들이 인류의 건강에 위협을 가하고 있다. 또한,결핵,천연두,페스트와 같이 우리가 건강의 역사에서 퇴치하였다고 여기는 질병들까지 다시 줄현하고 있는 실정이다.
WHO에서는 세계 보건에 대한 일반적 연구 외에도,TM/CAM에 대해서 Collaborating Centers라는 자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협력센터들은 각 Region마다 산발적으로 지정되어 있어,통합적인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전통의학에 대한 각국 서로의 이해와,협력센터들 간 교류를 증진하고,보다 임상적인 연구를 가능케 하는 「WHO 전통의학 연구협력 Hub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이를 통해 동서의학이 서로 발전하고,더불어 new, or re-emerging diseases를 퇴치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첫째,Hub 설립을 위한 예산 확보 방안과 Hub국가를 선정하는 방식을 제시한다 둘째,각국 전통의학의 다양성과 지역별 질병군의 차이에 의거하여 「연구목표질병」을 할당한다. 셋째,Hub의 연구결과를 3년마다 Authoritative information으로 만들어 세계적으로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전통의학 교류 연구원 제도」를 도입한다. 넷째,SARS나 A.I.가 과거 유럽 인구를 1/5로 줄어들게 만들었던 페스트처럼 되는 것을 막기 위해 Hub별 질병감시제도인「봉화(Fire Alarm)제도」를 제안한다.
Western Pacific Region에서의 호흡기계 질환을 Hub 모델로 제시한다.
Although the every effort to maintain health for human being of WHO, new-emerging diseases like SARS, variant CJD, Ebola are threatening our health. Also, Diseases like Tuberculosis, smallpox, plague which we think that we have conquested already are re-emerging nowadays.
WHO is working for TM/CAM by its own network-Collaborating Centers for Traditional Medicine-as well as working for genaral human health. But as of now collaborating centers, are designated so sporadically, integrative study is demanding. To promote understanding of TM/CAM in each countries and exchange between collaborating centers, WHO have to attempt「WHO Collaborating Hub System for Traditional Medicine」. This study is to find a solution to develop East-West medicine and to wipe out new or re-emerging diseases.
First, suggest a way to make a budget for Hub construction and to select the Hub's location. Second, assign 「Target Study Disease」by diversity of many countries in TM/CAM and regional diseases. Third, introduce the 「Exchange researchers for Traditional Medicine」. Fourth, Propose the 「Fire Alarm」system which can monitor the breakout of dangerous diseases.
One Hub model-Respiratory diseases in the Westem Pacific Region-is exemplified by an assumpt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