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OPUS
체외수정 - 배아이식 시술후 발생한 양측 난관임신 1 예 = Simultaneous bilateral tubal pregnancies following in -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저자
김희철 ; 김희철(Hee Chul Kim) ; 최범채(Bum Chae Choi) ; 이재훈(Jae Hoon Lee) ; 양광문(Kwang Moon Yang) ; 홍수정(Soo Jung Hong) ; 김혜선(Hye Sun Kim) ; 김석훈(Seog Hun Kim) ; 김창헌(Chang Heon Kim) ; 강인수(Inn Soo Kang)
발행기관
학술지명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0
작성언어
-주제어
KDC
500
등재정보
KCI등재,SCOPUS,ESCI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51-754(4쪽)
제공처
Over the last 20 years, the frequency of multiple pregnancy has increased mainly because of the introduction of exogenous pituitary gonadotropins in the treatment of infertility. Since the advent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the concern about ectopic implantation of embryos has increased dramatically and it continues to be a major complication of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IVF-ET). Bilateral tubal pregnancy is the least common type of ectopic implantation of two embryos. Of all extrauterine pregnancies, 1:725∼1:1580 are bilateral1,2. Simultaneous tubal pregnancies have been reported in natural cycles, recently, after ovulation induction, in-vitro fertilization2,3. The high incidence of ectopic pregnancy associated with IVF-ET continues to be a problem and frequencies of between 2.4 and 12.4% have been only a few reports of simultaneous bilateral tubal pregnancies following IVF-ET4. This paper describes a case of a simultaneous bilateral tubal pregnancy after IVF-ET in a 33 year old patient. The diagnosis was confirmed by diagnostic laparoscopy performed 25 days after embryo transfer(sixth week of gestation), which revealed bilateral tubal pregnancy. Bilateral salpingectomy was performed.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is topic, diagnostic aspects and treatment options are discussed.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